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6455005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1-06-28
책 소개
목차
ㄱ
가다~낑깡
001 가다
002 가도
003 가라
004 가라오케
005 가리
006 가마니
007 가방
008 가보시
009 가봉
010 가부라
011 가부시끼
012 가오
013 가오시
014 가께모찌
015 가꾸
016 간발의 차이
017 간수
018 간지
019 겐또
020 겐세이
021 겜빼이
022 고구마
023 고데
024 고도리
025 고바이
026 고참
027 꼬붕
028 곤색
029 곤약
030 곤조
031 공구리
032 구두
033 구라
034 구루마
035 구찌
036 기도
037 기라성
038 기레빠시
039 기리까이
040 기마이
041 기모
042 기모찌
043 기스
044 기지
045 낑깡
ㄴ
나가리~니꾸사꾸
046 나가리
047 나라비
048 나시
049 나와바리
050 나카마
051 난닝구
052 낭만
053 냄비
054 노가다
055 노깡
056 니꾸사꾸
ㄷ
다구리~똔똔
057 다구리
058 다꽝
059 다대기
060 다데
061 다라이
062 다마
063 다마네기
064 다스
065 다시
066 다이
067 다찌마리
068 단꼬
069 단도리
070 단스
071 닭도리탕
072 당꼬바지
073 대끼리
074 대빵
075 땡깡
076 땡땡이가라
077 데모도
078 도꼬리
079 도끼다시
080 도라꾸
081 도란스
082 도비라
083 독고다이
084 돈가스
085 똔똔
ㄹ
라이방~레자
086 라이방
087 레미콘
088 레자
ㅁ
마이~미싱
089 마이
090 마이가리
091 마이깡
092 마호병
093 마후라
094 만땅
095 맥고모자
096 머구리
097 모도시
098 모찌
099 모찌꼬미
100 몸빼
101 무대뽀
102 미쓰꾸리
103 미싱
ㅂ
바라시~삑사리
104 바라시
105 바리깡
106 바케쓰
107 바킹
108 빠꾸
109 반까이
110 베니다
111 백미러
112 벤또
113 보루
114 뽀록
115 뽀찌
116 부
117 부락
118 분빠이
119 삐까삐까
120 삐끼
121 삐라
122 삑사리
ㅅ
사라다~신쭈
123 사라다
124 사리마다
125 사바사바
126 샤부샤부
127 사시미
128 사이다
129 사쿠라
130 소라색
131 소보로빵
132 쇼당
133 쇼바
134 쇼부
135 수타
136 스뎅
137 스시
138 쓰끼다시
139 쓰나미
140 쓰리
141 쓰메끼리
142 쓰봉
143 시네루
144 시다바리
145 시로도
146 시마이
147 시아게
148 신삥
149 신쭈
ㅇ
아까징끼~이빠이
150 아까징끼
151 아나고
152 아다리
153 아도
154 아싸리
155 아시바
156 아이롱
157 앙꼬
158 야끼만두
159 야리꾸리
160 야마
161 야매
162 야지
163 애매
164 애자
165 에리
166 엑기스
167 엥꼬
168 오뎅
169 오봉
170 오야붕
171 와꾸
172 와리깡
173 와리바시
174 와사비
175 와이로
176 왔다리갔다리
177 요이 땅!
178 요지
179 우라
180 우라까이
181 우와기
182 유도리
183 이빠이
ㅈ
자꾸~진검승부
184 자꾸
185 자부동
186 짬밥
187 짬뽕
188 지리
189 진검승부
ㅊ
천정~추레라
190 천정
191 추레라
ㅋ
캄프라치~쿠사리
192 캄푸라치
193 쿠사리
ㅌ
타이루~타짜
194 타이루
195 타짜
ㅍ
(없음)
ㅎ
하꼬방~히야시
196 하꼬방
197 함바집
198 혜존
199 호리꾼
200 후까시
201 후루꾸
202 히로뽕
203 히마리
204 히야까시
205 히야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노가다
노가다는 공사장의 막노동이나 막벌이 일, 힘들고 고된 일, 또는 그런 일을 담당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말은 일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노가다의 일본식 발음은 ‘도카타どかた’이다. 일본식 한자로는 ‘土方’이라고 적는데, 잡역부들이 공사장 주변의 변변찮은 토방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일했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일본에서 ‘카타かた:方’는 상대를 높여 부르는 말로, 일의 귀천을 따지지 않는 문화 정서도 배어있다.
이처럼 일본어 도카타どかた가 우리나라에서는 발음하기 편하게 노가다로 바뀌어 막노동을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다. 처음에는 토목공사장 막일이나 잡역만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지만, 차츰 육체적인 노동이나 험한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모두를 가리키는 말로 적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국어사전은 ‘노가다’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의미로 규정하고 있다.
① 행동과 성질이 거칠고 불량한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② 막일(이것저것 가리지 아니하고 닥치는 대로 하는 노동)의 잘못.
③ 막일꾼(막일을 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의 잘못.
와리깡
와리깡은 일본말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인다. 하나는 ‘할인’의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각자부담’의 뜻이다. 이 중 할인은 우리가 의미를 바꿔서 쓰는 것이고, 각자 부담은 일본어 뜻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본어로 할인은 와리깡이 아니라 ‘와리비끼わりびき’이다. 우리가 할인의 의미로 쓰는 와리깡은 와리칸조우わりかんじょう의 줄임말인 와리칸わりかん의 우리식 발음이다. 와리칸조우는 ‘나누다’란 뜻의 와리わり와 ‘계산’이란 뜻의 칸조우かんじょう를 합쳐서 만든 말로, ‘나누어 계산한다’ 또는 ‘각자 몫 계산’이라는 뜻이다. 영어의 더치페이에 해당하는 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와리깡이 할인의 의미로 쓰이는 것은 뜻이 바뀐 경우이다.
국어사전에는 ‘와리깡’이란 말이 나와 있지 않고, 일한사전에는 와리깡이 ‘각추렴, 각자 부담’으로 나와 있다. 와리깡을 그냥 ‘깡かん’으로 줄여 쓰기도 하는데, 속칭 어음깡은 어음 발행 금액에서 선이자를 떼고 현금으로 바꿔주는 것을 말하며, 카드깡은 카드로 물건을 구입하는 것처럼 위장한 다음 가맹점에 일정의 보상액을 주고 현금을 받아쓰는 것을 말한다.
와리깡이라는 말 자체가 속어이듯, 할인이란 의미로서의 와리깡은 ‘비정상적 뒷거래 할인’이란 의미가 숨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