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4251407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3-03-20
책 소개
목차
▰ 추천사 4
▰ 발간사 14
제1부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수업 철학 (박혜진). 16
제2부 초등 수업
◾ 평생 학습의 기반을 다지는 초등 수업 (최봉선). 52
◾ 세상을 만나고 일상의 이치를 깨닫는 1학년 수업(조현민). 88◾ 삶터를 통해 배움을 만드는 수업 (김경희). 133
◾ 작은 시민들과 함께한 평화 프로젝트 수업 (김기수). 163
제3부 중등 수업
◾ 삶을 가꾸는 국어 수업 (양혜단). 204
◾ 학생의 삶 속에 있는 수학 수업 (주희선). 239
- 수학은 학생의 삶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삶의 태도를 배우는 관찰 수업 (김영진). 270
◾ 생태 전환 프로젝트 수업 설계 (안상임). 293 - 우리가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요?
에필로그 32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교는 교육적 관계가 역동하는 곳이다. 학교에는 문화적, 역사적 배경이 다양한 구성원들이 공존한다. 삶을 가꾸는 교육의 시작은 학생-교원-학부모가 공동체로서 학교의 현재와 미래를 꾸려가는 주체가 바로 ‘우리’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학생, 교원, 학부모의 삶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삶을 가꾸는 교육은 서로의 삶을 세심하게 보살피고 가꾸는 ‘과정’이 중요하다.
수업은 배움의 의미를 찾고, 협력의 즐거움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배움은 교실에서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학교 밖 일상적인 삶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지속성이 생긴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동료와 교사, 지역사회 다양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통해 현재의 삶을 넘어 ‘더 나은 삶’을 위해 함께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체득하게 된다.
학생은 교사가 말로 가르친 대로 배우지 않는다. 허공으로 흩어지는 말을 붙잡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쓰지만 배움을 확인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새로운 것을 배우는 의식적 자각은 삶의 유동적인 행동 패턴 속에 녹아들어야 한다. 학교공동체가 공유하는 역량 지표는 학생의 삶에 녹아들도록 일상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해마다 새롭게 진단하고 사회변화와 아이들의 성장을 반영하여 수정하는 과정에 학생이 참여한다면 주체적이면서 책임 있는 태도를 가지게 될 것이다. 교사가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 관심, 생활환경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고 실행하는 학교는 학교의 비전을 공유하는 학습공동체를 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