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환기 동북아 질서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한.중 학계의 시각)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60683417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20-02-28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60683417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한국은 전통적 한미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한편 2008년 한중 양국이 맺은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의 내실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대화는 오해가 오판을 부르는 것을 방지하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한 손을 잡고 있으면 다른 손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차
Ⅰ. 국제질서의 전환과 동북아 판의 변화
1. 미중 패권경쟁의 심화 (차태서)
2. 미중 신형대국관계의 구축 (쉐샤오펑)
3. 미중관계와 한반도 평화 (정구연)
4.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미동맹 (리신)
5. 미국의 대중국 인식의 변화와 미중관계 (강수정)
6. 한중일 삼각관계 (샹하우위)
7. 일본의 대외전략 변화와 중국, 한국 (서승원)
Ⅱ. 전환기 동북아 정세와 한중관계
1. 협력과 갈등의 기로에 선 한중관계 (이민규)
2.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김한권)
3. 한중관계의 고도화 방안 (왕쥔성)
4. 한반도 인프라 영역의 한중협력 (왕웨이민, 뉴샤오핑)
5. 동북아 경제회랑의 공동 발전 (만하이펑)
6. 한중 인문교류와 한중관계 (싱리쥐)
Ⅲ. 한반도 평화와 새로운 한중협력
1.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수형)
2. 정전-평화체제 전환과 한중관계 (잔더빈)
3. 한반도 비핵화 협상의 쟁점과 과제 (최용환)
4. 한반도 비핵화 문제 해결의 인식과 방법 (류한우)
5. 북미 비핵화 협상과 한중협력 방향 (이영학)
6. 북한의 정상국가 추진전략 (홍석훈)
7. 동북아 평화 이념과 실천 (후링위안)
8. 동북아 평화와 주변국의 공동 책임 (양젠)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