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080718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1-10-18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잘 가르치는 역사교사이고 싶다 | 가르치는 것의 반은 배우는 것이다
1부 함께한다는 것
1장 모두 다 행복한 학교라구요?
1 다행복학교, 부산 만덕고등학교 | 2 수업 혁신을 시작하다 | 3 네 역사교사의 첫 만남 | 4 각자의 도전과 성장
2장 한 해의 역사수업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1 2월 교과협의회, 1년의 시작 | 2 수능 필수과목인 한국사, 어떻게 가르칠까? | 3 한국사 수능에 대한 오해와 이해 | 4 학생에게 맞춘 역사과 교육과정 편성하기 | 5 입시? ‘교-수-평-기’ 일체화로 수시전형에 집중
3장 함께하는 수업 준비, 학습지 제작
1 학습지로 하는 수업 | 2 함께 학습지 만들기 | 3 만덕고 학습지의 특징—수업계획서로서의 학습지
4장 수업 속으로: 한두 번의 시도로 교사도 학생도 바뀌지 않는다
1 어떻게 시작할까? | 2 “일단 보자” | 3 2년간 이어진 수업 나눔과 협의회
2부 따로 또 같이
5장 같은 학습지, 다른 수업
1 함께 수업을 설계한다고 교실 수업이 같아질까? | 2 수업의 개성 1—내러티브 구조와 모둠활동 운영 | 3 수업의 개성 2—설명의 맥락
6장 교과서를 덮어두고, 같은 주제로 각자 수업하기
1 3인 3색, 각자의 수업 빛깔 | 2 수업 디자인에 가장 영향을 미친 역사 인식과 학습관 | 3 자기 빛깔이 더 선명한 실제 수업, 서로 배울 점 찾기 | 4 수업협의회에서 서로에게 무엇을 어떻게 배울까?
7장 교사의 지속적인 자기 발전은 어떻게 가능할까?
1 단기적이고 한시적인 이벤트로 교사를 성장시킬 수 없다 | 2 교사들이 바라는 전문성 준비협의회 | 3 진단에서 안정화까지 1—A교사의 좌충우돌 모둠수업 적응기 | 4 진단에서 안정화까지 2—자기 수업 객관화에 도전한 B교사 | 5 진단에서 안정화까지 3—즐거운 역사수업을 꿈꾼 C교사 | 6 3단계 수업협의회를 통해 경험한 것들
3부 교학상장
8장 학생들은 무슨 생각을 하며 역사교실에 들어올까?
1 학생들이 말하는 역사수업 | 2 출발선에서 확인한 학생들의 역사에 대한 호감 | 3 1년 후, 변화한 역사 호감도 | 4 학생들이 말하는 자신의 성장
9장 읽고 듣고 말하면서 배우는 모둠수업
1 와글와글, 학생들 목소리가 넘치는 교실 | 2 학생들이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모둠수업 | 3 모둠수업으로 역사를 배우는 학생들 | 4 모둠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 【참고】 모둠수업 이렇게 합시다
10장 생각하고 쓰면서 배우는 역사 글쓰기 수업
1 나의 역사 쓰기로 시작 | 2 역사 글쓰기 수업의 완성, 소논문 쓰기 | 3 학생들의 생각을 키우는 역사 글쓰기 수업
11장 민주 시민을 기르는 역사수업
1 민주주의를 배우는 역사수업 | 2 교실 안으로 들어온 역사 논쟁, 토론수업 | 3 교실 밖에서의 역사 탐구, 프로젝트 수업
12장 교실과 교과서를 벗어나 역사를 배우다
1 역사동아리에 가입한 아이들 | 2 놀다가 역사에 꽂히다 | 3 점점 더 판을 크게 벌이다 | 4 역사를 가지고 재미있게 놀기
에필로그: 역사교사의 전문성은 어떻게 길러지는가 — 역사교육 연구자의 시선에서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