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5394417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11-06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4
1부. 교육과정 패러다임 이해는 전문성 있는 교사의 바로미터 13
Ⅰ. 미래 교육에 대한 철학과 가치를 담자 15
1. 교육의 목표는 같지만, 목적은 다르다 16
2. 미래 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키워드로 바라보는 교육의 지향점 18
3. 교육과정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을까? 21
4. 교육 철학과 가치를 담아 잘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하기 23
Ⅱ. 교과서 중심에서 교육과정중심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는 무죄 25
1. 교직은 전문직인가? 교사는 전문가인가? 26
2. 교사의 전문성을 가로막는 교과서 중심 수업 28
3. 교육과정의 변화에 박자를 맞추지 못하는 내차 교육과정 31
4. 수시 개정체제 국가 수준 교육과정 패러다임 한눈에 살펴보기 35
5. 교사의 전문성 여부 판단 기준-‘교육과정 워드 클라우드’ 이해 정도 38
6.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 전문가의 필요충분조건 40
7. 교육과정중심 수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 44
Ⅲ. 2015 개정 교육과정 완전 정복!-교육과정 전문가로 거듭나기 59
1. 교육과정, 너는 누구니! 알고 싶어 60
2. 학교에서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법적인 근거 찾아보기 63
3.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종착역은 교사 수준의 교육과정 66
4. 교사 수준 교육과정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 70
5. 교육과정 문서와 자료 구분은 전문가의 필요충분조건 73
6. 교육과정의 하드웨어(총론)와 소프트웨어(각론) 융합 Story 75
7. 교육과정의 맨틀인 총론! 완전정복하기 77
8. 교육과정 전문성의 열쇠! 교과 교육과정의 문해력 높이기 95
9. 평가에 대한 전문성은 교육과정중심 수업의 출발점 109
2부. 전문성의 척도! 성취기준의 이해와 적용 역량 키우기 135
Ⅰ. 성취기준의 비밀! 하나둘씩 풀어가는 재미가 쏠쏠 137
1. 성취기준은 어떻게 도입되었을까? 138
2.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성취기준, 너는 누구니! 141
3. 성취기준이 교사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154
4. 성취기준은 어떻게 추출되었는지 궁금한걸 157
Ⅱ. 성취기준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꿀 Tip 161
1. 성취기준이란 요술 상자! KDB 모형을 적용하니 신비로워 162
2. 성취기준당 평균 수업 시수 이해는 교사의 에티켓 168
3. 교과서 연계 단원 및 성취기준 분석과 시수 관리 171
4. 교과서 단원지도계획과 성취기준과의 만남 175
5. 카멜레온 같은 성취기준의 속성! 교과에 따라 들쑥날쑥 176
3부.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교육과정 재구성 Story 201
Ⅰ. 설레는 만남! 교육과정 재구성의 세계 203
1. 교과서로 수업을 하면 얼마나 편한데, 재구성이라니? 204
2. 진도를 너무 나가지 못했어. 어떡하지! 206
3. 교육과정 재구성, 너는 누구니!-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고민들 209
4. 교육과정 재구성의 종류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을까? 212
Ⅱ. 교과서 활용 KDB 모형 적용 성취기준 중심 단원 재구성 219
1. 교과서 활용 KDB 모형 적용 성취기준 중심 단원 재구성 절차 220
2. 교과서 활용 KDB 모형 적용 성취기준 중심 단원 재구성의 실제 222
Ⅲ. 역량중심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교육과정 재구성 237
1. 역량중심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교육과정 재구성 방향 238
2. 역량중심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교육과정 재구성 절차 245
3. 역량중심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재구성의 실제 246
Ⅳ.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255
1.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절차 256
2.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작성의 실제 258
3.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작성 사례 264
4. 역량중심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주제 중심 교과통합 재구성 템플릿 273
4부. 왕도가 없다는 수업! 함께 생각하는 수업 이야기 277
Ⅰ. 수업은 교사의 생명! 브랜드가 있는 교사 되기 279
1. 수업 철학 바로 세우기! 수업의 패러다임 변화 풀어 읽기 280
2. 수업의 불균형 문화 바로잡기 286
3. 혁신의 눈으로 바라보는 교실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291
4. 교사는 에듀테이너이다 296
5. 배움과 성장이 있는 수업 나눔 축제가 되려면 298
Ⅱ. 에듀테이너의 기본! 완성도 있는 수업 시나리오 작가 되기 301
1. 수업안에 대한 물음표? 수업안, 너는 누구니! 302
2. 수업과정안 레시피 이해 및 작성 Tip 공유 305
3. 수업과정안의 양식도 획일화에서 탈피해야 한다 321
4. 완성도 있는 수업 디자인을 위한 전술·전략은? 327
5. 수업과정안 작성!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기 337
Ⅲ. 수업 연출 그리고 교육 배우의 진정한 연기와 배움의 향기 351
1. 수업 시나리오의 비상! 수업 연출가로 거듭나기 353
2. 학습목표(문제) 확인!-형식성에서 탈피하여 의도성을 가지자 356
3. 발문은 확산적으로, 지명은 다채롭게, 발표는 자연스럽게! 358
4. 성공적인 수업의 바람! 배우미의 수업 연출 이야기 362
Ⅳ.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수업과정안 작성의 실제 371
1.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수업 디자인이란? 372
2. 백워드 기반 KDB 모형 적용 수업 디자인의 실제 374
Ⅴ. 수업 비평: 혁신의 눈으로 읽는 수업 에세이 391
1. 수업 비평의 문을 열게 된 동기 393
2. 수업 함께 들여다보기 395
3. 수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분석 그리고 이야기 401
4. 수업 비평적 접근을 마무리하며 425
참고 문헌 438
저자소개
책속에서
배움은 대부분 교실에서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과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교육의 ‘꽃’을 교실에서 튼실한 열매로 맺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의 전문적 지도 기술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국은 교사의 전문성 여부에 따라 꽃이 잘 영글어 충실한 배움의 열매가 맺게 된다는 논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알토란같은 배움 열매를 얻기 위해서는 영양가 있는 교사의 가르침은 필요충분조건인 셈이다. 영양가 있는 가르침이란 무엇일까? 아마도 학생들이 온전히 배움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교사가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맞춤형 선물, 즉 교수·학습일 것이다.
교직은 전문직이기 때문에 교사를 전문가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교사는 어떤 분야에 전문가여야 하는가?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 영역은 많다. 수업 실연, 수업 디자인, 수업 컨설팅, 학급 경영, 생활교육, 심리상담, 학교폭력,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중심평가, 수업 연출, 교실 관리 등 전문적 분야는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적 분야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수업이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수업은 수업 디자인, 연출, 실연까지 포함한다. 다음으로 수업과 연계성이 깊은 것은 교육과정과 평가이다. 왜냐하면, 수업은 교육과정과 평가와는 한 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금까지 현장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수업, 평가와 관련하여 이론과 실제를 다룬 책들이 시중에 많이 출간되었다. 이는 교사에게 다양한 관점을 주고 전문성을 확장하여 준다는 차원에서 고무적인 일이다. 교사들의 전문적 식견을 높아지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다만 지금까지의 책들은 전반적으로 교육과정 재구성과 평가에 대한 이해와 사례 중심이어서 수업 관련 실제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것은 저자에게 아쉬움으로 다가왔다. 한 권의 책으로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이해는 물론 그 당위성을 공유하여 교사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종합적인 지침서와 같이 교사들의 가려운 부분을 확실하게 긁어줄 수 있는 효자손과 같은 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저자는 교사들이 한 권의 책으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구성을 어떻게 하며, 평가는 무엇이고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등 이 모든 것을 아울러서 수업으로 귀결이 되는 종합비타민과 같은 책을 세상에 선보이고 싶었다.
- 책을 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