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폴 틸리히 조직신학 3

폴 틸리히 조직신학 3

(생명과 영, 역사와 하나님 나라)

폴 틸리히 (지은이), 남성민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4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600원 -10% 0원
2,200원
37,400원 >
39,6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960원
35,6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폴 틸리히 조직신학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폴 틸리히 조직신학 3 (생명과 영, 역사와 하나님 나라)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939
· 쪽수 : 625쪽
· 출판일 : 2024-12-16

책 소개

『폴 틸리히 조직신학』은 오래전 한국어로 소개되었으나 틸리히 신학을 전공한 역자에 의해 금번에 새롭게 번역·출간됨으로써 틸리히의 위대한 신학 체계를 훨씬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서론 • 18

제4부 생명과 영

Ⅰ. 생명과 그 모호성 및 모호하지 않은 생명 요청


A. 생명의 다차원적 일치 • 26
1. 생명: 본질과 실존 • 26
2. “수준들”에 반대되는 사례 • 29
3. 차원, 영역, 정도 • 32
4. 생명의 차원들과 그것들의 관계 • 35
a) 무기적 영역과 유기적 영역 안에 있는 차원들 • 35
b) 생명의 한 차원인 정신의 의미 • 41
c) 정신의 차원과 앞에 언급된 차원들의 관계 • 47
d) 정신 차원의 규범들과 가치들 • 52

B. 생명의 자기-현실화와 그 모호성들 • 54
근본적 고찰: 생명의 기본적 기능들과 그 기능들의 모호성의 본성 • 54
1. 생명의 자기-통합과 그 모호성 • 58
a) 개체화와 중심성 • 58
b) 일반적인 자기-통합과 분열: 건강과 질병 • 60
c) 정신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생명의 자기-통합: 도덕성 또는
인격적 자기의 구축 • 65
d) 인격적 자기-통합의 모호성: 희생의 가능성, 실재성, 모호성 • 70
e) 도덕법의 모호성: 도덕적 명령, 도덕적 규범, 도덕적 동기 • 74
2. 생명의 자기-창조와 그 모호성 83
a) 역동성과 성장 • 83
b) 정신의 차원 밖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창조와 파괴: 생명과 죽음 • 85
c) 정신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생명의 자기-창조: 문화 • 94
d) 문화적 행위의 모호성: 의미의 창조와 파괴 • 110
e) 인문주의의 모호성 • 132
3. 생명의 자기-초월과 그 모호성 • 136
a) 자유와 유한성 • 136
b) 자기-초월과 일반적 불경화: 생명의 위대함과 그 모호성 • 138
c) 위대한 것과 비극적인 것 • 145
d) 도덕 및 문화와 관계 맺고 있는 종교 • 148
e) 종교의 모호성 • 153
C. 모호하지 않은 생명 요청과 그 생명을 예견하는 상징들 • 166

Ⅱ. 영적 현존

A. 인간의 정신에서 이루어지는 영적 현존의 현현 • 172
1. 인간의 정신에서 이루어지는 신적인 영의 현현의 특징 • 172
a) 인간의 정신과 신적인 영의 원론적 관계 • 172
b) 구조와 황홀경 • 177
c) 영적 현존의 매개들 • 186
2. 인간의 정신에서 이루어진 신적인 영의 현현의 내용: 신앙과 사랑 • 199
a) 초월적 연합과 그 연합에 참여함 • 199
b) 신앙으로 현현하는 영적 현존 • 201
c) 사랑으로 현현하는 영적 현존 • 207

B. 역사적 인류에서 이루어지는 영적 현존의 현현 • 214
1. 영과 새로운 존재: 모호성과 단편성 • 214
2. 종교들에서 나타나는 영적 현존과 새로운 존재 예견 • 217
3.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에서 나타난 영적 현존: 영 기독론 • 223
4. 영적 공동체에서 나타나는 영적 현존과 새로운 존재 • 231
a) 그리스도로서의 예수와 영적 공동체에서 나타난 새로운 존재 • 231
b) 잠복 단계의 영적 공동체와 현현 단계의 영적 공동체 • 236
c) 영적 공동체의 표지들 • 239
d) 영적 공동체와 종교, 문화, 도덕의 일치 • 243

Ⅲ. 신적인 영과 생명의 모호성들

A. 영적 현존과 종교의 모호성 • 250
1. 영적 공동체, 교회, 교회들 • 250
a) 영적 공동체의 존재론적 특징 • 250
b) 교회들의 역설 • 254
2. 교회들의 생명과 종교의 모호성에 대항하는 투쟁 • 266
a) 교회들의 생명 속에 있는 신앙과 사랑 • 266
b) 교회들의 기능, 모호성과 영적 공동체 • 280
3. 교회 안에 있는 개인과 영적 현존 • 328
a) 개인의 교회 가입과 회심 경험 • 328
b) 교회 안에 있는 개인과 새로운 존재 경험 • 333
4. 영적 현존과 개신교적 원리에 의한 종교의 정복 • 366

B. 영적 현존과 문화의 모호성 • 369
1. 영적 현존의 관점으로 본 종교와 문화 • 369
2. 인문주의와 신율 관념 • 374
3. 영적 현존의 신율적 현현 • 378
a) 신율: 진리와 표현 • 378
b) 신율: 목적과 인간성 • 386
c) 신율: 힘과 정의 • 392

C. 영적 현존과 도덕의 모호성 • 397
1. 영적 현존의 관점으로 본 종교와 도덕: 신율적 도덕 • 397
2. 영적 현존과 인격적 자기-통합의 모호성 • 400
3. 영적 현존과 도덕법의 모호성 • 405

D. 영적 현존의 치유하는 힘과 생명 일반의 모호성 • 410
1. 영적 현존과 생명 일반의 모호성 • 410
2. 치유, 구원, 영적 현존 • 413

Ⅳ. 삼위일체적 상징들

A. 삼위일체적 상징 체계의 동기들 • 421

B. 삼위일체 교의 • 426

C. 삼위일체 문제의 재개방 • 434

제5부 역사와 하나님 나라

서론 • 442
조직신학에서 제5부의 위치와 생명의 역사적 차원 • 442

Ⅰ. 역사와 하나님 나라 요청

A. 생명과 역사 • 446
1. 인간과 역사 • 446
a) 역사와 역사 의식 • 446
b) 인간 역사의 관점에서 본 역사적 차원 • 449
c) 역사 이전과 역사 이후 • 455
d) 역사의 담지자들: 공동체, 인격성, 인류 • 458
2. 역사와 존재의 범주들 • 465
a) 생명 과정들과 범주들 • 465
b) 시간 및 공간과 생명 일반의 차원들 • 468
c) 역사적 차원에서 시간과 공간 • 472
d) 인과율, 실체, 생명 일반의 차원들 • 476
e) 역사적 차원에서 인과율과 실체 • 480
3. 역사의 역동성 • 483
a) 역사의 운동: 경향, 구조, 시대 • 483
b) 역사와 생명 과정 • 490
c) 역사적 진보: 그 실재와 한계 • 492

B. 역사적 차원에서 생명의 모호성들 • 501
1. 역사적 자기-통합의 모호성들: 제국과 중앙집중화 • 501
2. 역사적 자기-창조의 모호성들: 혁명과 반동 • 506
3. 역사적 자기-초월의 모호성들: 기존의 “제3의 단계”와 기대되는 “제3의 단계” • 508
4. 역사 속 개인의 모호성들 • 511

C. 역사 해석과 하나님 나라의 요청 • 515
1. 역사 해석의 본성과 문제 • 515
2. 역사의 의미 물음에 대한 부정적 대답들 • 518
3. 역사의 의미 물음에 대한 긍정적이지만 부적절한 대답들 • 521
4. 역사의 의미 물음에 대답하는 “하나님 나라” 상징 • 527
a) “하나님 나라” 상징의 특질들 • 527
b) “하나님 나라” 상징이 가진 내재적 요소와 초월적 요소 • 530

Ⅱ. 역사 속에 있는 하나님 나라

A. 역사의 역동성과 새로운 존재 • 534
1. “구원사”라는 관념 • 534
2. 역사에서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중심적 현현 • 537
3. “카이로스”와 “카이로스들” • 543
4. 역사적 섭리 • 548

B. 하나님 나라와 교회들 • 552
1. 역사 속에서 하나님 나라의 재현자인 교회들 • 552
2. 하나님 나라와 교회사 • 556

C. 하나님 나라와 세계사 • 563
1. 교회사와 세계사 • 563
2. 하나님 나라와 역사적 자기-통합의 모호성 • 567
3. 하나님 나라와 역사적 자기-창조의 모호성 • 571
4. 하나님 나라와 역사적 자기-초월의 모호성 • 574
5. 하나님 나라와 역사 속 개인의 모호성 • 576

Ⅲ. 역사의 종말로서의 하나님 나라

A. 역사의 종말 또는 영원한 생명 • 579
1. “역사의 종말”의 이중적 의미와 그 종말의 영구적 현존 • 579
2. 역사의 종말: 시간적인 것이 영원으로 상승 • 583
3. 역사의 종말: 부정적인 것을 부정적인 것으로 폭로함 또는 “궁극적 심판•”585
4. 역사의 종말과 생명의 모호성의 최종적 정복 • 590
5. 영원한 복: 부정적인 것의 영원한 정복 • 594

B. 개체적 인격과 그의 영원한 운명 • 597
1. 보편적 완성과 개체적 완성 • 597
2. 상징으로서의 불멸과 개념으로서의 불멸 • 603
3. 부활의 의미 • 607
4. 영원한 생명과 영원한 죽음 • 611

C. 하나님 나라: 시간과 영원 • 617
1. 영원과 시간의 운동 • 617
2. 영원한 생명과 신적 생명 • 619

저자소개

폴 틸리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작은 마을 슈타체델(Starzeddel, 현재 폴란드의 Starosiedle)에서, 프러시아의 보수적 루터교 목사인 요한네스 틸리히와, 라인란트 출신으로 좀더 자유로운 성향을 지닌 마틸데 뒤르셀렌의 1남 2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 인문계 고등학교 시절 기숙사 생활을 하다가, 아버지의 임지를 따라 베를린으로 학교를 옮겨 졸업했다. 어머니는 그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1년 전인 17세 때,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베를린 대학교, 튀빙겐 대학교,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특히 독일관념론 철학자 피히테의 철학에 관심을 기울였고, 셸링에 관한 연구로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와 할레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 자격을 얻었다. 브란덴부르크주 루터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제1차 세계대전 때 자원하여 군목으로 활동하며 유럽 문화의 끝을 알리는 끔찍한 재앙을 경험했다. 전쟁 후 할레 대학교에서 슐라이어마허 이전의 초자연주의에 관한 연구로 강의 자격을 얻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사강사로 학문 활동을 시작했으며, 마르부르크 대학교,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조직신학, 종교학, 종교철학, 문화철학을 가르치고,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철학과 사회학을 가르치면서 프랑크푸르트학파 구성원들과 교류하다가 유대인 탄압을 반대했다는 이유로 비유대인으로서는 최초로 나치 정권에 의해 해직되었다. 라인홀드 니버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유니온 신학교에서 종교철학과 조직신학, 철학적 신학을 가르쳤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대학 특별 교수와 시카고 대학교 신과대학의 존 뉴빈 석좌교수를 지냈다. 20세기 가장 중요한 개신교 신학자와 종교철학자로 꼽히며, 기독교 신학과 세속 사상을 중재하면서 ‘대답하는 신학’이라는 변증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업적을 세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중재 노력은 신학과 철학, 종교와 문화, 기독교와 사회주의, 독일과 미국 사이에서 이루어졌다. 주요 저작으로 『프로테스탄트 시대』, 『조직신학』, 『존재의 용기』, 『문화의 신학』, 『경계선 위에서』, 『흔들리는 터전』, 『영원한 지금』, 『믿음의 역동성』 등이 있다.
펼치기
남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동대학원(조직신학, Ph.D.), 고려신학대학원(M.Div.)에서 공부했다. 현재 대구 시온성교회 대학청년부 담당목사로 섬기고 있다. 논문으로 「폴 틸리히의 구원론 연구」(박사학위논문)가, 옮긴 책으로 『루터전집 47』(공역, 컨콜디아사 출간 예정)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가페의 원리는 도덕적 명령의 무조건적 타당성을 표현하며 모든 윤리적 내용에 궁극적 규범을 제공한다. 그런데 또 세 번째 기능이 있다. 그 원리는 도덕적 동기화의 원천이 된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명령하고 위
협하며 약속한다. 그 이유는 그 법의 완성이 곧 자신의 본질적 존재와의 재연합, 또는 중심을 가진 자기의 통합이기 때문이다. 바울이 말했듯이 법은 “선하다.” 하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가장 깊고 위험한 모호성이 나타나는데, 그 모호성은 바울, 아우구스티누스, 루터를 혁명적 경험으로 내몰았던 모호성이다. 법은 인간이 자기로부터 소외되었음을 표현한다. 잠재성이기만 한 것 또는 창조된 순결 상태에서는 법이 없다. 왜냐하면 인간은 자신이 속해 있는 것, 곧 자기 세계와 자기 자신의 신적 근거와 본질적으로 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_제4부 I. B. 생명의 자기-현실화와 그 모호성들 중에서


종교개혁가들이 그리스도인의 양심을 교회의 권위로부터 해방시킨 것도 새로운 권위로부터의 해방, 즉 성서의 문자로부터의 해방, 신학성서 해석자들의 신조적 진술로부터의 해방에 대한 열망을 낳았다. 그것은 영의 이름으로 수행되었던, 로마의 교황과 새로운 교황—성서와 성서의 스콜라주의적 수호자—을 향한 공격이었다. 영은 “하나님의 현존”을 의미하기 때문에 어떠한 인간적 형식의 생명과 사상도 영으로부터 차단될 수 없다. 하나님은 어떠한 자신의 현현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영적 현존은 확립된 말씀과 확립된 성례를 돌파한다. 성령 운동이 끌어낸 결론은 영에는 그런 매개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인간의 깊이에 머물며 말씀할 때 “내적인 말씀”을 통해서 말씀한다. 그 말씀을 듣는 자는 새롭고 인격적인 계시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 계시는 교회의 계시적 전통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_제4부 II. A. 인간의 정신에서 이루어지는 영적 현존의 현현 중에서


교회들은 교회들의 영적 본질과 역설적 일치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사회학적 실재이며 생명의 사회적 자기-창조의 모든 모호성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교회는 지속적으로 다른 사회적 집단들과 만나며 그것들과 영향을 주고 받는다. 조직신학은 이런 관계에 뒤따르는 실천적 문제를 다룰 수는 없지만, 교회가 교회로서 다른 사회적 집단들과 관계 맺는 방식과 원리를 정식화하고자 시도해야 한다.
_제4부 III. A. 영적 현존과 종교의 모호성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