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민족주의
· ISBN : 9791160681963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18-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 범위
제2장 민족주의 이념과 낭만적 민족주의
제1절 현실인식과 민족주의 이념
1. 한국 민족주의에 대한 현실 인식 문제
2. 민족·민족주의의 이론적 관점
제2절 한국·중국·일본 민족 개념의 수용
1. 한·중·일의 민족 개념 수용
2. 제국주의
제3절 민족주의의 두 유형 : 시민적 민족주의와 낭만적 민족주의
1. 시민적 민족주의와 낭만적 민족주의
2. 낭만적 민족주의의 정치적 전개: 집단주의와 독재
3. 한국의 낭만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의 필요성
제3장 한국의 낭만적 민족주의 부분에 대한 평가
제1절 한국 민족주의의 이념적 유형
1. 저항 민족주의
2. 국가적 민족주의
제2절 한국 민족주의 패러다임의 양면성
1. 양가적 관점
2. 저항 민족주의의 한계와 과제
3. 한국 민족주의의 두 얼굴
제3절 민주화와 민중민족주의
1. 민주화와 민족주의 운동
2. 민족주의 이념의 정치
3. 한국 민족주의의 근대성 비판
제4장 북한 주체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제1절 북한의 김일성 주체사상과 낭만적 민족주의
1. 민족지상주의 / 주체사상
2. 북한판 낭만적 민족주의
제2절 우리 민족끼리 / 민족 공조론의 허상
1. 민족 제일주의
2. ‘우리민족끼리’
3. 민족 공조론의 허상
제3절 민족주의 개념과 민족 정체성의 왜곡
1. 민족주의의 북한화
2. 민족 정체성에 대한 귀속감
제5장 한국 민족주의 발전의 이념적 정향
제1절 민족 이데올로기와 남남갈등
1. 민족 담론의 대립
2. 낭만적 민족주의와 동맹 민족주의
3. 진보와 보수의 이념적 편향
제2절 자유민주주의적 내면화
1. 시민 민족주의의 성장과 발전
2. 근대 국민국가의 완성
제3절 공화적 애국주의
1. 공화주의와 애국주의
2. 애국적 동조화
3. 공존적 국제주의와 열린 민족주의
제6장 결론 : 시민적 민족주의의 내실화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