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0386
· 쪽수 : 582쪽
· 출판일 : 2017-10-16
책 소개
목차
발간사 _김형원
여는 글 칭의론, 무엇이 문제인가?: “오직 믿음”에서 “행함이 있는 믿음”으로 _김동춘
제1부 성경에서 칭의와 정의
01 칭의론과 정의 _김창락
02 구원과 정의, 그리고 의롭게 됨의 길: 에스겔 3:10-20을 중심으로 _김근주
03 구원과 신자들의 행위: 바울은 구원과 행위, 믿음과 행함을 어떻게 말하는가? _권연경
04 칭의와 하나님의 신실하심: 새 관점 학파의 논의를 중심으로 _최흥식
제2부 교리사와 조직신학에서 칭의와 정의
05 가톨릭 칭의론: 칭의인가, 의화인가? _김동춘
06 루터의 칭의론 재조명: 오직 믿음으로만? _김선영
07 종교개혁 칭의론의 사회.경제적 해석 _정승훈
08 아나뱁티즘의 칭의론과 정의 _김창규
09 존 웨슬리의 구원론: 칭의와 성화, 사회적 종교 _배덕만
제3부 칭의론의 현대적 논의
10 하나님의 의와 인간의 정의: 칼 바르트를 중심으로 _박성규
11 칭의 교리에 대한 공동선언문(1999)에 나타난 칭의와 성화 _이형기
12 칭의와 정의: 사회적 차원의 칭의론 _김동춘
제4부 칭의론의 사회윤리적 논의
13 현대 기독교 사상에서 칭의와 정의 _박성철
14 정의의 관점에서 읽는 바울의 칭의론: 테드 제닝스의 “법 밖의 정의”를 중심으로 _한수현
15 칭의론과 디아코니아: 칭의 신앙은 어떻게 이웃 봉사와 만나는가? _김옥순
리뷰
책속에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이 시점에서 당시 개혁가들이 성경적 가르침을 왜곡한 것에 맞서 싸웠던 전통을 돌아보면서, 그들이 전해준 귀한 유산을 계승하되 우리 시대의 질문에 응답하는 태도로 그것을 교정하고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가 아닐까? _발간사
종교개혁의 후예로서 우리의 관심은 “구원받은 신자로서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그리고 “나의 믿음은 세상 속에서 이웃을 향해 어떤 선한 행위를 보여줄 수 있는가?”, 나아가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된 신자는 사회 속에서 정의로운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쏠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_여는 글
하나님은 재판을 통하여 가난한 자를 그보다 강한 자에게서 건지시는 분,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노략하는 자에게서 건지는 분이시다. 그러므로 이런 약자들에게 하나님이 행하시는 재판이란 그들을 살려주는 구원의 사건이 된다. _01 | 칭의론과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