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60683714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0-04-19
책 소개
목차
발간사
1부 총론 _최정기
1. 문제제기
2. 대상 범위 및 민청학련의 영향
3. 자료조사 방법
2부 전남대 학생운동권의 형성 _최정기
1장 1970년대 후반의 대학 통제정책
1. 긴급조치 시대
2. 학도호국단 체제와 폭력적인 학생통제
2장 1970년대 말 전남대 ‘운동권’의 형성
1. 1970년대 중반의 학습팀 구성
2.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들의 석방 및 활동
3. 1970년대 후반 학생운동관련 주요 활동
4. 1970년대 후반의 학생 서클들과 운동권의 형성
5. 1970년대 후반의 반 유신투쟁 및 은밀한 저항들
3장 10·26 이후 학원민주화운동
1. ‘10·26’ 이후 학교 상황과 당국의 조치들
2. 운동권의 1980년 준비
3. 통일주체국민회의의 대통령선출 반대운동
4장 1980년 개학과 총학생회 결성
1. 총학생회 결성을 위한 학원자율화추진위원회의 활동
2. 학원자율화를 향한 다양한 움직임들
3. 전남대 총학생회 구성
3부 1980년 전남대 총학생회의 활동과 5·18민중항쟁 _최정기
1장 총학생회 체제의 구축과 주요 활동
1. 총학생회 체제 구축
2. 어용교수 반대운동
3. 교외 투쟁 및 정치민주화운동
2장 5·18 국가폭력과 민중항쟁 및 전남대생들의 대응
1. 신군부의 5·17조치와 총학생회 지도부의 피신
2. 5월 18일 전남대생들의 저항과 시민들의 참여
4부 5·18항쟁의 발발과 전남대 총학생회 구성원들의 고통 _김형주
1장 비상계엄의 확대와 도피로 내몰림
1. 예비검속과 학생들의 저항
2. 도피 생활의 시작과 도피 방식
3. 도피 기간과 마감 방식
4. 도피 생활로 인한 당사자와 가족, 지인의 고통
2장 수사와 구금과정에서 고초
1. 505보안대에서 고문과 가혹행위
2. 상무대 영창에서 폭력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저항
3. 교도소에서 처우개선 투쟁과 징벌
3장 석방 후 고립과 낙인
5부 전남대 총학생회와 박관현의 리더십 _양라윤
1장 총학생회장 후보 박관현의 등장
2장 총학생회 구성과 의사결정 과정
3장 민주화의 횃불, 박관현
6부 1980년 이후 ‘1980년 총학’ 구성원들의 삶 _유경남
1장 5·18항쟁 직후 전남대 민주화운동
1. 5·18항쟁 직후의 전남대 민주화운동
2. 박관현의 죽음과 학생운동의 부활
2장 박관현 열사 기념사업
1. 박관현 열사 정신 계승 활동
2. 민파(민중의 파도)의 결성과 추모활동
3. 박관현기념사업회의 출범과 기념사업
3장 박관현장학재단의 설립과 운영
1. 장학재단의 출범
2. 장학사업
3. 계속되는 박관현 추모사업
7부 맺음말 _최정기
참고문헌
부록 1. 1980년 전남대 총학생회 회칙
부록 2. 민파 회칙
부록 3. 전남대 1980년 총학생회 / 사회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