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6484654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1-1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투자 위기를 마주했을 때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1부 미국 경기 흐름과 우리나라 경제RT 1
01 2024년 미국 경기 둔화는 신흥 증시에 기회가 될 것이다
02 반도체 산업의 성장이 없으면 어차피 우리나라 경제는 어렵다
03 어게인 2023, 리튬 위에 구리
04 아이패드 OLED 탑재는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에 큰 기회다
2부 2024년 주목해야 할 유망 업종과 차트의 기술T 2
01 2024년 증시, 어두운 터널 끝에 빛이 보인다
02 2024년 유망 업종 원 픽은 로봇
03 차트의 기술, 성공률 90% 이상의 실전매매 기법
3부 로봇의 시대, 성장주에 주목하라
01 2024년 한·미 증시 성장주들의 2차 상승 랠리를 기대하자
02 2024년 로봇의 시대, 대기업의 로봇 투자는 계속된다
03 2024년 반도체 섹터 실적 호전주를 주목하자
4부 바이오 슈퍼 사이클과 AI 시대
01 긴축의 종료, 성장주의 시대
02 10년에 한 번 오는 기회, 바이오 슈퍼 사이클
03 2030년, 사람이 없다
04 AI 시대가 오고 있다
5부 2024년 불마켓, 주도주의 조건
01 2024년 증시, 불마켓(강세장) 가능성 3가지
02 삼성 미래 먹거리만 확실히 알아도 수익은 저절로 따라온다
03 소외된 낙폭 과대 섹터에서 큰 기회가 온다
04 주도주가 되는 3가지 조건
6부 세계 경기 침체, 살아남은 자가 강자
01 2023년 증시 리뷰와 2024년 시장의 전개 방향 등장
02 세계 경기 침체 신호 고조와 금융 완화 사이클 기대 사이 박스권 장세
03 2024년 상반기, 박스권 장세 대비하라
04 2024년 하반기, 살아남은 자가 강자가 된다
05 2024년에는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판다
에필로그 정답이 없는 주식 시장에서 방향을 잃지 않는 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4년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 증시의 방향성은 결국 미국 경제 둔화의 속도 여부에 달렸다고 본다. 미국 경기가 약한 경기 둔화를 보여준다면 금리 하향 안정화,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신흥 증시에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 미국 국채금리의 추이와 원·달러 환율 흐름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미국 국채금리의 하락은 원·달러 환율 하락을 동반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외국인 자금 유입을 기대해볼 수도 있다. 반면 미국 경기가 심각한 침체를 겪게 된다면 이 부분은 시장에서 경기 침체 우려감이라는 이유로 악재로 받아들일 여지도 있다.
- ‘PART1 미국 경기 흐름과 우리나라 경제’ 중에서
코스피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는 우리나라 수출지표는 글로벌 경기 하강에 따른 수요 둔화로 지난 1년간 부진을 거듭하다가 최근 살아나기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1월 1일 발표한 ‘10월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50억 9,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했다. 13개월 만의 플러스 전환이다. 2023년 수출이 자동차 기계 등의 호조에도 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역대급 느린 회복세를 전개했다면, 2024년에는 반도체 중심의 IT 업황과 중국 경기 반등으로 개선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이와 같이 OECD 선행지수의 반등과 국내 수출의 증가세로 보았을 때 2024년의 증시는 경기 회복 국면에서 민간 소비의 증가와 기업 실적의 증가에 따라 증시 유입 자금의 유동성이 풍부해질 것으로 판단해 증시의 우상향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다. 금리 인상의 마무리 시점, 금리 인하 기대감과 그에 따른 달러 약세 국면에 진입한다. 국내적으로 OECD 선행지수의 반등과 수출 회복에 따른 경상수지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것이다.
- ‘PART2 2024년 주목해야 할 유망 업종과 차트의 기술’ 중에서
2023년 상반기는 로봇주의 주가 상승세가 두드려졌고, 하반기에는 큰 조정이 나왔는데 다시 2024년에는 상승이 가능할 것이다. 로봇 섹터는 대기업이 꾸준히 투자하는 분야이고 지속적인 성장이 담보되는 섹터이기 때문이다. 삼성이 투자한 레인보우로보틱스, 협동 로봇의 선두주자 뉴로메카, 감속기 분야의 핵심 종목인 에스비비테크, 2023년에 상장된 두산로보틱스 등은 실체가 있는 실적 성장주이므로 로봇 섹터들은 2024년에도 유망하다고 볼 수 있다. 국내 주요 로봇 기업들은 단순한 협동 로봇보다는 자율주행 기반인 모바일 로봇 개발을 위해 대대적인 투자와 연구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HD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한화로보틱스 등 대기업이 모바일 로봇에 대한 청사진을 갖고, 일반적이고 단순한 로봇 사업에서 AI 등 IT 분야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협동 로봇이 공정 자동화 등 생산 중심 로봇이었다면 모바일 로봇은 이에 더해 배달과 서빙 같은 소비 시장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협동 로봇 분야는 독일이나 일본처럼 정밀 기술 분야가 우수한 국가들이 산업을 선도했지만, 모바일 로봇은 비전과 AI와 같이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이 중요해 주요 기업들도 팔을 걷어붙이고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 ‘PART3 로봇의 시대, 성장주에 주목하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