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사상사
· ISBN : 9791160689549
· 쪽수 : 908쪽
· 출판일 : 2025-03-14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서 문
제1장 한국정치사상사 연구의 방법과 범위
1. 서론
2. 정치사상사 연구의 시듦[凋落]
3. 정치사상사 연구의 필요와 과제
4. 무엇을 담을 것인가?
5. 결론
제1편 고대 : 신과 인간의 만남
제2장 신시神市의 시대
1. 서론
2. 천신의 하강
3. 인간의 탄생
4.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
5. 결론
제3장 왕들의 탄생
1. 서론
2. 군거群居의 시작
3.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
4. 왕의 탄생
5. 결론
제4장 원시공동체의 민회
1. 서론
2. 법제 : 8조 금법
3. 남당南堂
4. 화백和白
5. 결론
제5장 제천 의식과 부락제
1. 서론
2. 하늘에 대한 제례
3. 인간의 놀이
4. 소망
5. 결론
제6장 초기 불교
1. 서론
2. 화해와 다툼[和諍]
3. 대승의 세계 : 불교의 세속화와 세속의 불교화
4. 정토의 세계 : 불국토
5. 결론
제7장 노장사상과 도교
1. 서론
2. 자연에 관한 인식 : 경험주의적 유물론
3. 국가와 권력에 관한 의식 : 정치적 냉소주의와 자유의지
4. 폭력에 대한 혐오
5. 결론3
제2편 중세 : 교정敎政의 갈등과 공존
제8장 나말여초의 사조
1. 서론
2. 선종禪宗의 등장
3. 국토비보설裨補說
4. 신라 유학의 잔영
5. 미륵불彌勒佛
6. 결론
제9장 고려의 창업과 수성守成
1. 서론
2. 「훈요십조」
3. 최승로崔承老 : 「시무時務 28조」
4. 신라 정신의 계승
5. 결론
제10장 고려의 불교
1. 서론
2. 팔관회·연등회
3. 천태天台와 돈오頓悟의 세계 : 의천義天과 지눌知訥
4. 대륙에 관한 인식 : 묘청妙淸
5. 대장경의 인각印刻
6. 역사 인식 : 일연
7. 결론
제11장 고려의 향정鄕政
1. 서론 : 왜 향정인가?
2. 지방분권의 유산 : 향신鄕紳
3. 사심관事審官 제도制度의 발생사적 배경
4. 사심관의 존재 형태와 권한
5. 성격의 변질
6. 결론
제12장 무신 정권 시대의 사조
1. 서론
2. 무신 정권의 등장
3. 신분 질서의 도전
4. 지식인의 운신과 고뇌 : 이규보李奎報
5. 해양정신과 민족 의식의 태동 : 삼별초
6. 결론
제3편 근세 전기 : 주자성리학의 논변
제13장 유교의 정치학적 함의
1. 서론
2. 정명正名
3. 위민爲民의 논리
4. 변혁의 논리와 폭군방벌론
5. 결론
제14장 초기 주자학과 절의
1. 서론
2. 주자학의 전래와 초기 인식
3. 왕조의 향수 :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논리
4. 대륙에 대한 인식 : 원명 교체기의 고뇌
5. 결론
제15장 역성易姓과 배불排佛의 논리
1. 서론
2. 불교 배척[排佛]의 논리
3. 역성易姓의 논리
4. 재상론
5. 결론
제16장 세종世宗
1. 서론
2. 백성을 가르침[訓民]
3. 백성을 긍휼히 여김[恤民]
4. 영토에 대한 인식
5. 언로言路
6. 결론
제17장 『경국대전』과 율령국가의 형성
1. 서론
2. 율령의 성립
3. 국가의 틀
4. 통치 이념
5. 결론
제18장 지치주의至治主義
1. 서론
2. 지치주의의 학맥
3. 성왕聖王의 논리
4. 군자·소인의 논리
5. 벽사론辟邪論
6. 결론
제19장 향약鄕約과 향속鄕俗
1. 서론
2. 향약의 역사와 전래
3. 향약의 정신
4. 상조相助 제도의 존재 형태
5. 결론
제20장 선비의 부침浮沈
1. 서론 : 왜 선비인가?
2. 선비 문화의 등장 : 비교문화사적 고찰
3. 선비의 자질
4. 선비의 몰락
5. 결론
제21장 중화주의의 빛과 그늘
1. 서론 : 왜 중화주의를 논의해야 하는가?
2. 원죄原罪 : 나당羅唐 연합과 삼국전쟁
3. 당송唐宋문화의 황홀감 : 김부식金富軾의 생각
4. 이성계李成桂의 업장業障 : 변방 무사의 유기遺棄 불안
5. 조선 주자학의 그늘 : 재조지은再造之恩
6. 탈중화주의 운동의 맥락
7. 결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