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91160683622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문
1장 넓은 평야로 전국을 먹여 살리다
1. 인구, 최고의 밀도
1) 호적대장?어디로 갔을까?
2) 인구밀도?전국 최고
3) 공업화-사람들 떠나다
2. 농토, 최대의 면적
1) 양전-최대 논밭
2) 간척-사림의 물적기반
3) 피란민과 한센인도
4) 최초의 유역 변경식 댐
5) 근대 기업가 배출
6) 일본인 지주 이주
3. 논농사, 남도문화 만들다.
1) 논-‘식토의 향’
2) 미질-전국 최우수
3) 벽골제-수리시설 원조
4) 학자-농서 쓰고 수차 만들다
5) 놀이-풍흉 예측
6) 두레-단결 도모
4. 세금, 최다의 부담
1) 조·용·조에서
2) 3정으로
3) 조세-전국 절반
4) 세곡-전라도만 쌀로
5) 고려 6조창, 조선 3조창
6) 군산항-쌀 수탈장
5. 농민, 수탈에 저항하다.
1) 명화적-불을 지르다
2) 1862년-민란이 일어나다
3) 1869년-병란이 일어나다
4) 대기근-10년 민란
5) 1894년-동학농민운동
6) 20세기-소작쟁의
2장 명품을 생산하여 전국에 보급하다
1. 직물, 시전의 명품이 되다.
1) 옷감작물-전국 최다 재배
2) 비단-나주가 최고
3) 누에고치-광주학생항일운동 발단
4) 목화-주산지는 무안
5) 육지면-목포에서 최초 재배
6) 무명-시전 명품
2. 작물, 산업의 기본이 되다.
1) 감자-구황작물
2) 함평 고구마 사건
3) 담배-최고는 진안초
4) 남초가 유행
5) 인삼-최초 재배
6) 생강-주산지는 전주
3. 차, 도자기를 만들다.
1) 유자-특산지는 고흥
2) 귤, 제주도 공물
3) 녹차수도 보성
4) 다기-강진 청자를 만들다
5) 분청사기-생활자기
6) 옹기-장독대를 만들다
4. 대나무, 부채를 만들다.
1) 대나무-무거운 공물
2) 어디 참빗-영암 참빗
3) 죽향 담양
4) 전주 합죽선-한국문화 표상
5) 남평 승두선
5. 종이, 출판을 이끌다.
1) 닥나무-종이 원료
2) 지소-종이 공장
3) 1천년 종이
4) 방각본-지방 출판서
6. 사금과 옥돌, 전라도 광물을 대표하다.
1) 광물-도내 광산촌
2) 사금, 금구에서 준설기로
3) 옥돌-해남에서 예술품으로
4) 석탄-화순에서 노동운동을
3장 최초로 열린 장시에서 장타령이 불리어지다
1. 장시, 전라도에서 최초로
1) 탄생-15세기 서남부에서
2) 기근-장시로 극복
3) 도별-전라도 최다
4) 군현별-나주·순천 최다
2. 장터, 지역 중심지
1) 장명-면명·리명
2) 읍내장-큰장·작은장
3) 포구장-대형장
4) 병영장-어음 사용
5) 장터-면 소재지로
3. 장날, 시위하기 좋은 날
1) 5일장-5일마다
2) 유통권-생활권
3) 장날(1)-대자보 게시
4) 장날(2)-3·1운동
4. 상품, 특산품이 매매되다.
1) 상품(1)-수입품
2) 상품(2)-특산품
3) 가게-특정 상품 취급
4) 장세-재정 수입
5) 유력층-장시 개설 앞장
5. 장꾼, 장타령을 부르다.
1) 보부상-친일행위 거부
2) 소매치기, 주머니를 털다
3) 잡기-재산을 노리다
4) 장꾼-장타령으로 홍보하다
5) 각설이-품바로 구걸하다
4장 항해의 달인으로 어업을 발달시키다
1. 선원, 항해의 달인
1) 조선업-거북선 만들다
2) 항해술-독도 발견하다
3) 표류-표해록을 남기다
4) 뱃길-이웃과 소통하다
2. 포구,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
1) 상대포·회진-국제항
2) 법성포·줄포-돈 많은 곳
3) 광대-예술 공연
4) 해신제-안전과 풍어 기원
3. 어업, 최대 생산지
1) 갯벌-수산물 보고
2) 어민-어망 사용
3) 물고기-이야기 남기다
4) 소금-자염에서 천일염으로
5) 어촌계-공동체 생활
6) 일본 어민-남해안 이주
4. 굴비와 김, 음식문화를 바꾸다.
1) 굴비-수산 가공식품
2) 홍어-전라도 상징
3) 김-광양에서 양식
4) 꼬막-벌교를 대표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