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벤 바레스 :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벤 바레스 :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벤 바레스 (지은이), 조은영 (옮긴이), 정원석 (감수)
해나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450원
16,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300원 -10% 560원 9,610원 >

책 이미지

벤 바레스 :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벤 바레스 : 어느 트랜스젠더 과학자의 자서전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자의 생애
· ISBN : 979116405057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0-04-06

책 소개

세계적인 뇌신경과학자이자 트랜스젠더 과학자인 벤 바레스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의 자서전. 자신의 과학에 대한 무한한 열정뿐 아니라 성 정체성 혼란으로 인한 고통, 성전환을 하기까지의 고민, 성차별에 대한 날카로운 자각 등을 솔직하고 담담한 어조로 풀어냈다.

목차

서문_낸시 홉킨스
들어가는 말

1장 삶
성장기
성장기의 성 정체성 혼란
대학 시절
의학대학원 수련 과정
대학원 박사 과정
박사 후 과정
스탠퍼드에서의 시작
바버라에서 벤으로

2장 과학
중추신경계 신경세포의 정제와 배양법 개발
왜 손상된 중추신경계 신경세포는 축삭돌기를 재생하지 못하는가?
희소돌기아교세포 발달, 랑비에결절 형성, 미엘린 수초화의 이해
별아교세포 정제와 배양법 개발, 별아교세포 전사체 규명
시냅스 형성과 기능에서 별아교세포의 적극적인 역할 규명
시냅스 가지치기에서 별아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의 적극적인 역할 규명
인간 별아교세포의 이해: 인간다움의 밑바탕에 별아교세포가 있는가?
미세아교세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구의 개발
혈뇌장벽 형성 연구
활성 별아교세포와 퇴행성 신경질환에서의 기능 이해
생명공학 회사 설립

3장 옹호
젊은 과학자들을 지도한다는 것
젊은 과학자들에게 인체생물학과 질환을 가르친다는 것
이공계에서 여성을 돕는다는 것

책을 마치며
벤 바레스 약력
바레스 연구실 사람들

비전문가들을 위한 간단한 용어 설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벤 바레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신경생물학과 교수이자 신경아교세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로 주목받은 세계적인 과학자였다. 고등학교 시절 수학 천재로 불렸으며, MIT로 진학해 화학과 컴퓨터과학을 공부했다. MIT를 졸업한 후 다트머스 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수련 과정을 밟아 의사 면허(1980) 및 신경정신과 전문의 자격증(1984)을 취득했으며, 하버드 대학교 의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1990)를 받았다. 1993년에 스탠포드 대학교 신경생물학과 교수가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성 정체성 혼란을 겪다가, 1997년 성전환을 통해 ‘바버라’에서 ‘벤’이 되었다. 이후 그동안 여성 연구자로서 겪은 일들이 성차별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는, 성차별의 실체에 대해 공개적으로 발언하기 시작했다. 2006년에는 『네이처』에 「성별이 문제가 되는가?Does gender matter?」라는 글을 기고해 래리 서머스 하버드 대학교 총장의 성차별 발언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이런 벤의 공개 비판은 학계에서의 성차별을 공론화하는 촉매제가 되었고, 래리 서머스는 결국 총장직을 사임했다. 2017년 12월 췌장암으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벤은 성차별과 맞서 싸운 비판적인 활동가였고,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한 교육자였으며, 신경아교세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였다. 이 책은 벤이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 탈고한 원고다. 저자사진 ⓒ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펼치기
조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어려운 과학책은 쉽게, 쉬운 과학책은 재미있게 번역하려는 과학 전문 번역가. 서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대학원과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지우지 마시오』, 『새들의 방식』, 『뛰는 사람』, 『암컷들』, 『파브르 식물기』, 『살아있니, 황금두더지』, 『거북의 시간』, 『10퍼센트 인간』 등을 옮겼다.
펼치기
정원석 (감수)    정보 더보기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에서 발생생물학 분야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스탠퍼드 대학교 벤 바레스 연구실의 박사 후 연구원으로서 벤과 함께 신경아교세포 연구를 진행했다. 현재 카이스트에서 신경아교세포 포식 작용을 통한 시냅스 소멸 기전과 이 현상이 정상 뇌와 알츠하이머 병 뇌에 미치는 생리학적 중요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자로서 내 성공을 돌아보자면, 나는 내가 어떤 특별히 뛰어난 지능이 있어서 성공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내가 만난 사람 중에는 나보다 훨씬 똑똑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았다. 나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 기질이 나를 성공하게 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연구에 대한 주체할 수 없는 강한 열정이다. 어디에서 왔는지는 몰랐지만 나에게는 언제나 열정이 있었다. 다른 하나는 요샛말로 ‘그릿(grit)’이라고 부르는 인내와 끈기, 회복력과 탄력성이다. 나는 내가 ‘그릿’을 아주 많이 가졌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그릿은 분명(지금까지 언급하지 않은) 내 ‘남다름’에서 왔을 것이다.”


“MIT에서 들은 인공지능 수업에서 나는 아주 어려운 기말 숙제를 풀어온 유일한 학생이었다. (…) 나는 교수에게 찾아가 문제를 풀었다고 보여주었다. 그러나 교수는 나를 비웃으며 남자친구가 대신 풀어준 거 아니냐고 말했다. 내가 부정행위를 했다고 간주한 것은 공정하지 못한 데다 사실이 아니었으므로 나는 몹시 불쾌하고 기분이 상했다. 그러나 그의 말이 뿌리 깊은 성차별적 발언이었다는 사실을 몇 년이 흐른 뒤에야 깨달았다. 교수는 그렇게나 많은 남자들이 풀지 못한 문제의 답을 한 여학생이 알아냈다는 것을 믿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저는 변태가 아닙니다. 저는 쾌락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오로지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을 뿐입니다. 성전환증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치와 공포, 특히 자신의 상태에 대한 무지와 지속적인 탄압 때문에 감추고 숨기려고 합니다. 이들의 자살률은 일부 전문가가 성별 불쾌감을 죽음의 질병이라고 부를 정도로 높습니다. 그래서 저는 더 숨을 수가 없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4051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