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7392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조선사회의 대응
인조대 조익(趙翼)과 최유해(崔有海)의 율곡학(栗谷學) 변용과 경세학 | 조성산
1. 머리말
2. 율곡(栗谷) 이기론(理氣論)의 변용
3. 인심(人心)에 대한 해석: 인심과 인욕(人欲)의 관계문제
4. 경세학적 맥락과 의미
5. 맺음말
거문도사건을 통해 본 1880년대 조선의 자국인식과 외교정책 | 천수진
1. 머리말
2. 서양의 조약체제를 이용한 조선 정부의 대응
3. ‘변주’된 사대관계를 이용한 조선 정부의 대응
4. 맺음말
외교사의 각도에서 다시 보는 방곡령(防穀令)사건(1889~1893) | 우신
1. 머리말
2. 방곡령(防穀令)사건 직전의 동북아 정세
3. “방곡력(防穀令)사건”과 조·청관계의 회복
4. 맺음말
제2부 한국근현대 속의 갈등과 모색
윤해 저격 사건으로 본 상해지역 민족운동 내부의 갈등 | 김영진
1. 머리말
2. 윤해 저격 사건과 상해의 정치상황
3. 갈등의 폭력으로의 전환
4. 암살을 선택한 사람들
5. 상해 조선인 사회의 반응
6. 맺음말
1927년 영남친목회 반대운동 연구 | 임경석
1. 머리말
2. 영남친목회의 결성
3. 영남친목회 반대운동
4. 지방열단체 반대운동으로의 확산
5. 반대운동의 결과
6. 반대운동의 이면
7. 맺음말
‘코민테른 권위주의’ 성립에 관한 한 시론: 소위 ‘후쿠모토주의’를 둘러싸고 | 후지이 다케시
1. 머리말: ‘코민테른 권위주의’와 ‘후쿠모토주의’
2. 일본 사회주의운동과 후쿠모토 가즈오
3. 코민테른은 ‘후쿠모토주의’를 어떻게 보았는가
4. 맺음말
이승만 정권기 ‘공화’ 이해와 정치적 전유 | 오제연
1. 머리말
2. 군주제와 공산주의에 대한 대항담론, ‘공화’
3. ‘공화’ 담론의 정치적 전유와 경합
4. 맺음말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