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3635147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1-06-3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는 말 • 5
1부 인간의 경험 어디에나 존재하는 숫자
Ⅰ. 우리의 현재에 엮여 있는 숫자 · 16
• 어린 호모사피엔스 · 25
• 자연 속의 수량, 우리 정신 속의 숫자 · 30
• 이 책의 방향 · 35
Ⅱ. 우리의 과거에 새겨진 숫자 ·37
• 문자의 기원과 숫자 · 52
• 고대 숫자의 패턴 · 58
• 결론 · 66
Ⅲ. 오늘날 전 세계의 숫자 · 68
• 수량의 묶음을 위한 다른 동기 · 87
• 구어 숫자의 제한적인 체계 · 92
• 결론 · 94
Ⅳ. 숫자단어를 넘어: 수 언어의 다른 종류
• 명사의 숫자 · 97
• 기타 단어의 숫자 · 106
• 문법적 수의 신경생물학적 기반 · 114
• 결론 · 121
2부 인간의 경험 어디에나 존재하는 숫자
Ⅴ. 숫자가 없는 세계에 사는 사람들 · 126
• 밀림에서 답을 찾기 · 132
• 소리도 없고 숫자도 없다면 · 153
• 결론 · 155
Ⅵ. 아이들이 생각하는 수량 · 157
• 아기들은 수량을 어떻게 이해할까 · 158
• 아이들의 수 세기 · 171
• 결론 · 178
Ⅶ. 동물들이 생각하는 수량 · 182
• 비영장류 동물들의 수 인지능력 · 189
• 비인간 영장류의 수 인식 · 197
• 결론 · 202
3부 숫자와 우리 삶의 형성
Ⅷ. 숫자와 연산의 발명 · 208
• 자연적 산물이 아닌 숫자 · 209
• 단순한 셈을 넘어 · 219
• 인간의 뇌와 숫자 · 228
• 결론 · 230
Ⅸ. 숫자와 문화: 생계와 기호 · 232
• 숫자와 생계 · 234
• 일부 수 체계의 간과된 이점 · 244
•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숫자 0의 느긋한 여정 · 250
• 기호 혁신의 중심에 존재한 숫자: 문자의 기원 · 254
• 결론 · 257
Ⅹ. 변형 가능한 도구 · 259
• 숫자와 신 · 266
• 사회적으로 중요한 숫자 · 269
• 결론 · 275
감사의 말 · 308
색인 · 310
리뷰
책속에서
어떤 문화에서는 우리가 이처럼 중요하게 여기는 이 첫 번째 질문이 무의미하다. 그런 문화에서는 나이를 정확히 세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에 사는 사람들이 나이를 세지 않는 배경을 이들이 지구의 태양 공전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보다 공전주기를 정확히 셀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즉, 이들에게는 숫자가 없다. 예를 들어, 아마존의 문두루쿠족(Munduruku)은 2보다 큰 수를 셀 수 있는 정확한 단어를 갖고 있지 않다. 아마존의 또 다른 원주민인 피라항족(Pirah?)의 언어에는 숫자를 지칭하는 어떠한 단어도 존재하지 않는다. 심지어 1에 해당하는 단어도 없다. 그렇다면, 이들의 언어로는 ‘나이’를 어떻게 물을 수 있을까? 다른 문화에 사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숫자와 관련한 많은 질문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 우리의 현재에 엮여 있는 숫자
언어와 문화의 기원은 여전히 큰 논쟁의 대상이다. 많은 인류학자의 연구에 따르면, 인류가 언어와 문화를 통해 혁명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협력에 더 크게 의존한 결과였다. 인류가 서로 의존해야 했던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인간 개개인의 힘으로는 다른 종을 능가할 수 없고 둘째, 인간 집단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라도 더 진보적인 형태의 협력을 이뤄야 했다. 인간이 특별히 언어와 관련하여 유전적으로 타고났다고 장담할 수는 없으나, 이러한 설명은 종의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하고자 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 인간의 갓난아기는 다른 유인원에 비해 인지적 능력이 부족하지만, 다른 구성원과의 협력 가능성을 예민하게 인식한다. 인간의 이러한 협력적 성향은 기본적인 몸짓에 기초한 유인원의 소통 방식과 달리 더 견고한 언어에 기반을 둔 방법적 전환을 예고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우리가 언어적 특징을 보이는 종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그와 관련하여 특별한 기술을 타고난 것이라기보다, 인지적 능력을 모아 협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 어린 호모사피엔스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형성한다. 심지어 비언어적인 사고를 촉진하기도 한다. 더 실용적인 차원에서 언어를 통해 인간은 새로운 형태로 협력하며, 생태계에서 생존을 위한 해결책을 다음 세대로 전수할 수 있었다. 생각을 담아내는 단어는 인간이 새로운 환경에서 직면하는 문제의 해결책을 기록하고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인지적 도구이다. 언어적 혁신을 통해 인간은 이제 같은 문제의 해결책을 반복해서 새롭게 생각해 낼 필요 없이 다른 구성원의 관련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 어린 호모사피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