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초 한국의 정치외교

21세기 초 한국의 정치외교

(도전과 과제)

윤영관, 박성우, 장인성, 강원택, 박찬욱, 임혜란, 권형기, 김의영, 박종희, 이옥연, 김상배, 신욱희, 정재호, 신범식, 전재성, 조동준 (지은이)
늘품(늘품플러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초 한국의 정치외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초 한국의 정치외교 (도전과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8024155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8-07-03

책 소개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19권.한국 정치외교의 중요 이슈로, 사상적 측면에서는 공동체로서의 한국사회 내부에서의 정의 추구 문제와 국제정치학적 논의에서의 중심지향성 문제를 다루었다.

목차

총론 21세기 초 한국 정치외교의 도전과 과제
윤영관

제1부 정치사상

제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과 한국 사회: 시론적 고찰
박성우

제2장 토포스와 국제정치학적 상상력: 한국 국제정치사상 방법론 서설
장인성

제2부 한국의 정치/정치경제

1. 정치

제3장 한국 정치의 개혁 과제와 정당
강원택

제4장 한국 정치의 개혁 과제와 헌법의 국회 조항 개정
박찬욱

2. 정치경제, 거버넌스

제5장 한국의 대·중소기업 양극화: 독일과의 비교
임혜란

제6장 세계화·국민경제 그리고 한국
권형기

제7장 거버넌스의 정치
김의영

제3부 한국의 외교

1. 국제정치경제, 지역통합, 공공외교

제8장 국제금융의 변화와 한국
박종희

제9장 유럽 지역통합과 한국
이옥연

제10장 한국의 공공외교: 중견국 이론과 전략 모색
김상배

2. 한국과 주변 지역

제11장 동맹과 지역: 21세기 초 미·일, 중·일관계와 한국
신욱희

제12장 중국의 ‘부상’과 세계질서, 그리고 한국
정재호

제13장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로 본 한국의 대륙외교
신범식

제4부 북한

제14장 변화하는 국제정세 및 남북 관계 속 북핵 문제 해결 전망 연구
전재성

제15장 북한의 평화협정 제의, 1954-1974
조동준

저자소개

박찬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랭클린 마샬 대학 정치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과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세계정치학회 집행위원과 한국사회과학협의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국회의 성공조건》(공저)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공저) 《민주정치와 균형외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영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 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SAIS)에서 국제정치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 서울대학교에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는 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3년간 국제정치경제학을 가르쳤다. 국제정치경제, 한국외교, 남북관계 분야에서 「외교의 시대」, 「21세기 한국정치경제모델」, 「한반도 통일」(공저), 「통일한국의 정치제도」(공저) 등의 저서와 80여 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The National Interest 등의 국제학술지와 미디어에 실렸다. 비영리 민간연구소인 미래전략연구원과 한반도평화연구원을 설립해 초대 원장으로 일했고, 제32대 외교통상부 장관, 동아시아비전그룹 II 한국대표이자 공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과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를 맡고 있다.
펼치기
강원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원장.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정치학회장, 한국정당학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 정치, 의회, 선거, 정당 등이다. 주요 논저로는 『제5공화국』(역사공간, 2024), 『국가는 어떻게 통치되는가』(인간사랑 2022), 『한국 정치의 결정적 순간들』(21세기북스, 2019), 『사회과학 글쓰기』(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한국 정치론』(박영사, 2019), 『시민이 만드는 민주주의』(박영사,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장인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공부하고 도쿄대학교 총합문화연구과에서 개항기 한일 국제정치사상에 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한일 정치사상사, 동아시아 개념사이다. 저서로 『장소의 국제정치사상』(서울대학교출판부, 2002),『근대한국의 국제관념에 나타난 도덕과 권력』(서울대학교출판부, 2006),『메이지유신』(살림, 2007),『동아시아 국제사회와 동아시아 상상』(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서유견문: 한국보수주의의 기원에 관한 성찰』(아카넷, 2017), 『현대일본의 보수주의』(연암서가,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정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미·중관계 프로그램 디렉터. 서울대 국어교육학과 졸업 후 브라운대에서 중국사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시간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중국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의 미래』『센트리퓨걸 엠파이어Centrifugal Empire: Central-Local Relations in China』가 있다.
펼치기
정재호의 다른 책 >
전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자 재단법인 동아시아연구원(East Asia Institute) 국가안보연구센터 소장이다. 외교부/통일부/국방부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2021),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부원장직을 맡은 바 있다. 일본 게이오 대학교 방문교수를 2년 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정치이론, 국제관계사, 동아시아 안보론, 한국외교정책 등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학사, 석사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이론으로 국제정치학 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동북아 국제정치이론: 불완전 주권국가들의 국제정치』(서울: 한울, 2020), 『주권과 국제정치: 근대주권국가체제의 제국적 성격』(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정치는 도덕적인가: 라인홀드 니버의 초월적 국제정치사상』(서울: 한길사, 2012), 『동아시아 국제정치: 역사에서 이론으로』(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11) 등이 있다.
펼치기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이옥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주요 저술로 『유럽의 타자들: ‘구별짓기’의 역사와 정치』(2019 공저), 『21세기 초한국의 정치외교: 도전과 과제』(2018 공저), “연방주의 비교 연구를 토대로 한 연방주의화의 조작적 정의: 미합중국과 유럽연합 사례를 중심으로”(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러시아 국립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주요 논저로, 『국제 안보환경의 도전과 한반도』,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러시아의 사이버안보』(2021), 『북・중・러 접경지대를 둘러싼 소지역주의 전략과 초국경이동』, 『21세기 유라시아 도전과 국제관계』, “Russia’s Perspectives on International Politics, A Comparison of Liberalist, Realist and Geopolitical Paradigms” 등이 있다.
펼치기
신범식의 다른 책 >
조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미국 펜실배니아주립대 정치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부원장 주요 논저 “코로나-19와 지구화의 변화.” 국제정치논총 (2020). “신호이론으로 분석한 2013년 한반도 위기.” 평화학연구 (2019). “Bringing International Anti-Landmine Norms to Domestic Politics.” Review of Korean Studies (2008). “Bargaining, Nuclear Proliferation, and Inter-state Disput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009).
펼치기
조동준의 다른 책 >
임혜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데이비스)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전문위원,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미국 부르킹스 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대법원 법원감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바 있다. 2004년 3월 이후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며 동아시아 정치경제, 비교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 등을 연구하면서 강의하고 있다. 주요 저서 『국제정치경제와 동아시아』(공저, 2020) 『동아시아 발전국가모델의 재구성』(2018)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al States and Economic Reform in Korea” (2010) “미국 부시행정부의 통상정책: 이념과 이해의 역할” (2005) “한미 자동차분쟁의 정치경제” (2003) Korea's Growth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1998)
펼치기
박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카고대학교에서 아렌트, 니체, 스트라우스의 관점에서 플라톤 정치철학을 재조명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학교 조교수, 부교수를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고, 서울대학교 국제정치사상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구 분야는 고전정치철학과 국제정치사상이며, 양 분야의 학제적 결합을 모색하는 연구 영역도 개척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는 ≪국가: 플라톤≫(2022), ≪영혼 돌봄의 정치: 플라톤 정치철학의 기원과 전개≫(2014)가 있으며, 책임 편집한 책으로 ≪동굴 속의 철학자들≫(2021), ≪정치사상사 속 제국≫(2019) 등이 있다. 스트라우스와 관련된 논문으로 “스트라우스의 니체 해석을 통해 본 스트라우스 정치철학의 의도”, “레오 스트라우스의 플라톤주의”,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의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로 가르치면서 서울대학교 사회혁신교육·연구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시민 정치, 거버넌스, 한국 정치 등을 주제로 연구하는 한편 지역 참여형 교육·연구·실천 프로젝트를 이끈다. 《거버넌스의 정치학 ― 한국 정치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2014)을 쓰고, 《시민정치의 문화기술지》(2019), 《동네 안의 시민정치》(2015) 등을 엮어 썼다.
펼치기
권형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시카고대학(The University of Chicago)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Changes by Competition: The Evolution of the South Korean Developmental State(Oxford University Press, 2021), 『세계화와 국민경제의 재구성: 미국·일본·독일 비교연구』(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세계화 시대의 역행?: 자유주의에서 사회협약의 정치로』(후마니타스, 2014)를 위시하여 Politics & Society,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등 국제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앞의 두 저서 Changes by Competition과 『세계화 시대의 역행?』으로 2015년 그리고 2021년 한국정치학회 학술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펼치기
박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외교학전공 부교수 주요 논문: “A Unified Method for Dynamic and Cross-Sectional Heterogeneity: Introducing Hidden Markov Panel Models”
펼치기

책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정의론이 갖고 있는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비록 획기적이고 기발한 제안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정의론을 둘러싼 문제를 일괄적으로 해결하진 않는다. 대신 아리스토텔레스 정의론은 우리 사회의 정의론이 개인과 공동체의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어떤 지향점을 가져야 하는가를 시사하고 있다.


주변의 일상적 사고를 영위하면서 세계정치와 국제체제의 변동에 대면하여 간헐적으로 중심을 향해 수직적 상승을 몽상하는 국제관념도 있고, 세계정치의 주변임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에 의탁해 중심성을 강하게 드러내는 자민족중심주의도 있다. 한국에서는 보편적 중심을 지향하면서도 주변적 사고에 구속되는 주변성이 여전히 처방과 행동의 근거로서 작용한다. 지의 토포스와 지정학적 토포스를 주체적으로 구성하지 못하는 한 중심-주변의 사유를 해소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정치의 기능과 영역을 축소하려는 반(反)정치의 개혁이 얼마나 심각한 문제점을 낳고 있는지 오늘날 한국 정치가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심각한 징후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올바른 정치개혁은 정치가 스스로 올바른 방향으로 변혁해 가고 제도적으로 주어진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강제하거나 유인해야 하는 것이다. 정치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올바른 제도적 개혁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