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88976965189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06-08-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 역사용어를 바로 써야 하는 이유 /한정숙
1. 삼국시대에서 사국시대로 /김태식
2. 통일신라시대에서 남북국시대로 /송기호
3. 백성, 평민, 민중 /정창렬
4. 신사유람단을 1881년 일본시찰단으로 /이이화
5. 기존 개화파 용어에 대한 비판 /주진오
6. 광무개혁을 둘러싼 논쟁 /왕현종
7. 조규와 조약, 무엇이 다른가? /김민규
8. 을사조약이 아니라 한일외교권위탁조약안이다 /이상찬
9. 한국병합인가, 한일합방조약인가? /이태진
10. 한말, 개항기, 개화기, 애국계몽기 /이윤상
11. 왜정시대, 일제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김정인
12. '위안부', 정신대, 공창, 성노예 /강정숙
13. 친일과 협력 /이기훈
14. 민족자본의 개념을 다시 돌아본다 /전우용
15. 독립운동인가, 민족해방운동인가? /이기훈
16. 무정부주의와 아나키즘 /류시현
17.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류시현
18. 부르주아민족주의, 우파 민족주의, 문화민족주의 /박찬승
19. 자유민주주의 /임대식
20. 해방인가, 광복인가? /신주백
21. 반탁은 있었지만, 찬탁은 없었다 /박태균
22. 소군정은 실재했는가? /기광서
23. 중간파인가, 중도파인가, 합작파인가? /서중석
24. 한국전쟁/6.25를 기억하는 방식: 역사용어와 사유체계의 문제 /박명림
25. 정전혐정인가, 휴전협정인가? /박태균
26. 탈취-노획의 전쟁기록, NARA의 북한 노획문서 컬렉션 /정병준
27. '8월종파': 종파, 분파, 당내경쟁 /백준기
28. 월북과 납북 /이신철
29. 동포와 민족 /민동택
30. 의사와 열사 /은정태
31. 근현대 정치범의 다양한 이름 /최정기
32. 재벌기업과 재벌총수 /김기원
33. 양력과 음력 /신동원
34. 한의학(漢醫學)과 한의학(韓醫學) /신동원
35. 민족문학, 국민문학, 민족주의문학 /하정일
36. '순수문학'이라는 오해
37. 외국 국가명 표기를 바꾸자 /김동택
38. 간도, 간도출병 /배성준
39. 극동, 동아시아, 동북아시아의 함의 /김희교
40. 중국 애국주의의 실제: 신중화주의, 중화패권주의, 민족주의 /김희교
출전을 밝혀주는 본문의 주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하신 분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반탁은 있었지만 찬탁은 없었다
반탁운동과 대립했던 '찬탁운동'은 반탁운동 진영에서 좌익 정치세력을 비난하기 위해 만든 용어라고 할 수 있다. 좌익 정치세력은 '신탁통치를 찬성'한다는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으며, 단지 '조선 문제에 대한 모스크바 3상협정에 대한 지지'(이하 '3상협정 지지'로 약칭)를 주장했다. 물론 모스크바 3상협정의 제3항에 '최고 5년을 기한으로 하는 신탁통치의 실시'라는 내용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3상협정 지지'가 '신탁통치를 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좌익 정치세력이 공개적으로 열강에 의한 신탁통치안을 지지한 예는 없다.
찬탁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46년 1월 4일이었다. 한국민주당은 담화를 통해, 1946년 1월 2일에 조선공산당이 반탁궐기대회를 한다고 서울 시민을 동대문운동장에 모아놓고 갑자기 반탁 대신에 신탁통치를 수락한다는 입장을 발표했다고 주장했다. 이 성명은 <동아일보> 1946년 1월 5일자로 보도되었으며, 그 이후 우익 정치세력은 자신들의 반탁 주장에 반하는 '찬탁'이라는 용어를 통해 좌익 정치세력을 비난했다.
좌익 정치세력이 찬탁을 주장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1946년 1월 7일에 있었던 '4당 코뮤니케'를 통해서 잘 드러난다. 3상협정안이 발표된 이후 반탁운동과 3상협정 지지운동 간의 대립이 점차 심화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분열을 우려한 좌우익의 한국민주당, 국민당, 조선공산당, 그리고 조선인민당의 대표가 모여 3상협정에 대해 힘을 합쳐 대응할 것을 결의했다. 그 결의 내용의 핵심은 "조선 문제에 관한 3상회의의 결정에 대하여 조선의 자주독립을 보장하고 민주주의적 발전을 원조한다는 정신과 의도는 전면적으로 지지"하지만, 신탁통치 문제는 "장래 수립될 우리 정부로 하여금 자주독립의 정신에 기하여 해결"한다고 하여,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 본문 156~15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