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6684105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목차
발간사 · 5
메이지유신 _ 방광석 · 9
일본 제국주의의 형성 _ 방광석 · 35
일본 근대 정당정치의 성립과 붕괴 _ 송병권 · 57
일본 근대 자본주의의 형성과 몰락 _ 송병권 · 75
천황, 그 무엇도 아닌 모든 것의 이름 _ 심희찬 · 93
일본에는 왜 신사(神社)가 많을까? _ 심희찬 · 125
1945.8.15. 패전과 귀환 _ 오미정 · 157
모리사키 가즈에, 식민지 경험을 말하다 _ 오미정 · 177
오사카에 뿌리내린 한국인의 삶 _ 김계자 · 199
니가타에서 분단과 이산을 넘다 _ 김계자 · 227
저자소개
책속에서
메이지유신을 통해 일본은 무사들로 구성된 지배층이 되어 농민 등을 다스리는 ‘막번(幕藩)체제’, 즉 무가(武家) 지배체제에서 천황을 유일한 통치권자로 삼는 중앙집권적 통일국가, 즉 ‘근대천황제’ 국가로 전환되었다. 아울러 메이지유신을 통해 일본은 서양 근대문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교육 등 기존 제도 전반을 개혁함으로써 근대국가를 형성해 나갔다.
“일본 근대 자본주의는 자립적 자본주의론과 국제적 자본주의론 사이의 긴장 관계 속에서, 형성과 몰락을 경험했다. 후발국으로 출발한 일본의 근대 자본주의는 선진 자본주의 열강의 경제적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자립적 자본주의로 출발하였다. 자립적 자본주의는 경제적 내셔널리즘의 존재와 함께 불평등조약 체제하에서 외채를 확보할 수 없었던 일본의 유일한 선택지이기도 했다.”
천황이라는 수수께끼는 우리 모두가 답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텅 빈 중심으로서의 천황, 그 무엇도 아닌 모든 것으로서의 천황이 대두하는 역사적, 정치적 과정을 소개하고 그 현대적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