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147
· 쪽수 : 896쪽
· 출판일 : 2019-06-28
책 소개
목차
지도 목록
제8부 이방인의 사도(계속)
제31장 에게해 선교: 첫 번째 국면
31.1 에게해 선교
31.2 에게해 선교의 시작
31.3 아덴에서의 대립
31.4 고린도 교회 설립
31.5 바울의 데살로니가전서
31.6 바울의 데살로니가후서
31.7 바울의 갈라디아서
제32장 에게해 선교: 두 번째 국면
32.1 중간휴식
32.2 에베소에서 교회 설립
32.3 에베소와 고린도 사이
32.4 바울의 첫 번째 고린도 서신
32.5 바울의 두 번째 고린도 서신(고린도전서)
32.6 바울의 세 번째 고린도 서신
32.7 바울의 네 번째 고린도 서신(고린도후서)
제33장 한 시기의 마감
33.1 마지막 순회
33.2 로마서를 쓴 이유
33.3 바울의 로마서
33.4 연보
33.5 바울의 유언(행 20:17-38)
제9부 시작의 끝
제34장 바울의 수난
34.1 예루살렘에서 체포됨
34.2 재판과 시련
34.3 그래서 로마로
34.4 바울의 빌립보서
34.5 바울의 빌레몬서
34.6 골로새서
34.7 바울은 언제 사망했는가?
제35장 잠잠한 베드로
35.1 베드로의 후기 선교
35.2 네로 치하에서의 박해
35.3 베드로의 순교
35.4 베드로의 지속되는 중요성
제36장 유대 재앙
36.1 예루살렘 교회
36.2 야고보의 죽음
36.3 예루살렘 교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36.4 예루살렘 함락
제37장 첫 세대 지도자들의 유산
37.1 바울 - 에베소서
37.2 야고보 - 야고보서
37.3 베드로 - 베드로 서신(베드로전서)
37.4 시작의 끝
l 약어표 l
l 참고문헌 l
l 성구 및 참고 문헌 색인 l
책속에서
아덴에서 이틀 거리인 고린도는 바울 선교의 전략적 중심지로서 그가 기대하는 모든 기준을 충족했다. 고린도는 기원전 146년에 로마 군대가 거의 철저하게 파괴했지만, 기원전 44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로마 식민지로 재건설했다. 아가야와 펠로폰네소스를 연결하는 지협이라는 위치 덕분에 고린도는 남북 그리고 동서 교역과 상업의 자연스러운 중심지가 되었다. 교역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에게해와 고린도만 사이에 운하건설을 기획한 이는 카이사르였으며, 칼리굴라와 특별히 네로가 그 기획을 실행하려고 했다. 첫 식민지 주민 대부분은 해방 노예들, 즉 로마인이 아니라 그 당시 근자에 로마의 동부 지역 정복으로 노예가 된 사람들(수리아인, 유대인, 이집트인)이었다. 그러나 자유민은 대대로 상당히 성공한 사업가가 되었고, 고린도가 가진 그런 자연스러운 이점은 고린도의 상업적 성공을 보장했다.
-제31장 에게해 지역 선교: 첫 번째 국면 중에서
우리는 아데미를 기념하는 두 주요 연례 축제를 안다. 곧 3-4월에 열린 아르테메시아와 5-6월에 더 성대하게 열린 아데미의 탄신을 축하하는 날이다. 이는 시합과 행진 및 연회로 특징지어지며, 이 둘은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여타 지역에서 숱한 방문객을 끌어들였다. 신전에 축적된 부는 그 양이 믿기 어려울 정도였을 것이며, 디오 크리소스토모스가 확인했듯이, 아데미 신전은 다수의 부유한 시민에게 안전한 예금 은행 역할을 했다.
-제32장 에게해 지역 선교: 두 번째 국면 중에서
바울이 고린도에 있던 시간 가운데 분명 주요한 우선순위였을 내용에 관한 누가의 침묵은 가장 이해할 수 없다. 고린도에서 로마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서신 작성 그리고 연보를 모아서 예루살렘에 운반할 조직의 막바지 준비가 그것이다. 전자는 많은 날이 걸렸을 것이고, 고린도에서의 체류는 그렇게 주의 깊게 작성될 서신에 필요한 집중력을 바울이 발휘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무수히 많으나 피할 수 없고 시간을 잡아먹는 모든 상세 사항과 더불어, 기여한 교회들과 상당히 빈번한 소통,3) 모이는 대표단의 여행과 환대 및 예루살렘을 향한 여행을 위한 준비, 연보 자체의 보안을 요구했을 것이다. 그러나 누가는 이에 관해 어떤 암시도 하지 않는다.
-제33장 한 시기의 마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