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65456023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01-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시작하면서
1장 한글 교육
1) 한글 교육을 시키기 전에 알아야 할 사실
2) 한글을 저절로 뗄 수 있을까요?
3) 한글 교육의 목적
4) 한글은 언제 가르쳐야 할까요?
유아 때 한글을 꼭 가르쳐야 할까요?
한글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시기
TIP1. 남녀 아동별 한글 익히는 시기
TIP2. 학교 들어가기 전에 한글을 익혀야 할까요?
TIP3. 비교
5) 한글은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학습’을 잘하려면 한글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책 읽어주기는 왜 중요한가요?
TIP4. 고전 읽기
TIP5. 아이에게 고전을 읽어준다?
소리 내어 책 읽어주기와 한글 익히기
한글 교육을 위해 어떤 학습지를 시켜야 할까요?
TIP6.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한글 가르치기
TIP7. 아이가 반복적으로 읽어달라는 책을 계속 읽어줘야 할까요?
6) 아이에게 필요한 교육
2장 독서 교육
1) 책 읽어주기의 기본
책 읽어주기의 효과
‘하루 15분 책 읽어주기’의 장점과 단점
‘책 읽어주기’ 환경의 변화
TIP8. 부모가 책을 좋아하는 것이 왜 중요한가요?
TIP9. 아빠가 책을 읽어주면 좋나요?
2) 책 읽어주기 심화
학습능력의 기본
TIP10. 유전과 환경
TIP11. ‘원리’란 무엇일까요?
무슨 책을 어떻게 읽어줘야 하나요?
① 성별에 따른 읽는 책의 차이
TIP12. 언어능력과 시험 성적 간의 관계
TIP13. 수능 1등급 간의 성적 차이는 어디서 발생할까요?
② 책을 읽어주는 시기에 따른 학습능력의 발달
태어났을 때부터 책을 읽어준다면?
뒤늦게 책을 읽어준다면?
TIP14. 남자아이에 대한 부언
③ 아이에게 수준 높은 책을 왜 읽어줘야 할까요?
④ TV, 스마트폰, 만화책 무엇이 문제일까요?
TIP15.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
⑤ 그림동화에서 벗어나기
TIP16. 그림동화와 만화책은 다르지 않다
⑥ 동굴 속에서 책을 읽는 아이
TIP17. 책 읽기에 몰입하지 않는 아이는 인생에서 실패할까요?
TIP18. 목표로 향하는 남자아이, 대화하는 여자아이
TIP19. 전집은 사면 안 되나요?
유아 책 읽어주기의 최종 목표: 정독과 편독
① 글의 내적 이해
반복적으로 읽기
TIP20. 어릴수록 반복적으로 읽어줘야 한다
TIP21. 7번 읽기 공부법
사전 읽어주기
부모와의 대화(내적)
② 글의 외적 이해
부모와의 대화(외적)
TIP22. 책 읽어주기와 인성 교육
TIP23. 유대인의 학습
책과의 대화(편독)
TIP24. 남자아이와 여자아이는 달라요!
TIP25. 독서의 최고 단계: 스스로 생성하기
3장 영어 교육
1) 영어 회화
영어 회화 교육의 문제점
영어 회화보다 더 중요한 것
TIP26. 모국어가 먼저다
영어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TIP27. 유튜브로 영어를 공부하는 것에 대하여
2) 남녀에 따른 영어 교육의 시기와 방법
TIP28. 이중 언어에 관심을 보이는 남자아이
3) 영어 교육 꼭 필요한가요?
4장 언어 교육의 올바른 방향
1) 국어 내용 영역 설정의 문제점
2) 언어사용능력을 발달시킬 수 없는 언어 교육
3) 국어 내용 영역의 재설정
4) 언어 교육의 지향점
부록
1. 육아서를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2. 아이에게 한글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려면?
3. 백과사전의 필요성, 몰두하는 순간을 포착하라!
4. 부모가 TV를 없애지도, 책 읽기도 즐기지 못하겠다면?
5. 속독을 강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6. 책을 안 읽는데 성적이 좋은 아이가 있어요
7. 편독과 과제 집착력
8. 수학은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9. 언어능력과 탐구력
10. 태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11. 쓰기를 통한 공부
12. 책을 하루 종일 읽어주면 아이는 언제 놀아요?
13. 수준 높은 책은 무슨 책을 말할까요?
14. 아이가 아무거나 읽어도 성적 향상이 가능할까요?
15.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아이로 키워요
16. 실물 책은 사라질까요?
17. 아이가 좋아하는 책의 주제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다양성’이라는 낱말을 항상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필자는 아이가 좋아하는 글을 읽지 못하게 하고, 기어코 여러 가지 종류의 책을 읽어주려는 부모에게 ‘다양성의 덫에 걸렸다’라는 표현을 씁니다.
- 〈머리말〉 중
‘언어능력’은 아이가 좋아하는 주제를 편독할 때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한 아이에게 과학을 가르쳤다가 수학을 가르치면 과학도 수학도 평균적인 성적만 얻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과학만 파고, 또 파면 어려운 수학책에 나오는 글도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능력과 탐구력을 갖춥니다.
- 〈전집은 사면 안 되나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