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281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22-01-10
책 소개
목차
서문-진 베스키 엘시테인
저자 서문
서론
1부 t세계에서 i세계로
1. t세계 우리가 온 세계
2. 우리는 어쩌다 여기 i세계까지 오게 된 걸까?
3. 멋진 신i세계
4. i세계 방식의 사랑, 성관계, 가정, 공공 정책
2부 r세계를 숙고해보다
5. “왜?”에 답하다
6. r세계의 본질
7. 구멍 난 마음에서 온전한 마음으로 사랑 이야기
8. r섹스
9. r세계를 창조하다
10. 그렇다면 우리는 i세계와 r세계 중 어디에 살아야 할까?
후기: 되풀이되는 기시감
참고 문헌
참고 음반 목록
책속에서
이 책은 섹스와 사랑, 종교, 정치에 대한 것으로서 우리는 부모님들로부터 이런 주제를 논하는 대화에는 참여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아왔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 책은 성에 대한 개인적, 집합적인 선택들이 우리에게 개인적, 관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다룸으로써 우리 삶 가운데 성이 차지하는 위치는 어떠하며 그것이 관계적인 성취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검토한다. 현대 문화와 사회 체제를 비롯해 기독교 내 많은 교단들이 성적 행위에 대한 전통적인 규제나 제재를 완화하려고 하지만, 이 책은 오히려 이런 흐름을 거슬러 지금은 완화된 다수의 경계들을 회복하는 데 유익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책은 현재의 논쟁을 대부분 지배해온 “비관적” 접근에 의지하지 않는다. 단순히 말해 이 책의 목표는 우리가 엉뚱한 곳에서 끝없이 용납, 사랑, 성취를 찾으면서 길을 잃지 않도록 돕는 것이다
_“저자 서문” 중에서
이 책의 목적은 잘 사는 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인간 역사에 대한 나의 묘사가 관습을 벗어난 것처럼 보일 수도 있고 성을 둘러싼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들을 열정적으로 다루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도, 매우 다른 신앙과 이념적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한데 모여 오늘날 이 세상에서 공존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라는 주제를 놓고 과연 서로 대화가 가능할지 의구심이 드는 것이야말로 이 책이 마주한 가장 큰 장애물이다. 모조된 객관이라는 허상을 만들어서 내 종교적인 믿음을 그 뒤에 숨겨놓고 마치 나의 종교적인 신념이 전혀 중요하지 않은 척하면서 이 책을 쓰는 대신, 나는 내 신앙을 이 대화 안으로 끌어들이기로 했다. 이 대화를 종교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나는 사람들과 현실에 대해 진솔한 대화를 나누기 원하고 그 대화에 독자들을 초대하고 싶다. 이것이 가능한지에 대해 회의가 있을 수도 있지만,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니 한번 도전해보자.
_“서론” 중에서
t세계에서 인간의 행복과 성취는 각 개인이 맺고 있는 관계의 건강 및 사색하는 삶에 참여하는 능력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악덕은 선한 모든 것을 훼손했고 t세계는 이 점을 잘 이해했다.
_“1. t세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