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항구ㆍ원조ㆍ사람)

김대래, 서광덕, 양민호, 백두주, 공미희, 이나요시 아키라, 김경아, 권의석, 왕매향, 이상원, 최민경, 고바야시 소메이, 주현희 (지은이), 부경대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엮은이)
소명출판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항구ㆍ원조ㆍ사람)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59057564
· 쪽수 : 423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1970년대 이후 동북아해역에서 일어난 가장 큰 흐름은 산업화이다. 곧 냉전체제와 함께 특구를 중심으로 수출주도의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이것은 1980년대 이후 중국의 경제성장으로까지 전개되었다. 이 책은 산업화를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들이다.

목차

발간사
엮은이 서문

김대래
전후 동아시아에서의 산업화-역사적 회고와 전망

1. 바다의 헤게모니
2. 바다의 역전-‘해금’의 바다
3. 미국-일본-동아시아의 3각 경제순환-냉전의 바다
4. 중국의 부상-세계화의 바다
5. 어떤 바다를 만들 것인가?

제1부
항구

서광덕
탈냉전이후 중국의 산업화와 해역의 변화-광둥성의 항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개혁개방정책과 중국 해양인식의 변화
3. 광저우와 주변 항구의 개발 및 산업화
4. 나가며

양민호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선정과정에 관한 연구-교통지리학적 입장에서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3. 마산 수출자유지역 선정
4. 마산 수출자유지역 입주
5. 나가며

백두주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부산항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기존 논의
3. 항만도시의 성장
4.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5. 나가며

공미희
요코하마항구의 변천과정과 특징 연구-공간특성과 이동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개항장 요코하마에서 도시 요코하마로의 변화
3. 1960년대 항구도시 요코하마의 재발견과 문화적 특징
4. 항구문화와 도시발전의 상관성
5. 나가며

이나요시 아키라
근대 일본 항만 도시의 아포리아-쓰루가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근세 근대 이행기의 항구 도시 변화
3. 쓰루가敦賀 사례
4. 나가며

제2부
원조

김경아
개혁개방 이후, 푸젠성 마조신앙媽祖信仰의 부흥과 중국 전통문화의 재건

1. 신중국 성립과 마조신앙의 단절
2. 개혁개방 이후, 마조신앙의 부흥 전략
3. 마조신앙의 복원과 중국 전통문화의 재건
4. 다시 마조신앙으로

권의석
1960~1970년대 영국의 대한對韓기술지원-울산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영국의 대한국 원조 채널
3. 영국 원조에 의한 기술학교 설립 동의
4. 울산공과대학 설립 협정 개정 및 연장
5. 나가며

왕매향
타이완에 대한 미국의 문화원조-1950~1969년까지 타이완 해양도시 가오슝高雄의 서민문화를 중심으로

1. 미국공보원United State Information Service을 통한 문화수입
2. 비정부기구의 문화협력
3. 민간의 미국문화 흡수-가오슝高雄의 사례

이상원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와 시민 저항-1968년 미국의 ‘엔터프라이즈 호’ 입항 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 구舊 4군항과 사세보 군항
3. ‘엔터프라이즈 호’ 입항과 사세보 시민의 저항
4. 나가며

제3부
사람

최민경
어업이민을 통한 해방 후 해외이주정책의 이해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어업이민의 등장과 계획-1977~1982년
4. 어업이민의 전개와 결과-1983~1987년
5. 나가며

고바야시 소메이
낙농으로 본 한일관계의 일단면-1960년대 후반-지역 간(홋카이도-경기도) 교류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홋카이도 낙농 연수의 실시
3. 낙농연수에 대한 당사자들의 반응
4. 나가며

주현희
원양 실습일지에 나타난 실습선원들의 해양인식 고찰

1. 들어가며
2. 한국 원양어업 개척기의 개관
3. 원양실습일지에 나타난 해양인식
4. 이문화의 수용 양상
5. 나가며

초출일람
필자 소개

저자소개

서광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루쉰과 동아시아 근대』(2018), 『중국 현대문학과의 만남』(공저, 2006), 『동북아해역과 인문학』(공저, 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루쉰』(2003), 『일본과 아시아』(공역, 2004), 『중국의 충격』(공역, 2009), 『수사라는 사상』(공역, 2013), 『아시아의 표해록』(공역, 2020) 등이 있으며, 『루쉰전집』 20권 번역에 참가했다. 2025년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대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경제학박사 부산매일 논설위원 역임 영국 Exeter 대학 객원교수 신라대학교 상경대 학장 및 부총장 역임 현 신라대학교 경제금융전공 교수
펼치기
공미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일어일문학부 대학원에서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동북아해역과 인문학』(공저, 2020), 『동북아해역과 귀환-공간, 경계, 정체성』(공저, 2021), 『바다를 건넌 물건들』 1(공저,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기선의 시대-근대 동아시아 해역』(공역, 2020)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A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Japanese Fusion Cuisine Created Through Cross:cultural Ex -changes with the West in Port Cities”(SCOPUS, 2018),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s in Ulsan”(SCOPUS, 2021), 「수산업을 통한 지역 사회의 연대활동과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구룡포를 중심으로」(2023) 등이 있다.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최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부교수, 사회사, 역사사회학 전공. 1983년 출생.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졸업하고 동 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지역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일본 히도쓰바시(一橋)대학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저서로는 『재일한인의 해역인문학』(2024), 『바다를 건넌 물건들 Ⅱ』(공저, 2024), 『바다를 건넌 사람들 Ⅱ』(공저, 2021) 등이 있고, 역서로는 『해항의 정치사: 메이지에서 전후로』(2023), 『조선우선주식회사 25년사』(공역, 2023), 『근대 아시아시장과 조선: 개항, 화상, 제국』(공역, 2020) 등이 있다.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3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부산교통방송(TBN) <달리는라디오> ‘배아봅시데이’ 코너에 출연하였다.
펼치기
양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조교수, 사회언어학, 언어지리학 전공. 1972년 출생. 전주대학교 일어교육과 졸업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도쿄(東京)외국어대학 석사과정을 거쳐 도호쿠(東北)대학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저서로는 일본에서 출판된 『일본어 변이론의 현재』(공저, 2024), 『일본어 어휘로의 어프로치』(공저, 2015), 『외래어 연구의 신전개』(공저, 2012)가 있다. 국내에서는 『해역인문학의 시선-해역 위의 언어풍경』(2024), 『바다를 건넌 물건들 I, II』(공저, 2022, 2023), 『동북아해역과 인문학』(공저, 2020), 『소통과불통의 한일 간 커뮤니케이션』(공저, 2018) 등이 있다. 그리고 역서로는 『경제언어학-언어, 방언, 경어』(공역, 2015)이 있다.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국립국어원 공공용어 번역 표준화 위원회 자문 위원, 한국방언학회 연구이사이다. 부산교통방송(TBN) <달리는 라디오>의 목요일 고정 코너인 ‘배아봅시데이’에 출연하여 부산 사투리를 소개하고 있다.
펼치기
백두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를 취득하고 현재 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주현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에서 국어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로 개항 이후 근대 시기에 이루어진 한국과 일본의 교육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근에는 한국과 일본의 한국어 교재 및 학습서에 나타난 음운 현상, 품사 체계 등을 연구하였으며, 교육 평가 및 평가 도구 분석에 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피란, 그때 그 사람들』(공저), 『바다 사람들의 생애사 4』(공저), 『바다를 건넌 사람들 II』(공저), 『내가 바라본 바다』(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고바야시 소메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니혼대학(日本大学) 법학부 교수 박사(사회학). 전문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미디어사, 한반도 지역 연구. 주요 저서는 『재일 조선인의 미디어 공간–GHQ점령기에서의 신문 발행과 역동성(在日朝鮮人のメディア空間–GHQ占領期における新聞発行とそのダイナミズム)』 (風響社, 2007),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감동–미군정기/1950년대 초 한국사회(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条約と感情―米軍政期/一九五〇年代初頭の韓国社会)” (川島真・細谷雄一 편, 『샌프란시스코 강화와 동아시아(サンフランシスコ講和と東アジア』東京大学出版会,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권의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펼치기
이나요시 아키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일본 아이치현(愛知縣) 출생. 도쿄도립대학(東京都立大學) 경제학부 졸업 후, 동 대학원 사회과학연구과에서 석사과정, 박사과정(2005년 수도대학도쿄(首都大學東京))로 재편·통합)을 졸업했다. 전공은 일본의 정치외교사이며 2020년부터 니가타대학(新潟大學) 인문사회과학계열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港町巡礼-海洋国家日本の近代』(2022), 「開港場行政の誕生-細分化する行政規則」(2022), 「東寿とその港湾運営構想-戦後港湾行政を理解する手がかりとして」(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나요시 아키라의 다른 책 >
김경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HK연구교수
펼치기
왕매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 국립 중산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