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4752976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5-02-25
책 소개
목차
약어
서문
1부 서론
1. 칭의 개념의 역사_폴 로즈 에디, 제임스 K. 베일비, 스티븐 E. 엔더레인
2. 현대 칭의 논쟁
2부 칭의에 대한 다섯 가지 관점
3. 전통적 개혁파_마이클 S. 호튼
논평: 진보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4. 진보적 개혁파_마이클 F. 버드
논평: 전통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5. 바울 신학의 새 관점_제임스 D. G. 던
논평: 전통적 개혁파, 진보적 개혁파, 신성화, 로마 가톨릭
6. 신성화_벨리-마티 카르카넨
논평: 전통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로마 가톨릭
7. 로마 가톨릭_제럴드 오콜린스 & 올리버 P. 래퍼티
논평: 전통적 개혁파, 진보적 개혁파,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신성화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6세기 이후,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자들은 바울의 칭의 개념이 복음의 진수를 구성한다는 것을 포착했다. 오늘날의 많은 개혁파 복음주의자들은 전통적인 루터파와 마찬가지로 칭의 교리를 “복음의 심장”, 즉 “교회의 존폐를 좌우하는 조항”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칭의가 복음의 중심임을 수호하기 위해 강력한 주장을 개진한 수많은 개혁파 복음주의자들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복음주의 진영 내에서 전통적인 개혁파의 칭의 개념에 대한 도전이 광범위하게 퍼지면서 칭의 논쟁은 최근 들어 더욱 격렬해졌다고 할 수 있다. (1장 칭의 개념의 역사 중에서)
권위 있는 모든 종교개혁자는 하나같이 칭의가 오직 그리스도 때문에, 오직 믿음을 통해 “외부에서 온 의”(alien righteousness)의 선물 안에 있는 사법적 판결이라고 결론짓는다. 칼뱅은 칭의를 “기독교의 주요 조항”이자 “종교가 의존하는 주요 원리”이며 “모든 구원 교리의 주된 조항이자 모든 종교의 기초”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멜란히톤(Melanchthon)과 칼뱅은 이 공통된 복음적 관점을 조금씩 개선해가는 과정에서 상대방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 의는 “죄 사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의가 우리에게 전가된다”는 사실 안에 있다. 이러한 복음적 해석을 따르면, 칭의는 죄로 가득한 상태에서 의로운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이 아니다. 신자들은 죄인인 동시에 의인이다. 죄의 지배가 없어졌지만, 죄는 여전히 신자 안에 거한다. 결과적으로 신자들이 하는 어떤 행위도 하나님의 법이 요구하는 그 의에 언제나 미치지 못하더라도, 그들은 이미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온전히 의롭다고 인정받았다. (3장 전통적 개혁파 중에서)
칭의에 관한 옛 관점과 새 관점 사이의 긴장은 기독교를 유대교의 반대 개념으로 정의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이 주제에 관한 바울의 사고가 지극히 유대교적인 사고처럼 보인다는 것에서 발생한다. 왜냐하면 바울이 사실상 율법주의의 변형을 제기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의 지위가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주도성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처럼, 바울에게도 하나님 앞에서 그리스도인의 지위는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난 은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 언약의 관계성 안에서 이스라엘의 지속성에 대한 실제적인 평가가 언약의 율법에 대한 이스라엘의 순종에 의존했던 것처럼, 바울에게도 그리스도인의 지속성은 마지막 날까지 그들의 지속적인 믿음과 사랑을 통하여 믿음의 삶에 의존한다. 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제안된 연관성은 분명히 수정을 필요로 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요점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바울은 자신의 개종자들이 “선한 행위”를 하기 원했고(고후 9:8; 골 1:10), 그런 선한 행위에 대한 보상이 있음을 이미지를 통해 나타냈다. 그가 보기에 온전한/마지막 구원은 신실함을 어느 정도 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바울은 자신의 개종자들에게 반복해서 도덕적 실패를 경고해야만 했던 것이다. (5장 바울 신학의 새 관점 중에서)
그러나 개혁파와 동방 정교회는 서로 좋지 않은 감정만 가진 것은 아닐지도 모른다. 예를 들면 호튼은 성만찬에 관한 칼뱅의 사상에 대해 매우 그럴듯한 설명을 제시하면서, 칼뱅은 성령이 떡과 포도주 안에 있는 생명을 주는 그리스도 육체의 에너지들을 전달하므로 떡과 포도주 안에 그리스도가 실제로 현존한다고 설명하는 동방 정교회의 교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또한 키릴루스 루카리스(Cyril Lucaris, 1572-1638)는 콘스탄틴노플의 총대주교가 되기 전에 폴란드에서 사역하면서 개혁 신학을 접했다. 그는 동방 정교회의 범위 내에서 칼뱅주의를 표현하기 위한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신성화에 관한 학자들의 관심이 급증하는 것은 신성화가 구원에 관한 전통적인 프로테스탄트의 이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 때가 되었다는 뜻인 듯하다. (6장 신성화에 대한 진보적 개혁파의 논평 중에서)
그렇다면 일반적으로 의화는 또 하나의 죄 사함에 지나지 않게 된다. 의화와 죄 사함의 용어들을 마치 상호 교차적인 것처럼 사용하여 이러한 개념적 모호성을 자극한 것은 성 바울 자신이었다. 하나님과 인간의 정의의 관계성뿐만 아니라 악에 대한 정의의 개념까지 추론함으로 인해 의화 개념은 점점 더 복잡해졌다. 성 안셀무스(Anselm)는 타락 때문에 악은 인간을 지배할 권리를 얻었다는 견해를 철저히 거부하면서, 『왜 하나님은 인간이 되셨는가?』(Cur Deus Homo)를 통해 하나님이 받아들일 수 있는 유일한 정의는 하나님 자신에게서 말미암는 정의뿐이라는 사실을 반영하였다. 정의의 개념과 그 과정은 하나님 자신이 제공하고 일으키시는 것이다. 비록 안셀무스가 단순히 죄로부터의 의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순전히 관례적인 방식대로 중세 시대의 기준을 따라 의화(justificatio)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그는 하나님의 의로 말미암은 구속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상당히 심화시켰다. (7장 로마 가톨릭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