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창의 교육
· ISBN : 979116526317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5-19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유아와 함께하는 일상
몬테소리가 필요한 이유
저자에 대하여
이 책에 대하여
모든 아이를 위한 몬테소리
- 3세에서 6세 아이의 특징
- 6세에서 12세 아이의 특징
CHAPTER 2. 3세에서 12세 아이를 위한 중요 몬테소리 원칙
간략한 몬테소리 역사
몬테소리란 무엇인가?
인간의 성향
발달의 4단계
CHAPTER 3. 몬테소리 아이 키우기
아이의 안내자 되기
- 튼튼한 토대 놓기
- 아이에 대해 배우기
- 자기 훈련과 내재된 동기
- 독립성과 책임감 육성하기
- 호기심 많은 아이로 키우기
-
몬테소리 사례
나이지리아
주니파, 우조, 솔루, 메투, 비엔두, 날루
두오마 몬테소리
CHAPTER 4. 가정 준비하기
물리적 환경을 준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집 안 공간
- 입구와 통로
- 거실
- 주방과 식사 공간
- 아이의 침실
- 욕실
- 어른의 공간
- 놀이방
- 야외
심리적 준비
몬테소리 사례
영국 & 말레이시아
누사이바와 노아
루미 몬테소리
CHAPTER 5. 아이를 위한 몬테소리 활동
아이의 발달을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점
몬테소리 활동이 중요한 이유
아이의 발달을 지원하는 것에 관련된 공통 질문
몬테소리 사례
네덜란드 & 우크라이나
율리야, 클라스-빌렘, 이반, 나타샤
웰컴 투 몬테소리
CHAPTER 6. 아이의 사회적, 도덕적 발달 지원하기
사회적 발달 육성하기
도덕적 발달 육성하기
6세에서 12세 아이의 사회적, 도덕적 발달을 위해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예의범절 육성하기
밖으로 나가기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도덕적 문제와 행동상의 어려움을 다루는 방법
사회의 시민 되기
가족 문화 가꾸기
몬테소리 사례
디네 & 아코마 푸에블로Din? & Acoma Pueblo, 뉴멕시코, 나바호 원주민
조슈아, 케일럽, 카테리
@ndnslp & 존스홉킨스 교수
블룸버그 공중보건대학원
CHAPTER 7. 실천하기
PART 1. 실생활에 몬테소리 적용하기
일상의 리듬
계절의 리듬
먹기와 식사 시간
잠자기
배변 훈련과 밤중 기저귀 떼기
치아 관리하기
PART 2. 실용적 질문
아이를 도와줘야 할 때 아이를 도와주지 말아야 할 때
독립성을 장려하는 방법
아이 혼자 집에 있기
아이와 함께 여행하기
이중 언어/다중 언어
장애나 신경 다양성 아동을 위한 몬테소리
PART 3. 어려운 상황이 일어날 때
협력하는 관계 형성하기
아이가 마음 상해할 때
필요할 때 다정하지만 단호하고 명확한 한계 설정하기
같이 문제 해결하기
양자 간의 갈등 해결하기
사과하고 복구하기
일반적인 문제들
PART 4. 민감한 주제에 대해 논의하기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기
성(sex)에 대해 이야기하기
몸에 대해 이야기하기
돈에 대해 이야기하기
도둑질에 대해 이야기하기
첨단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기
총싸움 놀이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쟁과 기후 변화에 대해 이야기하기
믿음에 대해 이야기하기
PART 5. 타인과 함께 일하기
특정 관계에 대해
몬테소리 사례
싱가포르 & 영국
재스민, 앤드류 그리고 그들의 1세, 9세, 10세 아이들
쓰리 미닛 몬테소리
CHAPTER 8. 어른이 되는 준비 작업
아이를 지원하려면
우리 자신을 지원하려면
우리가 성장하는 방법
자아 성찰 실천을 함양하는 방법
아이가 훨훨 날아가게 하려면?
몬테소리 사례
미국
스베타, 요한, 마야, 니나
몬테소리는 실용적인 생활이죠.
CHAPTER 9. 다음 단계
발달 3단계로의 전환
3단계의 아이, 청소년은 누구인가?
몬테소리 박사는 청소년을 위해 무엇을 상상했는가?
가정에서의 몬테소리 청소년
청소년과 학업
급변하는 세상의 청소년
성숙기: 발달의 4단계
평화로 가는 길
부록
활동 부록
부모, 보호자, 그리고 사랑하는 분들에게 보내는 편지
몬테소리 십계명
온라인 출처
책속에서
우리는 6세에서 12세 아이를 특히 많이 동정하게 된다. 이 연령대 아이는 종종 무례하고 어수선하며 말대꾸한다고 혼이 나곤 한다. 사랑스러운 우리 아이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궁금할 수 있다. 이 시기 아이는 새로운 발달 단계(2단계)에 진입하고 있으므로 지원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
몬테소리 교육자는 "교사"가 아니라 "안내자"라고 불린다. 이것은 몬테소리 철학의 핵심이다. 몬테소리 안내자는 교실에 있는 아이들을 관찰하고, 아이의 필요와 욕구에 맞게 교실 환경을 설정하고, 아이들이 서로 연결하도록 돕고,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이는 교사가 임의로 일정이나 커리큘럼을 만들고 아이들이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결정해서 가르치는 것과는 다르다.
모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개입해서 차분하고 명확하게 한계를 정하는 것은 용기가 필요한 일처럼 느껴질 수 있다. 아이가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상처가 되는 말이나 행동을 할 때는 화내지 않고, 다정하지만 단호하고 명확하게 타인과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시범해 보인다. 물론 인내심이 필요하다. 그러나 몬테소리는 즉각적인 해결책이 아닌 장기적인 접근법임을 생각해야 한다. 우리는 신뢰와 연결의 토대를 마련해 아이가 최상의 상태가 아닐 때도 스스로 우리에게 올 수 있다는 것을 알려 줄 것이다. 우리는 최악의 상태에서도 아이를 사랑하며 아이가 스스로와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독립적인 사람이 되도록 안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