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91162013465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2-02-01
책 소개
목차
서문 ‘괴로움’을 알아야 인생의 행복이 보입니다 4
1장 어떻게 살아야 고통스럽지 않을까
남의 장점을 부러워할 필요 없습니다 15
그릇된 목표를 추구하면 고통이 따릅니다 19
낙관과 비관의 차이 22
고통과 즐거움은 모두 마음의 작용입니다 25
다른 사람의 어깨에 영원히 기댈 수는 없습니다 27
받은 은혜는 영원히 잊지 말고, 베푼 은혜는 잊어버리세요 30
이겨 내지 못한 고난은 굴욕이 됩니다 34
인내의 지혜 36
융통성 없는 사람 39
화 잘 내는 사람은 가족에게도 외면받습니다 41
괴로움을 없애려면 관세음보살 진언을 외우세요 45
고통을 없애는 다섯 가지 방법 48
행복의 열쇠 55
고통을 피하고 행복을 부르는 진언 59
2장 부처님처럼 되기
지켜야 할 비밀 67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보세요 70
은혜를 알고, 잊지 않으며, 보답합니다 73
남의 허물을 함부로 드러내지 마세요 78
타인을 향한 배려는 내게 돌아옵니다 81
치켜세우는 말을 조심하세요 87
막무가내인 사람을 대할 때 90
좋지 않은 친구를 멀리하세요 92
마음이 청정하다면 95
잘못을 알려 주는 사람에게 감사하세요 98
변함없는 친구 100
모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104
잘못을 저지르는 것보다 감추는 것이 더욱 나쁩니다 106
3장 무상의 법칙
영원한 즐거움을 얻는 보험 111
욕망 115
무상을 알면 괴로움이 줄어듭니다 117
행복하게 사는 세 가지 비결 120
집착할수록 더 빨리 잃습니다 122
모든 것은 지나갑니다 124
행복 만들어 가기 126
4장 역경에 감사하다
“나는 단지 실패하기를 바란다” 135
오늘 받은 고통은 어제 뿌린 씨앗 138
인내는 가장 어려운 수행 142
인내심은 시련을 견뎌야 얻을 수 있습니다 146
팔풍에 흔들리지 않아야 합니다 150
인과응보를 믿어야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154
선한 생각을 가지면 하늘이 가호합니다 157
5장 언어 수행
악한 말로 남을 해하면 악한 과보를 받습니다 165
약속은 반드시 지킵니다 167
당신의 말이 당신을 상처 입힐 수 있습니다 170
듣는 이에게 맞춰 말하기 173
말해야 할 때를 아는 것 176
부드러운 말의 힘 179
6장 부모가 바로 보살
부모의 은혜 185
효도를 미루지 마세요 189
돈은 효도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191
부모님 말씀이 보살 말씀 195
부모님께는 항상 부드럽게 말하세요 199
7장 생로병사가 모두 즐거울 수 있다
죽음에 대한 준비 205
노년에 수행하기 208
생로병사는 하나의 윤회일 뿐 212
죽음에 임박해서 부처님 다리를 붙잡지 마세요 216
8장 우리의 삶은 왜 이토록 힘들까요
가장 큰 문제는 ‘무상’을 모르는 것 223
고통의 80퍼센트는 돈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227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기술입니다 230
마음의 본성을 이해하면 233
만족할 줄 아는 일의 어려움 235
재물은 가을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과 같습니다 239
돈이 많을수록 욕망을 줄여야 합니다 242
비교할수록 더욱 손해 244
질투심을 기뻐하는 마음으로 바꾸기 246
재물과 덕행 249
실패의 원인 252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생명을 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255
불법을 배우는 목적은 신통력이 아닙니다 257
이타심이 있어야 복을 얻습니다 259
보답을 바라지 않고 행하면 더 큰 보답이 옵니다 263
베풀수록 더욱 부유해집니다 266
자선은 돈이 아니라 마음 269
9장 켄포 소달지와의 대화
애정 275
인과응보 278
인연을 따른다 282
불교의 이치 285
출가 301
역경 303
귀의 314
자비 321
생과 사 324
수행 328
운명 332
후기 지혜, 자비, 행복과 함께 337
리뷰
책속에서
“인생은 모두 괴로움이다. 생로병사의 고통은 제쳐 두더라도,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고통, 미운 사람과 함께하는 고통, 얻으려 해도 얻지 못하는 고통은 피할 수 없다.”
이에 전혀 동의하지 않을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인생에는 분명 즐거움도 많은데 왜 괴로움만 과장하고, 붙들고 있나요?”
사실 불교에서 ‘괴로움’을 말하는 것은 삶에 즐거움이 있다는 점을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런 즐거움은 금방 지나가 버리며 우연으로 잠시 생긴 것이어서 인생의 ‘바탕색’ 이 아닙니다. (…) 어떤 사람은 아무런 고난 없이 순탄하기만 한 삶을 기대하지만 그런 삶은 불가능합니다. 삶의 비바람을 피하기 어려운 우리는 늘 이리 부딪치고 저리 부딪칩니다. 그러나 비바람 없이 봄에 꽃피고 가을에 열매를 맺을 수 없습니다.
- <서문> 중에서
세상의 모든 것은 변합니다. 신체, 재산, 명성, 친척 등 모두가 무상하여 태어날 때 가지고 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죽을 때 가져갈 수도 없습니다. 오로지 자신의 마음만이 우리가 태어나고 죽을 때 함께할 뿐입니다. (…) 마음은 우리와 가장 긴밀하지만 가장 소홀하기 쉽습니다. 우리는 온 힘을 마음이 아닌 외부의 것들에 쏟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 <그릇된 목표를 추구하면 고통이 따릅니다> 중에서
그렇게 하기 힘들지라도, 원수는 최대한 용서하고 은혜는 최대한 갚아야 합니다. 만약 다른 사람의 은혜를 입었다면 항상 ‘한 방울의 은혜라도 용솟는 샘물처럼 갚아야 한다’는 생각을 마음에 품어야 합니다. (…) 문득 마크 트웨인(Mark Twain)이 한 말이 생각납니다. “용서란, 제비꽃을 짓밟고 지나간 발의 뒤꿈치에 그 꽃이 퍼뜨리는 향기와 같다.”
- <받은 은혜는 영원히 잊지 말고, 베푼 은혜는 잊어버리세요>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