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91160682045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해방 후 월남 기독교인의 활동과 통일》을 펴내며
《해방 후 월남 기독교인의 활동과 통일》에 관하여
미군정기 신문의 교회공간에 대한 인식: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법을 바탕으로 | 허선혜
1. 시작하는 말: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이론적 배경
3. 분석결과
4. 맺는 말
월남 기독교인의 남한 정착과정 연구: 이북신도대표회를 중심으로 | 장금현
1. 시작하는 말
2. 서북 기독교인들의 신앙성향과 월남동기
3. 해방 후 남한 기독교 상황
4. 월남 기독교인들의 정착과 주요 활동: 이북신도대표회를 중심으로
5. 맺는 말
1950년대 월남 기독교인의 국가윤리와 사회인식 | 윤은순
1. 시작하는 말
2. 해방 후 기독교인의 월남과 남한 정착
3. 월남 기독교인의 국가 건설론과 국가윤리
4. 대정부 인식의 분화
5. 맺는 말
6·25전쟁과 미국 복음주의와 한국교회 | 이은선
1. 시작하는 말
2. 국제십대선교회의 밥 피어스와 빌리 그래함의 6.25전쟁을 전후한 복음전파활동
3. 빌리 그래함과 밥 피어스의 반공 이념
4. 밥 피어스의 월드 비전의 구호사업과 세계구호위원회와 엘마 길보른의 구호사업
5. 국내 NAE의 조직과 미국 NAE와의 연계
6. 맺는 말
새벽기도회의 정례화와 공공성: 1930년대부터 1956년까지 | 윤은석
1. 시작하는 말
2. 해방 전까지의 새벽기도
3. 6·25 전쟁과 새벽기도
4. 새벽기도의 지향점의 변화: 내적에서 공적으로의 확대
5. 맺는 말
해방 후 통일담론의 발전과 기독교의 역할: 조봉암의 평화통일론의 배경과 의의 | 박창훈
1. 시작하는 말
2. 한국전쟁과 남한교회의 대응
3. 휴전반대운동과 북진통일론
4. 평화통일론의 대두: 죽산 조봉암의 성장과 역할
5. 맺는 말
북한이탈주민과 기독교: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 최현종
1. 시작하는 말
2. 북한이탈주민 현황
3.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독교 민간단체의 역할
4.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독교민간단체의 문제와 개선방안
5. 맺는 말
대한민국 제1공화국에서의 교회와 국가간의 갈등에 대한 연구: 국기 배례 거부를 중심으로 | 고성은
1. 시작하는 말
2. 국기 배례 문제의 발생
3. 국기 배례 문제의 확산
4. 국기 배례 문제의 해결
5.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