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8024155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8-07-03
책 소개
목차
총론 21세기 초 한국 정치외교의 도전과 과제
윤영관
제1부 정치사상
제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과 한국 사회: 시론적 고찰
박성우
제2장 토포스와 국제정치학적 상상력: 한국 국제정치사상 방법론 서설
장인성
제2부 한국의 정치/정치경제
1. 정치
제3장 한국 정치의 개혁 과제와 정당
강원택
제4장 한국 정치의 개혁 과제와 헌법의 국회 조항 개정
박찬욱
2. 정치경제, 거버넌스
제5장 한국의 대·중소기업 양극화: 독일과의 비교
임혜란
제6장 세계화·국민경제 그리고 한국
권형기
제7장 거버넌스의 정치
김의영
제3부 한국의 외교
1. 국제정치경제, 지역통합, 공공외교
제8장 국제금융의 변화와 한국
박종희
제9장 유럽 지역통합과 한국
이옥연
제10장 한국의 공공외교: 중견국 이론과 전략 모색
김상배
2. 한국과 주변 지역
제11장 동맹과 지역: 21세기 초 미·일, 중·일관계와 한국
신욱희
제12장 중국의 ‘부상’과 세계질서, 그리고 한국
정재호
제13장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로 본 한국의 대륙외교
신범식
제4부 북한
제14장 변화하는 국제정세 및 남북 관계 속 북핵 문제 해결 전망 연구
전재성
제15장 북한의 평화협정 제의, 1954-1974
조동준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정의론이 갖고 있는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비록 획기적이고 기발한 제안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정의론을 둘러싼 문제를 일괄적으로 해결하진 않는다. 대신 아리스토텔레스 정의론은 우리 사회의 정의론이 개인과 공동체의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어떤 지향점을 가져야 하는가를 시사하고 있다.
주변의 일상적 사고를 영위하면서 세계정치와 국제체제의 변동에 대면하여 간헐적으로 중심을 향해 수직적 상승을 몽상하는 국제관념도 있고, 세계정치의 주변임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에 의탁해 중심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자민족중심주의도 있다. 한국에서는 보편적 중심을 지향하면서도 주변적 사고에 구속되는 주변성이 여전히 처방과 행동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지의 토포스와 지정학적 토포스를 주체적으로 구성하지 못하는 한 중심-주변의 사유를 해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정치의 기능과 영역을 축소하려는 반(反)정치의 개혁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점을 낳고 있는지 오늘날 한국 정치가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심각한 징후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올바른 정치개혁은 정치가 스스로 올바른 방향으로 변혁해 가고 제도적으로 주어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제하거나 유인해야 하는 것이다. 정치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올바른 제도적 개혁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