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62181256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0-12-07
책 소개
목차
서문
들어가기
월터의 이야기
1장 자존감에 대한 첫 번째 접근
자존감이란 무엇인가
자존감과 외적 증상들
2장 자존감의 기초인 긍정적 감정들
안정감 키우기
자아 정체감 키우기
소속감 키우기
자신감 키우기
목표의식과 책임감 키우기
3장 부모를 위한 자존감
성인의 자존감
매일매일 자존감 체험하기
4장 자존감을 결정짓는 또 다른 요인들
학교에서의 자존감
사회적 관계와 영향
본질적 욕구이자 권리인 자존감
5장 자존감, 한 걸음 더 나아가기
자존감을 높이는 실제적인 활동
행복의 열쇠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아돌프 히틀러나 아베 피에르Abbe Pierre(프랑스의 존경받는 사제이자 사회운동가)로 태어나지 않는다. 우리는 권력에 목마르고 어떻게든 돈과 싸구려 장신구를 차지하려고 혈안이 된 정치인으로도 애정이 넘치는 어머니로도 태어나지 않는다. 사기꾼으로도 마약 밀수업자로도 괴짜 브로커로도 태어나지 않으며, 책임감 있고 타인과 자연을 존중하는 인간으로도 태어나지 않는다. 태어날 때 우리는 그 누구도 아니다. 자라면서 비로소 어떠한 사람이 되는 것이다.
사실 자신감과 자존감의 발달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유아기에 그러하다. 만약 태어났을 때 받았던 자신감을 잘 간직하고 유지할 수 있다면, 아이는 외부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이 남보다 뛰어나다는 사실을 자각할 것이다. 그리고 긍정적 자존감의 기초를 잘 다지고, 행복한 삶을 누릴 좋은 기회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만약 유아기에 자신감이 억압되거나 깨지고 왜곡되거나 손상되면, 자존감도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다. 아주 불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자존감을 건강하게 발달시키는 데 아이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자존감은 우리가 삶의 다양한 모습에 부여하는 가치와 연관되어 있는데, 바로 이런 다양한 삶의 모습에 따라 한 사람의 자존감이 변화하기도 한다. 외모와 같은 신체적인 면, 능력, 기억, 문제 해결력, 결정력과 같은 지적인 면, 교우 관계나 인간관계 같은 사회적 면이 그것이다. 개념을 더 깊이 파고들면, 자존감의 수준이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모두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적인 분야에서의 자존감은 높은데, 가정생활이나 애정 생활에서는 낮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자존감의 모습은 상호 의존관계에 있다. 즉, 한 분야(직업)에서의 성공이나 실패가 다른 분야(애정 생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