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협상/설득/화술 > 화술
· ISBN : 9791162542330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09-07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모든 좋은 일은 말버릇에서 시작된다
제1장 인생을 180도 바꾸는 말버릇의 힘
불행을 부르는 말, 행복을 부르는 말
행복한 척을 해야 행복해진다
긍정적인 태도는 웃는 얼굴에서부터
말이 삶의 만족도를 결정한다
“나 역시!”라는 말이 불러온 기적
슬픔과 분노를 말 한마디로 이기는 법
부정적인 생각은 오래가지 않는다
체력이 좋아질수록 행복도 커진다
매일 쓰는 긍정 일기의 놀라운 효과
부정적인 마음은 긍정적인 말로 지워낸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한 말하기 습관
제2장 활기찬 하루를 만드는 ‘의욕’의 말버릇
기분 좋은 아침을 만드는 거짓말
‘딱 1분만 더 잘래’가 에너지를 잡아먹는다
일의 능률이 10배 오르는 맑은 날 활용법
당당한 자세가 운을 끌어당긴다
10살 어려지는 걸음걸이의 비밀
내뱉기만 해도 의욕이 샘솟는 말
맛없는 음식도 맛있게 만드는 “맛있다!”라는 주문
울적한 기분을 단숨에 바꾸는 한마디
하면 할수록 좋은 자화자찬, “정말 잘했어!”
유쾌하게 말하는 사람을 곁에 두면 내 말버릇도 바뀐다
부정적인 생각을 이불 안으로 가져오지 마라
제3장 자존감을 높이는 ‘긍정’의 말버릇
스스로에게 사소한 일탈을 선물하라
긍정적인 사람은 긍정적인 것만 눈에 담는다
“어디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을까?”
사랑은 복권 당첨보다 더 큰 행복을 준다
‘왜?’ 대신 ‘어떻게?’를 물어야 하는 이유
“스티브 잡스라면 어떻게 했을까?”
“나는 천재”라고 말하면 진짜 천재가 된다
또박또박 쓴 글씨가 게으름을 물리친다
가끔은 나를 위한 보상이 필요하다
긍정적인 기분을 만드는 맨발 걷기
제4장 좋은 사람이 저절로 모이는 ‘친절’의 말버릇
긍정의 에너지는 사람을 모은다
험담은 결국 나에게 되돌아온다
옷차림을 바꾸면 태도도 바뀐다
“고맙습니다.”의 마법 같은 효과
마음의 빗장을 풀어주는 말
칭찬의 말이 사람을 성장시킨다
친절은 베풀수록 되돌려받는 것
“제가 좀 도와드릴까요?”가 필요한 이유
싫다는 감정도 내가 만든 착각일 수 있다
‘부럽다’를 버릴 때 내가 가진 것이 보인다
제5장 말하는 대로 이루어지는 ‘확신’의 말버릇
“나는 반드시 부자가 된다!”
어떤 일이든 잘 풀리는 세 가지 말하기 습관
사랑받는 나르시시스트의 말버릇
‘이 사람의 장점은 무엇일까?’
협력하는 관계가 일의 성공을 부른다
만남에서 오는 피로감에 주의하라
“반이나 남았네.” vs. “반이나 끝냈네!”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할 때 보너스가 생긴다
‘하이파이브’가 성과를 만든다
제6장 나쁜 감정을 날려버리는 ‘생각 전환’의 말버릇
때로는 ‘어쩔 수 없지’가 도움이 된다
‘버티면 돈을 받는 게임’이라는 생각
나를 위한 소비가 자기애를 높인다
충고를 비난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법
“일을 좀 더 작게 나누자!”
‘느긋하게, 천천히’라는 주문
“OO만 아니면 무엇이든 괜찮아.”
몸과 마음이 지쳤을 때는 말보다 휴식이 먼저다
분노 회로는 ‘타임아웃’으로 차단한다
“80점만 하면 충분해.”
적당히 반성하는 말, “그럴 수도 있지.”
상처 주는 말에 반응하지 않는 연습
마치며 행복에도 연습이 필요하다
부록 곁에 두고 매일 꺼내보는 긍정 확언 카드
리뷰
책속에서
프랑스 클레몽오베르뉴 대학교의 사회심리학 교수인 장 클로드 크로아제는 소위 ‘머리가 나쁜 사람’은 스스로 ‘똑똑하지 않다’는 그 믿음 때문에 정말로 지적 수행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사실을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우리 집은 가난하니까 성적이 바닥일 수밖에 없어.’
‘부모님의 학벌이 안 좋으니까 나도 공부를 못하는 건 당연한 거야.’
‘머리가 나쁜 사람’은 보통 이런 식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저조한 학교 성적은 본인의 믿음이 옳다는 사실을 스스로 어떻게든 증명하고 싶은 마음에서 비롯된 결과라고 한다.
제1장_ <인생을 180도 바꾸는 말버릇의 힘> 중에서
샐러비 교수는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반대의 경우도 실험했다. 감기나 독감으로 고생하는 또 다른 그룹에게 슬픈 일을 생각하도록 지시한 것이다. 그 결과 이 그룹은 몸의 통증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증상 회복에 대한 전망 역시 비관적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므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컨디션이 별로 좋지 않다고 느낀 날일수록 더욱 신경 써서 행복한 일만 떠올리는 습관을 들이자.
‘오늘은 멋진 사람을 만날 것만 같아!’ ‘왠지 오늘 회의는 잘 풀릴 것 같은데?’
이렇게 좋은 일, 행복한 일을 생각하다 보면 어느새 컨디션이 회복되는 것을 느낄 것이다.
제2장_ <활기찬 하루를 만드는 ‘의욕’의 말버릇> 중에서
나도 모르게 앞날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만 자꾸 떠오른다면 가능한 한 아름다운 대상을 찾아서 바라보도록 하자. “어디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을까?” 이 말을 습관처럼 내뱉으면서 평상시 생활 속에서 마음을 들뜨게 하는 대상을 찾아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어? 매일 출근하는 길인데 이런 곳에 화단이 다 있었네?’ ‘와, 여기 민들레가 피어 있어!’ ‘어머, 귀여운 고양이가 걸어간다!’ 보기만 해도 기분이 신나고 즐거워지는 대상을 일부러 찾아내고 바라보는 습관을 들이면 비관적인 성격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
제3장_ <자존감을 높이는 ‘긍정’의 말버릇>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