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057423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7-18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는 글_행복에 대해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
1장 행복의 개념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나라마다 다른 행복의 의미
행복은 변덕스러운 것
행복관을 떠받치고 있는 두 개의 기둥
기독교, 현세에서 내세로 행복을 옮기다
천상의 행복에서 지상의 행복으로
행복은 인간의 타고난 권리라는 믿음
행복연구에 나선 긍정심리학과 경제학
광고, 행복의 힘을 사고팔다
2장 정치는 개인의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나?
더 나은 삶을 향한 새로운 패러다임
케네디의 유산: 삶의 질을 측정하라
측정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
행복한 사람들이 가져오는 사회적 이익
기업이 직원의 행복에 주목하는 이유
무엇이 그들을 행복한 도시로 만드는가?
모든 사람이 행복한 멋진 신세계?
3장 보이지 않는 행복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행복의 크기는 주관적이다
행복을 측정하는 세 가지 방식
질문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
경험하는 것과 기억하는 것의 차이
행복한 사람들 사이에는 공통분모가 있다
어떤 것이 원인이고 어떤 것이 효과인가?
4장 유전자가 행복에 영향을 미칠까?
행복은 타고나는 것일까?
중년에 행복이 바닥을 치는 이유
항우울제가 행복을 지켜주는가?
행복한 사람들이 오래 산다?
5장 국가와 돈이 삶의 질을 결정할까?
덴마크 사람들은 얼마나 행복한가?
행복한 나라에서 자살을 선택하는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이 ‘덜 불행한’ 나라
정치와 사회에 대한 신뢰가 갖는 힘
부유한 사람이 가난한 사람보다 더 행복한가?
소득이 늘어도 행복은 늘지 않는 이유
행복은 남들과의 비교 속에서 온다?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는 ‘과시적 소비’
소셜미디어 속에만 존재하는 완벽한 삶
6장 어떤 선택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까?
결혼은 우리를 더 행복하게 할까?
나를 이해하고 지지하는 사회적 네트워크
남을 돕는 행동이 나를 행복하게 한다
어디에 돈을 써야 가장 행복할까?
완벽을 추구할 것인가, 차선에 만족할 것인가?
선택의 기회가 다양해지면 더 행복할까?
7장 더 나은 삶을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행복학에 등장한 새로운 언어
행복연구에 대한 다양한 투자
행복학을 교과 과목에 포함시키는 이유
좋은 삶을 제공하기 위한 도시들 간의 경쟁
역자 후기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2,500년 전에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인생의 목적이요 의미라고 선언했다. 인간의 존재 이유도 그와 똑같다. 사람들은 여전히 행복을 인생의 궁극적 목표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행복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는다. 원하던 직장에 들어가고, 꿈꾸던 전원주택을 마련하고, 다이어트로 몇 킬로그램쯤 뺀다면 행복해질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광고업체들은 행복의 힘을 알고 있다. 20세기 초반부터 자본주의는 그 행복의 주된 제공자 역할을 해왔다. 현대의 광고는 어떤 제품이 우리의 생활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을 바꾸어 놓는다고 설득한다. 탈취제의 기능은 신체의 악취를 막아주는 것이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술집에서 아름다운 여성을 유혹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식이다. 현대의 광고는 감성을 중시한다.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기분을 느끼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_ <1장, 행복의 개념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중에서
스타글리츠 위원회에서 발표한 그 보고서는 우리가 측정하는 것에 따라 우리의 행동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날마다 체중을 재다 보면 먹는 음식과 운동 방식에 대해 아무래도 더 신경을 쓰게 되고, 만보기를 차고 다니면 평소보다 더 먼 거리를 걷게 된다. 다시 말해 우리가 측정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우리 삶이 영향을 받는 부분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는 삶의 질, 웰빙, 행복의 수준 같은 정말 중요한 것들을 측정해야 하는 것이다._ <2장, 정치는 개인의 행복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