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과 사례)

고바야시 소메이, 김영미, 김호동, 남종국, 리전더, 박혜정, 이명미, 정병준, 최재영, 최해별, 함동주 (지은이)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0원
3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과 사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0687835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11-28

책 소개

이화 지역사 세계사 총서 1권. 서양문명사에 초점을 둔 지금의 세계사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한편, 동아시아, 동부유라시아, 중앙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범주의 역사연구방법론의 한계와 가능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세계사 교육모델과 연구의 사례를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방법·교육모델

‌‘변방사’로 세계사 읽기 : 중앙유라시아사를 위한 변명 | 김호동
Ⅰ. 머리말
Ⅱ. 세계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Ⅲ. 한국사와 중앙유라시아사
Ⅳ. 맺음말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전개와 향방 | 최재영
Ⅰ. 일본의 ‘동부유라시아’에 대한 학계 관심
Ⅱ.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의 함의
Ⅲ. 일본의 ‘동부유라시아’ 연구에 대한 비판과 그 향방

‌세계사 교육 강화를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 세계문명사, 빅히스토리, 문자/이미지 사료학습 | 박혜정
Ⅰ. 머리말
Ⅱ. 세계문명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Ⅲ. 빅히스토리를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Ⅳ. 문자/이미지 사료학습을 활용한 세계사 교육
Ⅴ. 맺음말

제2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1 : 지(知)의 유통과 교역

밖에서 본 중국: 『의심방(醫心方)』의 서적 인용과 부인과(婦人科) 논술 | 리전더(李貞德)
Ⅰ. 『의심방(醫心方)』의 편찬과 전사(傳寫)
Ⅱ. ‌『의심방』의 부인병(婦人病)에 대한 인식: 임신과 출산을 병의 원인으로
Ⅲ. ‌『의심방』의 『산경(產經)』 인용 및 「임부월금맥도(任婦月禁脈圖)」
Ⅳ. ‌중국 의학의 일본화 : 임신과 출산에 편중된 부인방(婦人方)의 전통

동아시아 전통 검시 지식의 계보: 검시 참고서의 편찬·전파·변용을 중심으로 | 최해별
Ⅰ. 머리말
Ⅱ. 서명과 체례 : ‘세원(洗冤)’에서 ‘무원(無冤)’으로 그리고 다시 ‘세원’으로
Ⅲ. 검시 전 사체처리와 사체 관찰 방법의 전승
Ⅳ. 살상(殺傷) 검시 지식의 전승과 보충
Ⅴ. 뼈의 검시 지식의 단절과 계승
Ⅵ. 맺음말

11세기 후반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동아시아 유통과 영향 | 김영미
Ⅰ. 머리말
Ⅱ. 『석마하연론』과 주석서의 유통
Ⅲ. 『석마하연론』 유통의 배경
Ⅳ. 『석마하연론』 유통의 영향
Ⅴ. 맺음말

몽골 평화 시대 아시아에서 유럽 상인들의 상업 활동 | 남종국
Ⅰ. 머리말
Ⅱ.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교역로
Ⅲ. 기록 속의 상인들
Ⅳ. 상업 활동
Ⅴ. 맺음말

제3부 지역사와 세계사 연구 사례 2 : 인적 교류와 경험

고려 - 몽골 간 사신(使臣)들, 확장된 공간에서 정치를 매개하다 | 이명미
Ⅰ. 머리말
Ⅱ. 고려에 온 몽골 사신들의 활동
Ⅲ. 고려 측 사행(使行) 양상의 변화
Ⅳ. 고려-몽골 간 사행 양상 변화의 배경
Ⅴ. 맺음말

‌1900년대 초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와 명사록 출판 | 함동주
Ⅰ. 머리말
Ⅱ. 러일전쟁과 재조일본인 사회의 변화
Ⅲ. 입신출세와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출간
Ⅳ. 재조일본인 명사록의 ‘성공’ 내러티브
Ⅴ. 맺음말

M.L.오즈본의 포로 교육 경험과 ‘관전사(貫戰史, Trans-War History)’로서의 심리전 | 고바야시 소메이(小林 聰明)
Ⅰ. 머리말
Ⅱ. 중국에서의 대일(對日)심리전 경험
Ⅲ. 일본·한국에서의 포로교육 경험
Ⅳ. 류큐·베트남에서의 홍보/심리전 경험
Ⅴ. 맺음말

1950년대 재미한인 『독립』 그룹의 비미(非美)활동조사위원회(HUAC) 청문회 소환과 추방 | 정병준
Ⅰ. 머리말
Ⅱ.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에 소환된 재미한인들
Ⅲ. 비미활동조사위원회 청문회의 주요 쟁점
Ⅳ. 미국에서 추방된 재미한인들
Ⅴ. 맺음말

저자소개

김호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하버드 유학 시절에 『집사』를 읽기 시작하였고,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집사』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라시드 앗 딘의 집사』(전 5권)는 2023년 한국출판문화상 올해의 번역서로 선정되었다. 몽골제국과 중앙유라시아 역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케임브리지 몽골제국사)』(전 2권, 2023)의 대표 저자를 맡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 『황하에서 천산까지』, 『동방 기독교와 동서문명』, 『몽골제국과 고려』,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한 역사학자가 쓴 성경 이야기: 구약편』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역사서설』, 『유목 사회의 구조』,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이슬람 1400년』, 『몽골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등 여러 권의 책을 번역했다.
펼치기
남종국 (감수)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세 지중해 교류사와 순례를 연구하고 있으며, 『샤일록 구하기: 이자 대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쓰고 있다. 저서로는 Le commerce du coton en Mediterranee a la fin du Moyen Age(2007), 『지중해 교역은 유럽을 어떻게 바꾸었을까?』(2011),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근대 자본주의와 혁신의 기원』(2015), 『중세 해상제국 베네치아』(2020), 『중세를 오해하는 현대인에게』(2021),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명의 교류: 아비뇽에서 개경까지』(2021, 공저), 『사료로 보는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화 교류사』(2021, 공저), 『질병 관리의 사회문화사: 일상생활에서 국가정책까지』(2021,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라토의 중세 상인: 이탈리아 상인 프란체스코 다티니가 남긴 위대한 유산』(2009),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2-1, 2-2』(공역, 2017)가 있다. 그 밖에 “Who is Rex Corum in the Letter of 1333 by Pope John ⅩⅩⅡ?”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리전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중국 중세 법률제도와 의료문화를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대만사·동아시아의료사로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펼치기
최재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문 수련을 하였고,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2023년 현재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수당 장안성 및 중국도성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넓고 깊게 보는 중국 미술 唐』(공저, 민속원, 2020), 『한국과 동아시아의 동궁 연구』(공저, 역사산책, 2018), 『도시 속의 역사』(공저, 라움, 2012)가 있으며, 역서로는 『또 하나의 돈황』(이담북스, 2005),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황금가지, 2006)가 있다. 그 외 논문으로 「당대 문서행정 법령의 체계와 그 의미」(『중국학보』 91, 2020), 「수당장안성과 시장의 기능」(『역사와 담론』 86,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이명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습니다.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주로 정치사를 중심으로 한 고려-몽골 관계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 연구》 《고려, 몽골에 가다》 《고려.몽골 관계 깊이 보기》 들이 있으며, 함께 지은 책으로는 《고려 역사상의 탐색》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명의 교류》 《새로 쓰는 지역사와 세계사》 들이 있습니다. tvN STORY 〈벌거벗은 한국사〉에 출연해 한국사를 알리는 일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펼치기
고바야시 소메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니혼대학(日本大学) 법학부 교수 박사(사회학). 전문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미디어사, 한반도 지역 연구. 주요 저서는 『재일 조선인의 미디어 공간–GHQ점령기에서의 신문 발행과 역동성(在日朝鮮人のメディア空間–GHQ占領期における新聞発行とそのダイナミズム)』 (風響社, 2007),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감동–미군정기/1950년대 초 한국사회(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と感情―米軍政期/一九五〇年代初頭の韓国社会)” (川島真・細谷雄一 편, 『샌프란시스코 강화와 동아시아(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と東アジア』東京大学出版会,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독일현대사, 지구사, 환경사(기후사), 융합교양교육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정병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현대정치사와 인물을 연구하고 있으며, 지금은 김규식평전을 쓰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