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실존과 그리스도)

폴 틸리히 (지은이), 남성민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폴 틸리히 조직신학 2 (실존과 그리스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42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10-28

책 소개

오래전 한국어로 소개되었으나 틸리히 신학을 전공한 역자에 의해 금번에 새롭게 번역·출간됨으로써 틸리히의 위대한 신학 체계를 훨씬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머리말 • 10

서론
A. 『폴 틸리히 조직신학 2』와 『폴 틸리히 조직신학 1』 그리고 조직신학 전체의 관계 • 20

B. 제1권에서 제시된 대답의 재진술 • 23
1. 자연주의와 초자연주의를 넘어서 • 23
2. 조직신학에서 존재 개념의 사용 • 31
3. 실존적 물음과 신학적 대답의 독립성과 상호의존성 • 35

제3부 실존과 그리스도

Ⅰ. 실존과 그리스도 요청

A. 실존과 실존주의 • 42
1. 실존의 어원 • 42
2. 실존주의적 문제의 부상 • 46
3. 본질주의에 맞선 실존주의 • 51
4. 실존적 사유와 실존주의적 사유 • 54
5. 실존주의와 기독교 신학 • 55

B. 본질에서 실존으로의 이행과 “타락” 상징 • 58
1. “타락” 상징과 서구 철학 • 58
2. 본질에서 실존으로의 이행 가능성인 유한한 자유 • 62
3. “몽환적 순결”과 유혹 • 65
4. 본질적 존재에서 실존적 존재로의 이행 속에 있는 도덕적 요소와 비극적 요소 • 70
5. 창조와 타락 • 75

C. 인간 소외의 표지들과 죄 개념 • 83
1. 소외와 죄 • 83
2. “불신앙”으로서의 소외 • 87
3. “교만”로서의 소외 • 90
4. “탐욕”으로서의 소외 • 94
5. 사실로서의 소외와 행위로서의 소외 • 101
6. 개인적 소외와 집단적 소외 • 105

D. 실존적 자기-파괴와 악의 교리 • 107
1. 소외 상태에서 자기-상실과 세계-상실 • 107
2. 소외 상태에서 나타나는 존재론적 양극성의 갈등 • 111
a) 자유와 운명의 분리 • 111
b) 역동성과 형식의 분리 • 113
c) 개체화와 참여의 분리 • 115

3. 유한성과 소외 • 117
a) 죽음, 유한성, 죄책 • 117
b) 소외, 시간, 공간 • 120
c) 소외, 고난, 외로움 • 123
d) 소외, 의심, 무의미 • 126

4. 절망의 의미와 상징들 • 130
a) 절망과 자살 문제 • 130
b) “하나님의 진노”라는 상징 • 133
c) “정죄”라는 상징 • 135

E. 새로운 존재 요청과 “그리스도”의 의미 • 136
1. 숙명 또는 의지의 속박으로서의 실존 • 136
2. 자기-구원의 방법들과 그 방법들의 실패 • 139
a) 자기-구원과 종교 • 139
b) 자기-구원의 율법주의적 방법들 • 140
c) 자기-구원의 금욕주의적 방법들 • 141
d) 자기-구원의 신비주의적 방법들 • 143
e) 자기-구원의 성례적·교리적·감정적 방법들 • 145
3. 새로운 존재에 대한 비역사적 기대와 역사적 기대 • 148
4. “그리스도”라는 상징, 그 역사적 의미와 초역사적 의미 • 150
5. 기독교 신학에서 역설의 의미 • 153
6. 하나님, 인간 그리고 “그리스도”라는 상징 • 157

Ⅱ. 그리스도의 실재

A. 그리스도로서의 예수 • 164
1. “예수 그리스도”라는 이름 • 164
2. 사건, 사실, 수용 • 166
3. 역사와 그리스도 • 168
4. 역사적 예수 탐구와 그 실패 • 170
5. 역사적 탐구와 신학 • 179
6. 신앙과 역사적 회의주의 • 187
7.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 관한 성서의 증언 • 194

B.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 196
1. 새로운 존재와 새로운 시대 • 196
2. 인격적 생명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 199
3.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에 관한 표현들 • 200
4. 소외를 정복하는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 208
a) 그리스도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와 소외의 표지들 • 208
b) 그리스도가 받은 유혹의 실재 • 211
c) 그리스도의 유한성의 표지들 • 216
d) 실존의 비극적 요소에 그리스도가 참여함 • 218
e) 그리스도와 하나님의 영구적 일치 • 220
5. 새로운 존재의 역사적 차원 • 222
6.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의 모습에서 나타난 갈등 요소들 • 224
C. 기독론 교의에 대한 평가 • 227
1. 기독론 교의의 본성과 기능 • 227
2. 기독론 교의의 발전에서 나타난 위험과 결정들 • 232
3. 조직신학에서 기독론의 과제 • 238

D. 예수 그리스도 사건의 보편적 의의 • 246
1. 예수 그리스도 사건의 유일무이함과 보편성 •246
2.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의 보편적 의의를 보여주는 핵심적 상징들과 그 상징들의 관계 • 249
3. “그리스도의 십자가” 상징을 보강하는 상징들 • 256
4. “그리스도의 부활” 상징을 보강하는 상징들 • 258

E.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구원의 힘으로 나타난 새로운 존재 • 267
1. 구원의 의미 • 267
2. 구원자(중보자, 구속자)로서의 그리스도 • 271
3. 속죄론들 • 274
4. 속죄론의 원리들 • 279
5. 구원의 세 가지 특징 • 283
a) 새로운 존재에 참여로서의 구원(중생) • 283
b) 새로운 존재의 수용으로서의 구원(칭의) • 284
c) 새로운 존재에 의한 변형으로서의 구원(성화) • 287

저자소개

폴 틸리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작은 마을 슈타체델(Starzeddel, 현재 폴란드의 Starosiedle)에서, 프러시아의 보수적 루터교 목사인 요한네스 틸리히와, 라인란트 출신으로 좀더 자유로운 성향을 지닌 마틸데 뒤르셀렌의 1남 2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인문계 고등학교 시절 기숙사 생활을 하다가, 아버지의 임지를 따라 베를린으로 학교를 옮겨 졸업했다. 어머니는 그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1년 전인 17세 때,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베를린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특히 독일관념론 철학자 피히테의 철학에 관심을 기울였고, 셸링에 관한 연구로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와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 자격을 얻었다. 브란덴부르크주 루터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대전 때 자원하여 군목으로 활동하며 유럽 문화의 끝을 알리는 끔찍한 재앙을 경험했다. 전쟁 후 할레 대학교에서 슐라이어마허 이전의 초자연주의에 관한 연구로 강의 자격을 얻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사강사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으며, 마르부르크 대학교,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조직신학, 종교학, 종교철학, 문화철학을 가르치고,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철학과 사회학을 가르치면서 프랑크푸르트학파 구성원들과 교류하다가 유대인 탄압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비유대인으로서는 최초로 나치 정권에 의해 해직되었다. 라인홀드 니버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유니온 신학교에서 종교철학과 조직신학, 철학적 신학을 가르쳤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대학 특별 교수와 시카고 대학교 신과대학의 존 뉴빈 석좌교수를 지냈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개신교 신학자와 종교철학자로 꼽히며, 기독교 신학과 세속 사상을 중재하면서 ‘대답하는 신학’이라는 변증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업적을 세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중재 노력은 신학과 철학, 종교와 문화, 기독교와 사회주의, 독일과 미국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저작으로 『프로테스탄트 시대』, 『조직신학』, 『존재의 용기』, 『문화의 신학』, 『경계선 위에서』, 『흔들리는 터전』, 『영원한 지금』, 『믿음의 역동성』 등이 있다.
펼치기
남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동대학원(조직신학, Ph.D.), 고려신학대학원(M.Div.)에서 공부했다. 현재 대구 시온성교회 대학청년부 담당목사로 섬기고 있다. 논문으로 「폴 틸리히의 구원론 연구」(박사학위논문)가, 옮긴 책으로 『루터전집 47』(공역, 컨콜디아사 출간 예정)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실존적 물음과 신학적 대답의 상호의존성 문제는 서론에서 “신학적 순환”이라고 불렀던 것 안에서만 해결될 수 있다. 신학자 자신은 궁극적 관심의 구체적 표현, 종교적으로 말하자면 특별한 계시적 경험의 구체
적 표현에 헌신한다. 기독교가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를 유일한 로고스(the Logos)로 진술했던 것처럼 신학자는 이 구체적 경험에 기초하여 자신의 보편성을 주장한다. 이 순환은 (기하학적 원이 아닌) 타원으로 이해될 수 있고 실존적 물음과 신학적 대답이라는 두 개의 초점에 의해서 묘사될 수 있다. 두 가지는 모두 종교적 헌신이라는 분야 속에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실존적 물음의 자료는 인간의 경험 전체에서 그리고 경험의 다양한 표현 방식에서 나온다. 이 자료는 과거와 현재, 대중적 언어와 위대한 문학, 예술
과 철학, 과학과 심리학 등과 연관되어 있다.
_서론, B. 제1권에서 제시된 대답의 재진술 중에서


기독교는 예수가 그리스도라고 주장한다. “그리스도”라는 용어는 뚜렷한 대조를 통해서 인간의 실존적 상황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그리스도, 메시아는 “새로운 시대”, 보편적인 재탄생, 새로운 실재를 가져오는 자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실재는 옛 실재를 전제한다. 그리고 예언서와 계시록은 이러한 옛 실재를 인간과 인간의 세계가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상태로 묘사한다. 이 소외된 세계는 마성적 힘으로 상징되는 악의 구조들에 의해 다스려지고 있다. 그 구조들은 영혼들, 민족들, 심지어 자연도 다스린다. 그 구조들은 모든 형식의 불안을 낳는다. 모든 불안을 정복하는 것, 마성적 힘이나 파괴의 구조가 배제된 새로운 실재를 확립하는 것이 메시아의 과제다.
_제3부 I. A. 실존과 실존주의 중에서


불신앙을 자기의 중심이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됨으로 이해한다면, 개신교 신학은 죄를 하나님으로부터 자기에게로 돌아선 사랑이라고 해석했던 아우구스티누스의 해석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불신앙은 사랑하
지 않음과 궁극적으로 동일하다. 그 두 가지는 모두 인간이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죄는 궁극적 선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을 위해서 유한한 선들을 욕망하는 사랑이다. 자기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사랑하는 사랑이 유한한 모든 것을 무한의 현현으로 긍정하면서 무한과 연합되기를 원한다면, 그 사랑은 정당화될 수 있다. 자기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사랑하는 사랑이 유한한 것을 통해 유한의무한한 근거로 들어가지 못한다면, 그 사랑은 왜곡될 것이다. 그 사랑이 무한한 근거로부터 그 근거의 유한한 현현으로 돌아선다면, 그 사랑은 불신앙이다. 하나님과 이루는 본질적 일치를 파괴하는 것이 죄의 가장 핵심적 특징이다. 그것은 사랑뿐만 아니라 신앙과 관련해서도 소외다.
_제3부 I. C. 인간 소외의 표지들과 죄 개념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