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068675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02-1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서문 | 국제질서의 대분화와 한중관계의 재구성 _이희옥(李熙玉)
제1부 미중 전략경쟁의 새로운 위상
1. 미중 패권경쟁 동학에 대한 구조적 분석 _공민석(孔敏碩)
2. 바이든-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외 전략: 강대국과 주변국 _순리핑(孫麗萍)
3. 바이든 행정부의 인도·태평양 전략 _김지운(金智雲)
4. 인도·태평양 재균형과 ‘일대일로’ _쉐리(薛力)
5. 시진핑 시기 중국의 동북아 전략과 동북아협력의 미래 _차정미(車正美)
6. 완화와 조정: 미중경쟁 속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 _장무후이(張暮輝)
제2부 새로운 동북아 안보 아키텍처(architecture)
1. 미중 전략경쟁 속 한반도 정세 변화와 전망 _첸융(千勇)
2. 탈냉전기 북한의 대외전략과 바이든 시대 북미관계 _안경모(安京模)
3. 문재인 정부 말기의 남북관계 _리자청(李家成)
4.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세 가지 제안 _정일영(丁一榮)
5. 바이든-시진핑 시대 중일관계 변화와 일본의 지역전략 _텐칭리(田慶立)
6. 일본의 지역전략: ‘연결성의 지전략’으로서의 인도·태평양 _박창건(朴昶建)
제3부 지역 가치사슬의 재편과 중국
1. 중미 경제 디커플링과 중국의 대응 _리웨이(李巍)
2. 미중 기술경쟁과 중국 첨단기술정책의 변화 _백서인(白西寅)
3. 한중일 FTA의 쟁점과 전망 _최영미(崔英美)
4. 중일한 FTA의 기회와 도전 _추이밍쉬(崔明旭)
5. 중국의 FDI 개방과 그 함의 _이율빈(李聿彬)
6. 중국 자본시장의 개방과정 및 현황 _덩신(鄧鑫)
제4부 한중관계의 새로운 모색
1. 한중관계의 도전 요인과 극복의 길 _김현주(金賢珠)
2. 중한 공공외교의 비판적 회고 _진신(陳晨)
3. 미디어를 통해 본 한중관계의 변화 _허재철(許在喆)
4. 중한 연대와 협력의 가치 구축: 영상 작품 속 이미지를 중심으로 _이상우(李翔宇)
5. 중한 어업 문제 현황 및 제언 _왕자자(王佳佳)
6.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의 탄소 중립 및 기후정책 변화 _이재영(李在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