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로 읽고 시로 마치는 통제영 사관

시로 읽고 시로 마치는 통제영 사관

차재우 (지은이)
북랩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시로 읽고 시로 마치는 통제영 사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로 읽고 시로 마치는 통제영 사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5394875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0-12-04

책 소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순신 장군의 업적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때 치러진 해전의 주 무대였던 지역의 역사를 함께 다루고, 전투가 벌어졌던 곳의 풍광을 그림으로 그리는 것처럼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당시 상황을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목차

저자의 말 … 5

서문 … 21

제1장 자연(自然) 속에 살면서
1. 부엉이 우는 고향: 저자의 소년시절 … 26
【시문 1수】 산골 외딴집 … 26
【시문 2수】 외로움 … 27
【시문 3수】 갈등 … 28
【4수】 漢詩 1 대기만성 … 30
【시문 5수】 회상 … 30
2. 사랑의 울음 … 32
【시문 6수】 뻐꾸기 … 32
【시문 7수】 이별 … 33
【시문 8수】 매듭 … 33
3. 소쩍새 우는 내 고향 … 34
【시문 9수】 소쩍새 우는 고향 … 35
【시문 10수】 한여름 … 36
【11수】 漢詩 2 추분 … 37
4. 중천수심(中天愁心) … 37
【시문 12수】 중천명월 … 38
【시문 13수】 밤에 우는 소쩍새 … 39
5. 내 고향 오륜동 … 40
【14수】 漢詩 3 취객 … 40
【시문 15수】 호남혼가 … 41
【시문 16수】 임 … 42
【시문 17수】 겨울 산이 … 44
【시문 18수】 눈 내리는 날 … 45
【시문 19수】 새미집 … 47
【시문 20수】 모임(meeting) … 48
【시문 21수】 소식통(news line) … 49
6. 마도나 다방(Madonada Room) … 50
【시문 22수】 커피 한잔(a cup of coffee) … 51
【시문 23수】 고독 … 52

제2장 통제영(統制營) 사관(史觀)
통영지맥(統營地脈) … 57
통영(統營) 주산(主山) … 59
통영정맥 … 60
통영성은 토성이다 … 60
간창골 … 61
정당샘(명정샘) … 63
경상남도 기념물 제273호 … 63
【시문 24수】 백석 이야기 … 65
【시문 25수】 관광도시 통영 … 66
문화의 전당, 통영시 소개 … 67
【시문 26수】 구불구불 섬과 섬 … 67
【27수】 漢詩 4 통영 착량묘 … 69
【시문 28수】 기다림 … 69
가오치 가배량(加背梁) … 70
【시문 29수】 가배량 갈매기 … 70
읍도 삼별초 … 71
삼별초(三別抄) 창고(倉庫) … 72
공룡(恐龍) 천국(天國), 읍도(邑島) … 74
【시문 30수】 읍도 … 74
고려 시대 고성현(固城縣) 왜구 침입 … 76
태조강헌대왕실록 4년 … 77
통제영 … 78
【31수】 漢詩 5 통제영 … 79
통제영 세곡하역항 우포진 … 80
【시문 32수】 우진포 선창 … 82
【33수】 漢詩 6 문덕개 일몰경 … 84
【시문 34수】 옛 흔적 … 84
전하(殿下)의 길, 전하도(殿下道) … 85
【시문 35수】 전하도 … 86
김보당(金甫當), 한언국(韓彦國)의 거병 … 88
【36수】 漢詩 7 무신정변 … 89
【시문 37수】 김보당 거병 실패 … 90
【시문 38수】 견내량 … 91
견내량(見乃梁)의 어원(語源) 유추(類推) … 92
원평(院坪) … 93
【39수】 漢詩 8 해간도 … 93
통영지맥 풍수지리사 … 94
착량(窄梁, 좁은돌다리교량) … 94
【40수】 漢詩 9 새해 망산에 올라 … 97
【시문 41수】 용화산 해맞이 … 98
【42수】 漢詩 10 용화산 … 98
【시문 43수】 판사 지낸 효봉스님 … 99
【시문 44수】 효봉문중 고시사찰 … 100
【시문 45수】 효봉 어록 정리 … 101
미륵도, 충무공의 전략지 … 104
【시문 46수】 삼천진(三千鎭) … 105
산양읍 도서(島嶼) … 106
【47수】 漢詩 11 월명도 한시 … 108
풍화리(豊和里) 마을별 옛 지명 … 108
추도(楸島)섬 … 109
당포진(唐浦鎭) 성지(城址) … 109
【시문 48수】 당포진 妄念 (1) … 111
【시문 49수】 당포진 妄念 (2) … 112
【시문 50수】 당포진 妄念 (3) … 112
달아공원(達牙公園) … 113
【51수】 漢詩 12 달아공원 … 114
통영 곤리도 백조(고니)이야기 … 115
【시문 52수】 고니 사랑 … 115
【시문 53수】 곤리섬 갈매기 … 117
【시문 54수】 김일손 후손 … 117
통영시(統營市) 산양읍(山陽邑) 연곡리(煙谷里) 패총(貝塚) … 119
오곡도(烏谷島, Ogokdo) … 120
연대도(烟臺島) … 121
【시문 55수】 오곡도 저도 … 121
【56수】 漢詩 13 꽃과 물 … 122
환상의 섬 사량도 … 122
【57수】 漢詩 14 사량도 비경 … 123
【시문 58수】 사량 동강 … 123
먼 바다 욕지도 … 126
【시문 59수】 욕지도 갈매기 … 128
연화도 … 129
【시문 60수】 살생하는 중생 … 131
괭이갈매기의 본관, 통영 홍도 … 132
【시문 61수】 홍도 출신 갈매기 … 133
【시문 62수】 괭이갈매기 … 134
통영 장사도 관광 … 135
【시문 63수】 장사도 … 136
통영 비진도 해수욕장 … 138
【시문 64수】 비진도 해수욕장 … 138
한산도 제승당 … 140
운주당(運籌堂), 이순신의 전술 전략 교육장 … 141
【시문 65수】 문제 삼는 장계 … 142
【시문 66수】 한산 운주당 … 143
【시문 67수】 음모와 암투 … 144
【시문 68수】 모략(謀略) … 146
【69수】 漢詩 15 입소문 … 149
통영(統營) 충렬사(忠烈祠) … 149
【시문 70수】 제승당(制勝堂) … 149
【시문 71수】 슬픈 비가(悲歌) … 150
【시문 72수】 통제영 건립 … 151

제3장 시로 읽는 조국의 뿌리 문화
조선인과 일본인은 동족이다 … 154
【73수】 漢詩 16 의미 있는 무술시합 … 157
【시문 74수】 신화 만든 부여 왕족 … 158
환단고기(桓檀古記) 태백일사(太白逸史)
제6편 고구려국본기(高句麗國本紀)의 기록 … 161
일본을 세운 사람은 북부여 종족(宗族)들이다 … 162
【75수】 漢詩 17 백제 왕족 도일 … 163
【76수】 漢詩 18 협보 손자 탈해왕 … 164
부연설(敷衍說) … 165
일본 천황가 백제후손 … 166
부연설(敷衍說) … 169
김수로왕은 고구려 부족 흉노 왕족이다 … 171
보주국 아유타 허황후 … 175
대마도는 우리 땅 고증사료 … 179
일본열도 전국시대 … 180
야쿠자란? … 181
일본 전국시대(막부시대) 역사 풀이 … 182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 183
풍신수길의 출세과정 … 184
풍신수길의 조부 … 185
수길은 조선인 … 186
【77수】 漢詩 19 풍신수길 모국 침입 … 187
산와족에 대한 일본어 표기 … 188
산에 살던 족속 … 189
풍신수길 외가 … 190
조선인 되고 싶어 … 191
【78수】 漢詩 20 사무라이 … 192
제14대 조선 선조대왕 … 192
일본의 임진왜란 계획 … 194
조선 조정 당파싸움 … 196
일본은 조선조정 당파싸움을 기회로 삼았다 … 196
부연설 … 198
임진왜란 … 199
포로(捕虜) 양부하(梁敷河) … 201
선조대왕 몽진 … 203
문정왕후 척신 윤두수 … 207
문정왕후의 척신 윤두수 … 207
일본군 전세 … 211
청·일 강화회담 … 212
정유재란 … 214
풍신수길 암살 공범 … 217
【79수】 漢詩 21 강화회담 결렬 … 220
【시문 80수】 양(梁), 침(沈), 연극(演劇) … 220
우리나라 국민성의 단점 … 226
이순신의 가문 … 227
이순신의 생애 … 228
이순신의 사상 … 231
이순신의 명언 … 232
이순신의 전쟁준비(손자병법에 의한 교육): 지기지피(知己知彼) … 233
이순신의 전략전술 … 235

제4장 시(詩)로 읽는 이순신 해전사
휘하 장수를 교육하는 이순신의 신념 … 238
수군직계편제(水軍職階編制) … 241
거북선 건조를 위한 기술군관 선발 … 246
영웅 이순신 … 247
원균의 원병요청 … 247
1. 첫 출전 옥포 해전(당일 합포 해전) … 250
옥포 해전 … 251
2. 합포 해전 … 254
합포 해전 … 254
3. 적진포 해전 … 255
적진포 해전 … 256
4. 사천 해전 … 257
거북선 출현 … 258
5. 제1차 당포 해전(唐浦海戰) … 259
당포 해전 … 260
6. 제1차 당항포(唐項浦) 해전 … 261
【시문 81수】 월이의 충절 … 263
【시문 82수】 월이의 주검 … 266
【시문 83수】 속시개 … 268
7. 율포 해전 … 270
율포 해전 … 271
8. 견내량 해전(한산대첩) … 272
【84수】 漢詩 22 견내량 유인작전 … 274
【시문 85수】 보쌈작전(학익진법) … 275
【시문 86수】 와이자카 신사 … 276
【시문 87수】 견내량 한산대첩 … 277
세계 4대 해전 … 279
9. 제2차 당포해전 … 280
【시문 88수】 제2차 당포 해전 … 281
10. 진해 안골포 해전 … 282
11. 부산포 해전 … 283
왜구 부산포 해전 퇴각 … 284
적의 퇴각에 말려들면 안 돼 … 285
신무기 개발 … 287
이순신의 선전포고 … 290
【89수】 漢詩 23 제2차 부산포 해전 … 293
화준구미 해전 … 293
부산포(부전진) 전략 … 296
결전(決戰) … 298
12. 적진포 해전(赤珍浦海戰) … 301
적진포(안정) 해전 … 301
13. 제2차 당항포 해전 … 302
이순신의 판단력 … 303
제2차 당항포 해전 … 304
14. 춘원포진(春元浦鎭) 해전 … 305
춘원포진 해전 … 306
15. 거제 장문포 통합 수륙전 … 310
16. 곽재우(郭再祐) 의병장(義兵將) … 311
17. 김덕령(金德齡) 의병장 … 312
장문포 수륙전 … 312
조일 참전맹장 … 313
수륙 조선해병대 … 315
18. 원균과 불화 사건(이순신을 깎아 내린 작심) … 318
19. 이순신의 구명 운동 … 325
【90수】 漢詩 24 국가대사 흔들면 망국! … 326
가짜 뉴스 알게 돼 … 327
옥문을 나서다 모친상 … 327
고통의 길 … 329
백의종군 행로빗길 … 331
난중일기에 의하면 … 332
험난한 백의종군 … 334
【91수】 漢詩 25 객사침방 외로운 밤 … 335
20. 웅천 해전(진해) … 336
웅천 해전 … 336
21. 칠천량 해전 … 338
원균의 죽음 … 341
22. 원균이야 전멸 당했지만 배설은 건재(健在)했다 … 342
23. 정유재란(1597년 3월 1일[음력 1월 14일]) … 346
24. 어란포 해전 … 353
이순신의 시범전 … 353
25. 진도 벽파진 해전 … 354
벽파진 해전 … 356
26. 명량 해전 … 357
명량 해전 … 360
27. 노량 해전: 이순신 마지막 순국 … 365
【시문 92수】 충무공의 죽음 … 368
【시문 93수】 노량 해전 … 370
【시문 94수】 의문점 … 373
28. 정유재란에 대하여 … 377
【시문 95수】 결론 … 377
【시문 96수】 이순신의 고뇌 … 379
【시문 97수】 결심 … 380

제5장 시인(詩人) 이순신
이순신의 15세 소년학당 연구 … 382
이순신의 명언(장군의 생활신조) … 383
이순신 장군의 시조 … 387
이순신 장군 연대기 … 391

저자소개

차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 12월 22일 경남 통영 출생 국가 공무원(체신부) 5년 근무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졸업 대산종합건설㈜ 대표이사 역임 경남대학교 총동창회 이사 역임 통영로타리 클럽 제5대 회장 역임 통영시 체육회 이사 역임 자유총연맹 통영군 충무시 지부장 역임 <환단고기> 번역 2016년 초판, 2017년 재판 저서 『겨레가 걸어온 길 上』, 『겨레가 걸어온 길 下』 (북랩, 2017년)
펼치기

책속에서

합포 해전

최초 승첩 당일 날
율포로 나오다가
정박한 왜선 발견
조선 수군 본 왜선
합포로 도망친다.
쫓아가서 난타전
두 번째 승첩해전
학개가 합포라네

합포가 여러 개라
율포에서 거리상
마산 합포 아닌 듯
난중일기 찾아 봐
웅천적시 보여서
웅천 합포 맞나 봐
진해 웅천 합포(合浦)가
가능성 높아 보여.


【시문 88수】 제2차 당포 해전

날이 저물자
사량동강 정박하고
수색선 띄워
당포정박 왜선 발견
이순신 지휘로
전략규합 전통소집
작전명령 내려
일거일동 전술대로
필승다짐 규합
제일먼저 거북선을
투입 돌격, 일거에
집중 공격 명령대로
적의 대장선을
집중적 화포로 공격
먼저 기선 잡아
순간적 돌격 격파시켜
승기는 우리에게
사필귀정 압승이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394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