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6484702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4-08-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Part I 스타트업 셋업과 세무
1. 사업자 유형, 개인이냐 법인이냐 … 12
2. 사업자등록을 해야 사업을 시작한다 … 20
3. 정관은 회사의 헌법이다 … 28
4. 꼭 알아둬야 할 세금들 … 35
[쉬어가는 페이지] 회계개혁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 … 45
Part II 스타트업 회계
1. 회계는 기업에서 통용되는 언어다 … 52
2. 재무회계는 재무제표로 말한다 … 58
3. 기업회계기준은 표준문법이다 … 64
4. 특정시점의 재무상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68
5. 유동과 비유동은 왜, 어떻게 구분할까? … 72
6. 자본을 유동성 기준으로 나누지 않는 이유는? … 77
7. 현금 및 현금성자산, 내 마음대로 사용 가능한가? … 81
8. 매출채권이 서 말이라도 회수해야 보배 … 85
9. 재고자산 장부가액은 뻥튀기 금지!! … 89
10. 유형자산 그리고 현금지출이 없는 비용, 감가상각비 … 93
11. 치명적인 유혹, 개발비 … 98
12. 자금조달의 양 날개, 부채와 자본 … 102
13. 매입채무와 미지급금은 동의어? 선수금, 선수수익, 예수금은 뭐지? … 107
14. 단기차입금과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차이는 무엇인가? … 111
15. 우선주를 발행했는데 부채가 증가한다고? … 114
16. 이별을 대비하는 퇴직급여충당부채 … 117
17. 주주가 납입한 돈, 자본금 … 119
18. 사업을 잘해서 번 이익, 이익잉여금 … 124
19. 기타의 자본항목 – 자본조정과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29
20. 경영활동 성적표, 손익계산서 … 132
21. 수익과 비용 둘러보기 … 137
22. 영업비용 vs 영업외비용 … 141
23. 매출이냐 이익이냐? 뭣이 중헌디? … 145
24. 영업이익(또는 손실)의 중요성 … 150
25. 우리 회사 건강진단 (1) – 성장성과 수익성 분석 … 154
26. 우리 회사 건강진단 (2) – 안정성과 활동성 분석 … 159
27. 현금흐름의 3가지 컬러 - 영업, 투자, 재무 … 166
28. 머니머니해도 영업머니가 최고! … 173
29. 재무제표 알쓸신잡, 주석 … 176
[쉬어가는 페이지] 오스템임플란트 횡령사건, 희생양을 찾아서 … 182
Part III 스타트업 외부감사
1. 외부감사인에게 회계감사를 받아야 하는 회사 … 192
2. 회계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외부감사인이 따로 있다 … 195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적용해야 하는 기업들 … 198
4. 외부감사계약도 절차에 따라 진행해야 한다 … 201
5. 감사의견의 종류 … 205
[쉬어가는 페이지] 대리인 문제에 대한 새로운 대응책으로서의 … 214
RS제도(양도제한조건부주식보상제도)
Part IV 스타트업 EXIT의 여러 모습들
1. 투자를 받자! 투자 유치의 기초 … 226
2. 우리 회사 주식 상장하기 … 240
3. 상장을 폐지하는 사연 … 248
4.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의 폐업절차와 세무상 유의점 … 254
리뷰
책속에서
아무래도 세금이라는 것이 복잡다단하다 보니 창업 초기에는 사업에 집중하고, 세금 문제는 세무사나 회계사에 일임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하지만 세금은 무지와 실수가 세금폭탄이나 가산세 등 현금유출로 이어져, 경우에 따라 회사의 존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문제다. 따라서 적어도 사업을 하면서 부담하게 되는 세금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재고자산(inventories)은 한마디로 판매하기 위해 보유 중인 자산이다. 이마트와 같은 유통회사는 상품이라는 재고자산이 많을 것이고, 현대자동차나 삼성전자 같은 제조회사에는 원재료와 재공품, 제품이라는 재고자산이 존재할 것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을 건축하고 판매(분양)하는 회사라면 재고자산에 미분양완성건물이라는 계정이 보일 것이다. 만약 회사가 사무실로 사용할 목적으로 오피스텔을 매입했다면 그 오피스텔은 판매 목적이 아니고 업무용이므로 유형자산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재고자산은 판매되면 현금이 유입되므로 유동자산이기는 하지만 (제조회사일 경우) 제조와 판매라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매출채권이나 미수금보다 빨리 유동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래도 재고자산은 통상 보고기간종료일로부터 1년 이내에 판매될 것이므로 유동자산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2022년 기준으로 국내에 법인세를 신고한 법인은 90만여 개에 이른다. 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중소기업은 주로 법인세나 사업소득세 신고 목적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그렇지만 기업의 자산 규모가 커지고 영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투자와 재무활동까지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면 명함 몇 통도 부족할 정도로 이해관계자들이 많아지기 마련이다.
(중략)
외부감사법(‘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약칭)에서는 이렇게 모든 기업에 대해 감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정한 자산 규모나 매출규모가 커서 이해관계자가 많은 회사에 대해서만 회계감사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다. 일정 수준 이상의 기업들은 서로 간에 동일한 잣대로 기업성과를 비교하고, 공통된 언어로 재무상태를 보여주기 위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