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구동존이

구동존이(求同存異)와 화이부동(和而不同)의 한중관계

(수교 30년을 보는 한중학계의 시각)

이희옥, 최선경 (엮은이),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기획)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구동존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구동존이(求同存異)와 화이부동(和而不同)의 한중관계 (수교 30년을 보는 한중학계의 시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60687507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22-10-25

책 소개

오늘날 한중관계는 최대한 갈등을 부각시키지 않고 현상을 관리하는 정태적(static) 관계에서 벗어나 모든 글로벌 현안을 함께 논의하면서도 한중관계의 도전요인을 극복하면서 발전하는 동태적(dynamic) 안정을 모색하는 전환기에 놓여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 구동존이(求同存異)와 화이부동(和而不同)의 한중관계 _이희옥(李熙玉)

제1부 한중 정치·안보

1. 한중 정치외교 관계 30년의 성취와 과제 _이동률(李東律)
2. 한국의 전략적 선택과 한중관계의 미래 _정지융(鄭繼永)
3. 한중관계와 한미관계 조화 방향 _신종호(申鍾浩)
4. 외생변수의 시각에서 본 한중관계 30년 _뉴린제(牛林傑)
5. 동북아 안보 아키텍쳐와 한미일 삼각관계 _천자현(千慈贤)
6. 동북아 안보정세 변화와 한미일 삼각관계 _궁커위(龔克瑜)
7. 한반도 비핵화와 북중관계 _이영학(李榮學)
8. 급변하는 질서 속의 한반도 비핵화 문제와 중북관계 _한센동(韓獻棟)

제2부 한중 경제

1. 상호투자를 통한 한중경제 공진화 30년 회고 _최필수(崔弼洙)
2. 중국 산업구조 변화와 중한 경제 공진화 _허시유(何喜有)
3. 반도체 산업의 미·중 디커플링과 우리의 대응 _조은교(趙恩嬌)
4. 중미 ‘경제 디커플링’과 ‘샌드위치 현상’ _추이밍쉬(崔明旭)
5. 미국 인태전략에 대한 한국의 시각 _이왕휘(李王徽)
6. 미국의 인태전략 _쉐리(薛力), 리샤오캉(李少康)

제3부 한중 사회·문화

1. 중한 청년의 문화적 유대 형성에 대한 제언 _위완잉(于婉莹)
2. 한중 문화갈등과 상호 인식 _이욱연(李旭淵)
3. 중국과의 대기오염 책임 논란과 한국의 환경외교 _장무휘(張暮輝)
4. 미세먼지 대응 한중 협력 현재와 미래 _추장민(秋長珉)
5. 중국동포와 발전적 한중관계 _김윤태(金潤泰)
6. 조선족 사회의 재구축 및 향후 역할에 대한 탐구 _쉬밍저(許明哲)

저자소개

이희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성균중국연구소 소장.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의 정치변동과 동북아시아 국제관계이며, 주요 논저로 《중국의 새로운 사회주의 탐색》, 《중국의 국가 대전략 연구》, 《중국의 새로운 민주주의 탐색》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선경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펼치기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학계를 대표하는 중국연구소. 중국 관련 주요 이슈마다 국내외 언론에서 취재에 나설 정도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2017년 이후 매년 『한경 BUSINESS』가 선정한 대한민국 외교 안보 싱크 탱크 가운데 중국 전문 연구 기관으로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복합 차이나 리스크’, ‘한중 거버넌스’, ‘한중 공공 외교’, ‘중국의 한반도 인식과 정책’ 등을 주제로 국제 학술회의를 개최해 새로운 학문 어젠다를 발굴·연구하고, 이를 정부와 기업 등 정책 영역에 제공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공산당과 중앙·지방정부 엘리트’, ‘중국 도시’ 등과 관련한 충실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등 대학 연구소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는 기초연구를 강화해 왔다. 이러한 성과가 국·중문 계간지인 『성균차이나브리프』와 『成均中國觀察』에 소개되면서 아시아권 중국 연구자들과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호평을 얻었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중국사회과학논총』은 중국 연구의 담론을 생산하고 학문적 소통을 강화하는 공론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 회원들에게 비공개 특별 리포트를 수시로 발간하여 심층적 분석과 통찰을 제공한다. 중국, 미국, 일본, 대만 등의 유력 중국 연구 기관과 학술 및 업무 협정을 체결했고, 공동 연구와 국제 학술회의를 통해 중국 연구의 국제화와 한국형 중국 연구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