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64840311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01 인공지능
인공지능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난무하는 스네이크 오일 중에서 짚어내야 할 포인트
• China 국가 전략을 뒷받침하는 중국계 인재
인공지능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AI 활용의 성패를 가르는 데이터와 기술 획득 경쟁
• China 3대 IT 기업 BAT는 AI로 인류를 진화시킬 것인가
인공지능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Silicon Valley 결국 지금의 AI는 무엇을 어디까지 할 수 있는가
• China 일본 기업, 역전의 관건은 ‘데이터 없는 학습’에 있다?
02 차세대 모빌리티
차세대 모빌리티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탈것의 서비스화’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기업
• China 전기자동차 보급과 발전의 진원지가 된 중국
차세대 모빌리티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거대 IT기업들이 기존 산업에 뛰어들면서 게임의 룰이 바뀌었다
• China 자율주행차와 전기자동차 개발에서 세계를 뒤흔드는 기업이 등장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Silicon Valley IT 기업이 자동차 제조사를 인수하는 날이 올 것인가
• China 베이징의 새파란 하늘을 되찾은 중국의 저력
03 핀테크·가상화폐
핀테크·가상화폐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열기는 잦아들었지만, 여전히 북미는 핀테크 대국
• China 급성장하는 모바일 결제와 규제가 강화되는 가상화폐
핀테크·가상화폐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기술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전하는 기업들
• China 모바일 결제 양대산맥의 추세
핀테크·가상화폐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China 중국 핀테크의 급성장과 문제점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04 유통·소매
유통·소매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새로운 업태의 확산과 대기업의 고전, 관건은 ICT 활용
• China 시장 확대의 이면에 있는, 새로운 구매 경험을 추구하는 기업의 노력
유통·소매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 전략을 추진하는 주목 기업
• China 자동차도 자판기로 파는 중국 기업의 판로 확대 전략
유통·소매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China 유통의 미래는 어디로 갈 것인가
05 로보틱스
로보틱스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언젠가 도래할 인간과의 공생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다
• China 로봇대국으로 가는 길, ‘중국제조 2025’
로보틱스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대기업에 의한 인수·출자가로봇의 미래를 바꾸다
• China 로봇 산업에까지 미친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영향력
로보틱스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Silicon Valley 경험을 파는 시대에 제조사가 이루어야 할 4가지 변화
06 농업·식테크
농업·식테크 마켓 트렌드
마켓 트렌드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식량 부족과 가치관의 변화, 세계적인 문제 해결에 도전하는 테크놀로지 기업
• China 식량 문제를 안고 있는 중국 테크놀로지가 구원하다
농업·식테크의 주요 참여자
주요 참여자 상세 해설
• Silicon Valley AI, 로봇, 바이오 관련 스타트업의 약진
• China 기업과 투자 측 모두 안전·고품질·편리를 추구하다
농업·식테크 분야의 주목 스타트업
미래전망
• China 알래스카 라이프의 대응을 통해 배우는 애그테크의 가능성
마치며
책속에서
실리콘밸리의 전기자동차 제조사 테슬라는 업데이트로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테슬라 고객들은 자동차를 산 뒤에도 소프트웨어만 업데이트하면 개선된 성능의 자동차를 탈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단 팔고 나면 끝’이라는 사고방식을 지녔던 기존 자동차 제조사들과 비교하면, 판매 후에도 소프트웨어를 통해 향상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테슬라의 비즈니스 모델은 파괴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일찍이 중국 기업들은 주로 제조업에서 미국과 일본 업체의 좋은 점을 복제하는 방식으로 성장해왔다. 즉 뒤쫓는 것이 기본 전략이었던 셈이다. 그러다가 최근 들어 AI 분야에서 자신들이 선두로 나서 전 세계 시장을 노리겠다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런 변화는 2017년에 중국 정부가 발표한 차세대 AI 발전 계획에 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계획은 AI를 국제 경쟁의 새로운 초점이자 미래 전략 기술로 규정하고 3단계에 걸쳐 국내 AI 산업을 발전시키겠다는 내용이다.
MaaS를 한마디로 설명하면, 자동차를 포함한 모빌리티 자체를 서비스화하는 시도다. 선행 사례는 승차공유 서비스로 널리 알려진 우버 테크놀로지(이하 우버)다. 우버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자율적으로 통신하는 개인 간 통신기술 P2P을 기반으로 사람과 사물이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최적화한다.
최근에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한 내비게이션과 우버 서비스를 합친 듯한 복합형도 등장했다. 핀란드의 스타트업 마스글로벌은 출발 지점과 목적지를 입력하면, 해당 경로상에 있는 공유 자전거와 대중교통을 전부 최적화해 추천하고 이용할 교통수단의 결제까지 처리해주는 애플리케이션 윔Whim을 출시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앞으로 MaaS는 자율주행 기술이 더해져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