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칭의 논쟁

칭의 논쟁

(칭의에 대한 다섯 가지 신학적 관점)

마이클 호튼, 제임스 D. G. 던, 마이클 F. 버드, 벨리-마티 카르카넨, 올리버 P. 래퍼티, 제럴드 오콜린스 (지은이), 문현인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칭의 논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칭의 논쟁 (칭의에 대한 다섯 가지 신학적 관점)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976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5-02-25

책 소개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동방 정교회, 가톨릭의 대표적 학자들이 총출동하여 각자가 이해하는 칭의 교리에 관해 설명할 뿐 아니라 상대방의 관점에 대해서도 비평함으로써 현대 기독교 세계 내에 존재하는 칭의 교리에 대한 거의 모든 핵심 쟁점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목차

약어
서문
1부 서론
1. 칭의 개념의 역사_폴 로즈 에디, 제임스 K. 베일비, 스티븐 E. 엔더레인
2. 현대 칭의 논쟁
2부 칭의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
3. 전통적 개혁파_마이클 S. 호튼
논평: 진보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4. 진보적 개혁파_마이클 F. 버드
논평: 전통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5. 바울 신학의 새 관점_제임스 D. G. 던
논평: 전통적 개혁파, 진보적 개혁파, 신성화, 로마 가톨릭
6. 신성화_벨리-마티 카르카넨
논평: 전통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7. 로마 가톨릭_제럴드 오콜린스 & 올리버 P. 래퍼티
논평: 전통적 개혁파, 진보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저자소개

마이클 호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중요한 개혁 신학자 중 한 명으로 개혁 신학에 기반한 조직신학 작품들과 대중적 작품들로 사랑받고 있다. 바이올라대학교(B.A.), 웨스트민스터신학교(M.A.)에서 공부하고, 코벤트리대학교를 통해 위클리프홀에서 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그레샴 메이천 신학과 석좌교수로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Modern Reformation의 편집장이다. United Reformed Churches in North America(URCNA)에 속한 목회자로서 교회를 섬기고 있다. 그로브시티대학으로부터 명예 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대표작으로는 언약신학적 관점으로 종말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을 각각 다룬 언약신학 시리즈 4부작이 있고, 세속화된 미국 기독교를 고찰한 비판서들과 기독교 신앙의 중요 조목들을 해설한 작품들이 있다.
펼치기
제임스 D. G. 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국의 세계적인 신약학자로 글래스고대학교(M.A., B.D.)와 케임브 리지대학교(Ph.D., D.D.)에서 공부했으며, 2002년 SNTS 회장직을 역 임했다. 2003년에 더럼대학교 신학부에서 라이트풋 석좌교수로 은 퇴했다. 한국어로 번역된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로마서』(WBC; 솔로 몬), 『바울신학』(CH북스), 3부작으로 나온 생성기의 기독교 시리즈 (새물결플러스) 등이 있으며, 감은사에서는 『바울에 관한 새 관점』,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이란 무엇인가?』가 출간됐다.
펼치기
마이클 F. 버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리들리대학의 부학장이고 강의도 맡고 있다. 신약성서와 신약신학에 대한 다수의 학술서와 대중서를 집필했다. A Bird-Eye View of Luke and Acts, Evangelical Theology, Jesus among the Gods를 냈고, 『신약성경과 그 세계(The New Testament in Its World)』(비아토르)를 톰 라이트와 공저했다.
펼치기
벨리-마티 카르카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풀러신학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이다. 그는 또한 헬싱키대학교의 ‘세계교회일치운동’의 전문 강사이다. 또한 하나님의 교회 신학교, 리젠트대학교 신학부, 그리고 글로벌대학교의 겸임교수이다. 그는 기독교의 성령론, 교회론, 신론을 포함하여 수많은 저술을 펴냈다.
펼치기
올리버 P. 래퍼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수회 사제로서 런던 대학교의 헤이스롭 칼리지에서 교회사를 가르친다. 최근 저서로는 The Catholic Church and the Protestant State: Nineteenth Century Irish Realities(2008)가 있다.
펼치기
제럴드 오콜린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예수회 사제로서 그레고리오 대학교의 신학과 명예교수이며 오스트레일리아 가톨릭 대학교의 겸임교수다. 그는 57권의 책의 저자 혹은 공동 저자이며, 최근에는 Jesus Our Priest(2010)를 출간하기도 했다.
펼치기
문현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군산에서 태어나 한양대학교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거쳐 영국 버밍엄 대학교에서 신약학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은 목회자다. 2019년 현재 영국 한 소도시에서 아내와 중증 장애인 딸과 더불어 한인 교회를 섬기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6세기 이후,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자들은 바울의 칭의 개념이 복음의 진수를 구성한다는 것을 포착했다. 오늘날의 많은 개혁파 복음주의자들은 전통적인 루터파와 마찬가지로 칭의 교리를 “복음의 심장”, 즉 “교회의 존폐를 좌우하는 조항”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칭의가 복음의 중심임을 수호하기 위해 강력한 주장을 개진한 수많은 개혁파 복음주의자들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복음주의 진영 내에서 전통적인 개혁파의 칭의 개념에 대한 도전이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칭의 논쟁은 최근 들어 더욱 격렬해졌다고 할 수 있다. (1장 칭의 개념의 역사 중에서)

권위 있는 모든 종교개혁자는 하나같이 칭의가 오직 그리스도 때문에, 오직 믿음을 통해 “외부에서 온 의”(alien righteousness)의 선물 안에 있는 사법적 판결이라고 결론짓는다. 칼뱅은 칭의를 “기독교의 주요 조항”이자 “종교가 의존하는 주요 원리”이며 “모든 구원 교리의 주된 조항이자 모든 종교의 기초”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멜란히톤(Melanchthon)과 칼뱅은 이 공통된 복음적 관점을 조금씩 개선해가는 과정에서 상대방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 의는 “죄 사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된다”는 사실 안에 있다. 이러한 복음적 해석을 따르면, 칭의는 죄로 가득한 상태에서 의로운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이 아니다. 신자들은 죄인인 동시에 의인이다. 죄의 지배가 없어졌지만, 죄는 여전히 신자 안에 거한다. 결과적으로 신자들이 하는 어떤 행위도 하나님의 법이 요구하는 그 의에 언제나 미치지 못하더라도, 그들은 이미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온전히 의롭다고 인정받았다. (3장 전통적 개혁파 중에서)

칭의에 관한 옛 관점과 새 관점 사이의 긴장은 기독교를 유대교의 반대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이 주제에 관한 바울의 사고가 지극히 유대교적인 사고처럼 보인다는 것에서 발생한다. 왜냐하면 바울이 사실상 율법주의의 변형을 제기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의 지위가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주도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바울에게도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인의 지위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난 은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언약의 관계성 안에서 이스라엘의 지속성에 대한 실제적인 평가가 언약의 율법에 대한 이스라엘의 순종에 의존했던 것처럼, 바울에게도 그리스도인의 지속성은 마지막 날까지 그들의 지속적인 믿음과 사랑을 통하여 믿음의 삶에 의존한다. 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제안된 연관성은 분명히 수정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요점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바울은 자신의 개종자들이 “선한 행위”를 하기 원했고(고후 9:8; 골 1:10), 그런 선한 행위에 대한 보상이 있음을 이미지를 통해 나타냈다. 그가 보기에 온전한/마지막 구원은 신실함을 어느 정도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바울은 자신의 개종자들에게 반복해서 도덕적 실패를 경고해야만 했던 것이다. (5장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중에서)

그러나 개혁파와 동방 정교회는 서로 좋지 않은 감정만 가진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호튼은 성만찬에 관한 칼뱅의 사상에 대해 매우 그럴듯한 설명을 제시하면서, 칼뱅은 성령이 떡과 포도주 안에 있는 생명을 주는 그리스도 육체의 에너지들을 전달하므로 떡과 포도주 안에 그리스도가 실제로 현존한다고 설명하는 동방 정교회의 교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또한 키릴루스 루카리스(Cyril Lucaris, 1572-1638)는 콘스탄틴노플의 총대주교가 되기 전에 폴란드에서 사역하면서 개혁 신학을 접했다. 그는 동방 정교회의 범위 내에서 칼뱅주의를 표현하기 위한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신성화에 관한 학자들의 관심이 급증하는 것은 신성화가 구원에 관한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의 이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 때가 되었다는 뜻인 듯하다. (6장 신성화에 대한 진보적 개혁파의 논평 중에서)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의화는 또 하나의 죄 사함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의화와 죄 사함의 용어들을 마치 상호 교차적인 것처럼 사용하여 이러한 개념적 모호성을 자극한 것은 성 바울 자신이었다. 하나님과 인간의 정의의 관계성뿐만 아니라 악에 대한 정의의 개념까지 추론함으로 인해 의화 개념은 점점 더 복잡해졌다. 성 안셀무스(Anselm)는 타락 때문에 악은 인간을 지배할 권리를 얻었다는 견해를 철저히 거부하면서, 『왜 하나님은 인간이 되셨는가?』(Cur Deus Homo)를 통해 하나님이 받아들일 수 있는 유일한 정의는 하나님 자신에게서 말미암는 정의뿐이라는 사실을 반영하였다. 정의의 개념과 그 과정은 하나님 자신이 제공하고 일으키시는 것이다. 비록 안셀무스가 단순히 죄로부터의 의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순전히 관례적인 방식대로 중세 시대의 기준을 따라 의화(justificatio)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그는 하나님의 의로 말미암은 구속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상당히 심화시켰다. (7장 로마 가톨릭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