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61290775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18-09-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구약성경 주석의 의미
1장 용어 정의와 개념 이해
2장 구약성경 주석의 구성
제2부 주석 본문의 선택과 번역
3장 주석 본문 선택
4장 주석 본문 번역의 실제
제3부 구약성경 본문의 역사 이해
5장 구약성경의 초기 전승: 문헌화, 필사와 번역
6장 마소라 본문 전통
제4부 본문비평과 특징 관찰
7장 본문비평
8장 본문의 언어적 특징과 짜임새
제5부 본문의 역사적 배경 관찰
9장 본문의 통일성/비통일성: 문헌비평
10장 본문의 장르와 삶의 자리: 양식비평/양식사
11장 본문의 전승: 전승비평/전승사
12장 본문의 전통: 전통비평/전통사
13장 최종 형태 본문의 구성: 편집사
제6부 본문 풀이
14장 개별 주석과 종합 해석
부록: 구약성경 주석 작성의 예시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간 쓰던 교재가 훌륭함에도 내가 직접 책을 쓸 마음을 먹은 것은 독일과 한국의 신학교, 그리고 그 바탕이 되는 목회 현장 사이에 존재하는 불가피한 차이와 거리가 만들어내는 여러 가지 필요성 때문이었다. (들어가는 말)
주석은 저자와 독자의 서로 다른 경험 세계 사이에 놓인 틈을 메워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 “틈 메우기”를 통해 저자의 올바른 의도가 분명해진 뒤에는, 독자들의 경험 세계를 향한 본문의 “의미”를 구체화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구약성경은 신앙인에게 삶의 규범 구실을 하는 경전으로서의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1장. 용어 정의와 개념 이해)
주석은 본문을 향해 끊임없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대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주석자는 본문을 되풀이해서 읽으며 단락 차원에서, 문장 차원에서, 낱말 차원에서, 음운 차원에서 불거지는 궁금점들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그래서 일단 주석할 본문을 선택했다면 먼저 읽기 쉬운 역본으로 본문을 반복하여 읽으면서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질문을 정리해야 한다. (3장. 주석 본문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