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91160870626
· 쪽수 : 583쪽
· 출판일 : 2021-10-20
책 소개
목차
서문 5
제1장 현대일본의 사상공간과 보수주의
─전후체제, 비평, 보수주의
1. 왜 일본의 보수주의인가 19
일본의 보수를 보는 시선 19
‘우익’과 ‘보수’ 19 | 일상적 보수와 정치적 보수 22
보수주의와 보수주의자 24
정치적 행위로서의 보수언설 24 | 일본 보수주의를 논한다는 것 27
2.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비평가 29
비판행위로서의 보수주의 29
비판적 보수지식인 29 | 보수비평가라는 존재 31
후쿠다 쓰네아리, 에토 준, 니시베 스스무 33
논쟁적 보수주의자들 33 | 사상연쇄 36
비평의 콘텍스트 38
민주=안보공간, 경제=성장공간, 탈전후=역사공간 38 |위기와 보수적 비평 42
3. 보수주의란 무엇인가 47
보수주의의 보편성 47
버크의 보수주의 47 | 보수주의의 원리 52
보수주의의 개별성과 보수의 감각 57
보수주의의 장소성과 개별성 57 | 이데올로기와 ‘구조연관’ 61 | 보수의 감각, 보수적 심성 64
4. 근대일본의 보수주의 68
버크 보수주의와 근대일본 68
‘보수개혁’이라는 숙명 68 | 메이지 헌정체제와 버크 수용 71 | 황통과 메이지헌법 74
보수주의와 내셔널리즘 77
자유주의 정신과 메이지 보수주의 77 | 제국과 문화적 보수주의 80
5. 전후체제와 보수주의 84
전후체제와 전후의식 84
전후체제와 55년체제 84 | 전후의식 87
전후체제의 비틀림과 보수적 주체 90
전후체제와 아메리카니즘 90 | 전후체제 비판과 보수적 주체화 93
제2장 ‘평화’와 ‘민주’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후쿠다 쓰네아리의 보수주의
1. 민주=안보공간의 일본과 보수주의 99
민주=안보공간과 일본의 지식사회 99
평화와 민주주의 99 | 청년세대와 새로운 사회과학 103
민주=안보공간의 리버럴 보수 108
리버럴 보수의 귀환 108 | 도의와 문화 111
2. 후쿠다 쓰네아리의 삶과 고독 115
극적인 인간 115
사상과제 115 | 비평활동 117
고독과 고립의 사이 120
고독한 인간 120 | 고립된 ‘보수반동’ 124
3. 비판적 보수주의와 비평정신 128
진보주의와 사회과학 128
자유주의 비판 128 | 사회과학과 ‘진보주의적 기분’ 131
비평정신과 평형감각 134
비평정신 134 | 임계의 평형감각과 상식 140
4. 괴리의 심리와 이원의 논리 144
지식인의 심리적 현실 144
정신과 육체의 괴리 144 |정신의 자율 148 | 육체의 자율과 에고이즘 150
이원론과 절대자 155
상대적 현실과 절대자 155 | 현재와 리얼리즘 160
5. 근대와 전통 164
근대의 숙명 164
‘정신의 정지’와 ‘근대의 숙명’ 164 | ‘근대의 확립’과 ‘근대의 초극’ 168 | 이상인간상과 자기완성 171
역사와 전통과 문화 175
역사적 필연성 175 | 전통과 발견 179
문화와 문화적 보수주의 184
‘삶의 방식’과 ‘화혼양혼’ 184 | ‘조화의 미감’과 문화적 보수주의 187
6. 개인과 사회, 자유와 숙명 190
개인과 사회 190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 190 | ‘개인의 전체성’과 ‘성숙한 개인주의’ 195
숙명 속의 자유 198
‘정신의 자유’ 198 | ‘전체 속의 자유’, ‘숙명 속의 자유’ 201 | 숙명과의 싸움 204
민주주의 207
소극적 개념으로서의 민주주의 207 | 콘센서스와 문화의 연속성 209
7.냉전과 평화 211
‘평화’와 평화론 211
‘수단과 목적의 역전’과 ‘현지해결주의’ 211 | 냉전의 아이러니와 숙명 216
‘전쟁과의 평화공존’ 219
소극적 평화와 ‘도덕과 정치의 혼동’ 219 | ‘전체의 생명’과 전쟁 221 | ‘차가운 평화’, ‘전쟁과의 평화공존’ 225
평화와 내셔널리즘 228
평화의 터부와 에고이즘 228 | 인터내셔널리즘과 내셔널리즘 232
8. 후쿠다 보수주의와 문화공동체 236
‘하늘을 믿는 현실주의자’ 236 | 개체와 전체 240 | 문화공동체로서의 국가 243
제3장 ‘성장’와 ‘상실’
─경제=성장공간의 일본과 에토 준의 보수주의
1. ‘전후’의 변용과 경제=성장공간 249
전환기 지식인과 ‘청년’ 249
‘전후 지식인의 파산’ 249 | 청년세대와 ‘내적 성찰’ 252 | ‘정치적 계절’과 ‘문학자의 시선’ 259
대중사회의 출현과 보수적 주체 264
경제적 전회와 대중사회의 출현 264 | 현실주의적 전회와 보수적 주체 267
2. 비평적 삶과 보수사상의 여정 271
문예비평의 길 271
문학 찾기와 ‘비재’의 세계 271 | 비평가의 탄생 274
타자 속의 자기 277
아메리카 체험 277 | 정치적 인간의 발견과 주체의 회복 279
3. 에토 준의 비평정신 283
비평이란 무엇인가 283
행위로서의 말과 문체 283 | 주체적 행위로서의 비평 286
상대주의적 리얼리즘 291
문학과 정치 291 | 리얼리즘과 상대론의 다이내미즘 295
4. 보수의 감각과 체험 299
체험과 상대주의 299
장소에 매인 개인 299 | 체험과 인내 303 | 감각과 이념 306
역사와 전통 309
‘현존하는 역사’ 309 | ‘전통의 새로움’과 ‘살아있는 폐허’ 315 | ‘문화의 잡거’와 ‘정신의 핵융합’ 319
5. ‘상실’과 ‘국가’ 324
상실로서의 전후 324
패전과 ‘상실’ 324 | 근대화와 자기확인 327
‘성숙’과 ‘국가’ 331
‘정의’와 ‘사정’ 331 | ‘성숙’이란 무엇인가 334
메이지 정신과 내셔널리즘 336
‘나라를 위하여’ 336 | ‘이익’과 ‘의리’ 341
6. 허구의 전후체제 345
아메리카니즘과 내셔널리즘 345
평화와 민주주의 345 | ‘아메리카의 그늘’과 ‘국가’ 348
‘놀이의 세계’ 354
전후세계의 해체, 개념과 현실의 분열 354 | ‘놀이의 세계’, ‘묵계’의 종언 357
7. 열려지는 ‘닫힌 언어공간’ 360
허구의 언어공간 360
‘전후문학의 파산’ 360 | 전후사 재해석 364
헌법과 검열의 규율 367
금압과 은폐 367 | ‘닫힌 언어공간?과 주체화 371
8. 에토 보수주의와 ‘황실’ 374
보수주의와 리얼리즘 374 | ‘국가=황실’과 리얼리즘의 형해화 376
제4장 ‘탈전후’와 ‘반근대’
─탈전후=역사공간의 일본과 니시베 스스무의 보수주의
1. 탈냉전과 탈전후=역사공간 383
경제적 성공과 ‘근대의 질주’ 383
경제대국화와 니시베 스스무 383 | 경제적 성공과 ‘국민화’ 387
탈전후=역사공간과 탈전후의식 390
걸프전쟁과 탈냉전의 보수정치 390 | ‘역사의 정치화’ 392
2. ‘싸우는 보수’와 사회과학 396
투쟁적 보수비평가의 탄생 396
‘일탈자의 습성’ 396 | ‘과격한 심성’ 400
‘가교로서의 사회과학’과 비평 404
‘사회과학적 지’ 404 | 비평=‘말의 공적 표현’ 409
3. 고도 대중사회와 아메리카니즘 415
고도 대중사회 415
‘민주주의의 과잉’, ‘산업주의의 왜곡’ 415 | ‘회의 없는 대중인’, ‘회의하는 지식인’ 419
아메리카니즘과 ‘진정한 전후’ 423
일본주의와 아메리카니즘 423 | ‘전후의 종언’과 ‘역사감각의 부흥’ 426
4. 회의하는 보수와 전통 431
보수선언 431
‘미지에의 도전’ 431 | ‘진보의 환각’과 ‘희석된 진보주의’ 436
‘보수의 유토피아’와 보수적 회의주의 439
‘보수의 환상’ 439 | 반근대주의와 회의적 보수주의 444
전통과 평형감각 448
전통과 역사 448 | 평형감각과 상식 454
5. 자유와 질서 458
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58
‘민주주의’와 ‘민중제’ 458 | ‘자유민주주의’와 ‘역사적 질서’ 461
공동체 속의 개인 465
‘숙명으로서의 자유’와 ‘활력 있는 삶’ 465 | 자유와 질서의 평형 468
6. 국가 472
문화공동체와 ‘국가’ 472
애국심과 국가의식 472 | ‘이야기로서의 국가’ 477
국제사회와 ‘국가’ 480
‘피부로서의 국가’ 480 | ‘규칙체계로서의 국가’와 ‘국민·정부’ 484
7. 전쟁과 평화 488
‘새로운 전쟁’ 488
걸프전쟁과 포스트전후 488 | ‘문명의 전쟁’, ‘야만의 전쟁’ 490 | 전쟁과 문화공동체 493
평화란 무엇인가 496
‘의태로서의 평화주의’ 496 | ‘전쟁에 대비하는 평화’ 499
8. 니시베 보수주의와 ‘역사적 질서’ 504
탈전후=역사공간의 사상과제 504 | 보수적 회의주의와 반근대주의 506 | 공동체와 ‘역사적 질서’ 508
제5장 비판적 보수주의와 보수적 주체화
─비판적 보수주의의 심리와 논리
회의하는 보수 513
보수적 주체화 513 | 개별화하는 보수 517 | 회의의 정신 520
명분과 실제의 사이 526
상대주의를 넘어 526 | 허구를 넘어 528 | 숙명을 넘어 531
낭만과 리얼리티의 사이 533
전통과 현재의식 533 | 낭만주의, 내셔널리즘, 리얼리즘 536 | ‘천황’과의 거리 540
자폐하는 보수 542
형해화하는 리얼리즘 542 | 옅어지는 보수적 비평 546 | 새로운 전통 548
참고문헌 552
찾아보기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