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가야
· ISBN : 9791160682458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12-31
책 소개
목차
아라가야학술총서를 발간하며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 남재우
Ⅰ. 서론
Ⅱ. 아라가야의 정치적 발전
Ⅲ. 아라가야의 공간
Ⅳ. 결론-가야사 속의 아라가야의 위치와 향후 연구의 방향
함안지역 청동기시대의 공간과 활용 | 윤호필
Ⅰ. 머리말
Ⅱ. 함안지역의 지리환경과 고환경
Ⅲ. 함안지역의 청동기시대 공간
Ⅳ. 함안지역의 청동기시대 공간 확대
Ⅴ. 맺음말
안야국의 성장과 국읍 | 김양훈
Ⅰ. 머리말
Ⅱ. 안야국의 형성기반
Ⅲ. 안야국 형성과 국읍 출현
Ⅳ. 안야국의 성장과 진동만 복속
Ⅴ. 맺음말
아라가야 고분군 분포로 본 공간활용과 그 의미 | 최경규
Ⅰ. 머리말81
Ⅱ. 아라가야 권역과 고분군
Ⅲ. 아라가야의 묘제 변천에 따른 고분군 분포변화
Ⅳ. 아라가야 목곽묘와 석곽묘 유형에 따른 고분군 분포와 그 의미
Ⅴ. 아라가야 왕묘역으로서의 말이산고분군의 공간구조
Ⅵ. 말이산 고총의 공간배치 형태 = 아라가야 지배층의 신분질서
Ⅶ. 맺음말
아라가야의 토기 생산체계와 생산공간 | 이정근
Ⅰ. 머리말
Ⅱ. 아라가야 토기생산유적과 생산체계
Ⅲ. 아라가야의 토기생산 공간과 유통
Ⅳ. 맺음말
아라가야 ‘國’의 공간구조 | 강동석
Ⅰ. 머리말
Ⅱ. 아라가야 ‘國구조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모델
Ⅲ. 시간적·공간적 분석단위의 설정
Ⅳ. 아라가야 ‘國’의 공간구조
Ⅴ. 맺음말
고대 왕성의 비교 -아라가야와 신라를 중심으로- | 이은석
Ⅰ. 머리말
Ⅱ. 왕성의 개념과 가야·신라의 유적
Ⅲ. 맺음말
중국 고대의 도성과 그 구조 | 웨이정(韦正)
Ⅰ. 제1 단계: ‘신(神)’의 도성
Ⅱ. 제2 단계: 조상(祖上)의 도읍
Ⅲ. 제3 단계: 사람, 신[人神] 분리의 도읍
中国古代都城和其结构
일본의 율령국가 형성기의 도성 | 시게미 야스시(重見泰)
Ⅰ. 들어가며
Ⅱ. 飛鳥(아스카) 궁터의 변천
Ⅲ. 難波長柄豊碕宮(나니와노나가라노토요사키궁)에서 後飛鳥岡本宮(노치노아스카오카모토궁)으로
Ⅳ. 小墾田宮(오하리다궁)에서 難波長柄豊碕宮(나니와노나가라노토요사키궁)으로
Ⅴ. 飛鳥(아스카) 궁터 Ⅲ기의 위상
Ⅵ. 藤原宮(후지와라궁)의 성립
日本における律令国家形成の都城
【부록】
Ⅰ. 아라가야 관련 문헌 참고목록
Ⅱ. 기록으로 본 아라가야사 연표
Ⅲ. 기록속의 아라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