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허준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1권

허준 (지은이), 탁양현 (옮긴이)
  |  
e퍼플
2021-03-18
  |  
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등록된 도서정보가 없습니다.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해외직구

책 이미지

허준

책 정보

· 제목 :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1권 
· 분류 : eBook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5698263

목차

▣ 목차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
내경편(內景篇) 1권
조선중기(朝鮮中期) 한의학(韓醫學) 집대성자(集大成者)
구암(龜巖) 허준(許浚)


1장. 이정구(李廷龜)의 동의보감(東醫寶鑑) 서문(序文),
동의보감서(東醫寶鑑序)
2장. 동의보감(東醫寶鑑)이라는 제목(題目)의 연원(淵源), 집례(集例)
3장. 몸의 모양과 오장육부(五臟六腑)에 관하여,
신형장부도(身形藏府圖)
4장. 몸의 모양, 신형(身形)
1. 형상(形狀)과 기운(氣運)의 시작(始作), 형기지시(形氣之始)
2. 잉태(孕胎)의 시작(始作), 태잉지시(胎孕之始)
3. 지수화풍(地水火風) 사대(四大)가 형(形)을 이룬다, 사대성형(四大成形)
4. 인간(人間) 기운(氣運)의 성쇠(盛衰), 인기성쇠(人氣盛衰)
5. 연로(年老)하면 자식(子息)이 없는 까닭, 연로무자(年老無子)
6. 장수(長壽)와 요절(夭折)의 차이(差異), 수요지이(壽夭之異)
7. 형상(形狀)과 기운(氣運)이 장수(長壽)와 요절(夭折)을 결정(決定)한다,
형기정수요(形氣定壽夭)
8. 인간(人間)의 육신(肉身)은 한 국가(國家)와 같다, 인신유일국(人身猶一國)
9. 단전(丹田)은 3가지가 있다, 단전유삼(丹田有三)
10. 사람의 등에는 삼관(三關)이 있다, 배유삼관(背有三關)
11. 정기(精氣)와 기운(氣運)과 정신(精神)을 보양(保養)해야 한다,
보양정기신(保養精氣神)
12. 옛날에는 진인(眞人)과 지인(至人)과 성인(聖人)과 현인(賢人)이 있었다,
고유진인지인성인현인(古有眞人至人聖人賢人)
13.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천진(天眞)함을 논(論)하다, 논상고천진(論上古天眞)
14. 사계절(四季節)의 기운(氣運)으로써 정신(精神)을 조절(調節)해야 한다,
사기조신(四氣調神)
15. 도(道)로써 병(病)을 치료(治療)해야 한다, 이도요병(以道療病)
16. 마음을 텅 비워 도(道)와 화합(和合)되어야 한다, 허심합도(虛心合道)
17. 도(道)를 배우는 데는 이르거나 늦음이 없다, 학도무조만(學道無早晩)
18. 사람의 마음과 하늘의 기미(幾微)가 합해져야 한다, 인심합천기(人心合天機)
19. 기운(氣運)의 운반(運搬)과 호흡법(呼吸法), 반운복식(搬運服食)
20. 안마법(按摩法)과 체조법(體操法), 안마도인(按摩導引)
21. 섭생(攝生)과 양생(養生)의 요점(要點), 섭양요결(攝養要訣)
22. 단전(丹田)을 수련(修練)하는 방법, 환단내련법(還丹內煉法)
23. 양생(養生)에 있어서 금기(禁忌)해야 할 것, 양성금기(養性禁忌)
24. 사계절(四季節)에 적절(適切)하도록 살아야 한다, 사시절선(四時節宣)
25. 양생(養生)에 관한 선현(先賢)들의 격언(格言), 선현격언(先賢格言)
5장. 양생(養生)하여 수명(壽命)을 연장(延長)하는 약(藥),
양성연년약이(養性延年藥餌)
1. 경옥고(瓊玉膏)
2. 삼정환(三精丸)
3. 연년익수불로단(延年益壽不老丹)
4. 하령만수단(遐齡萬壽丹)
5.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6. 반룡환(斑龍丸)
7. 인삼고본환(人蔘固本丸)
8. 현토고본환(玄?固本丸)
9. 고본주(固本酒)
10. 오수주(烏鬚酒)
6장. 신통(神通)한 효험(效驗)이 있는 단방약(單方藥), 단방(單方)
1. 황정(黃精, 층층둥굴레)
2. 창포(菖蒲, 석창포 뿌리)
3. 감국화(甘菊花, 감국화 꽃)
4. 천문동(天門冬, 천문동 덩이뿌리)
5. 지황(地黃, 지황 뿌리)
6. 출(朮, 삽주 뿌리)
7. 토사자(兎絲子, 새삼 씨)
8. 백초화(百草花, 온갖 풀꽃)
9. 하수오(何首烏, 적하수오 뿌리)
10. 송지(松脂, 송진)
11. 괴실(槐實, 회화나무 열매)
12. 백엽(柏葉, 측백나무 잎)
13. 구기(枸杞, 구기자나무)
14. 복령(茯?, 백봉령 껍질)
15. 오가피(五加皮, 뿌리껍질, 나무껍질)
16. 상심(桑?, 오디)
17. 연실(蓮實, 연밥)
18. 검인(?仁, 가시연밥)
19. 해송자(海松子, 잣)
20. 호마(胡麻, 검은 참깨)
21. 만청자(蔓菁子, 순무 씨)
22. 인유즙(人乳汁, 사람 젖)
23. 백죽(白粥, 흰 죽)
7장. 신묘(神妙)한 베개를 만드는 방법(方法), 신침법(神枕法)
8장. 연제법(煉臍法, 배꼽 단련법), 훈제비방(熏臍秘方, 배꼽 훈증법),
구제법(灸臍法, 배꼽 뜸뜨는 법)
1. 연제법(煉臍法, 배꼽 단련법)
2. 훈제비방(熏臍秘方, 배꼽 훈증법)
3. 구제법(灸臍法, 배꼽 뜸뜨는 법)
9장. 부록(付祿) 노인(老人)을 부양(扶養)해야 한다, 부양로(附養老)
1. 노화(老化)는 혈(血)이 쇠(衰)하기 때문이다, 노인혈쇠(老因血衰)
2. 노인병(老人病) 치료(治療), 노인치병(老人治病)
3. 노인(老人)의 보양(保養), 노인보양(老人保養)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증손백출산(增損白朮散), 복인유법(服人乳法),
우유죽(牛乳粥)

저자소개

허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30여 년 동안 왕실병원인 내의원의 어의로 활약하는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한 8종의 의학서적을 집필. 허준은 뼈대 있는 무관의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허론(許?)과 양반 가문 출신인 어머니 영광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어머니의 신분이 정실(正室)이 아니었기에, 그의 신분은 중인으로 규정되었고, 이러한 신분은 문·무관보다 천하다고 여겨진 의관의 길을 택하는 데 작용하였다. 그럼에도 훌륭한 가문의 배경 덕에 허준은 어려서부터 경전·역사·의학에 관한 소양을 충실히 쌓을 수 있었다. 허준이 언제, 어떻게 의학을 공부했으며, 또 의관으로 나아갔는지를 일러주는 자료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관직으로 볼 때, 허준의 장년 이후의 삶은 세 시기로 나뉜다. 첫째, 내의원 관직을 얻은 1571년부터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까지이다. 이 21년 동안 허준은 내의(內醫)로서 크게 이름을 얻기는 했지만, 최고의 지위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1590년(선조 23) 허준은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한 공으로 당상관 정3품의 품계를 받았다. 이 품계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이 규정한 서자 출신인 허준이 받을 수 있는 최고 관직인 정3품의 한계를 깰 정도의 큰 상이었다. 둘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승하하던 1608년(선조 41) 때까지이다. 허준이 선조의 의주 피난길에 동행하여 생사를 같이함으로써 그는 선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었다. 1596년(선조 29) 왕세자의 난치병을 고친 공으로 중인 신분에서 벗어나 양반 중 하나인 동반(東班)에 적을 올렸다. 1604년(선조 37)에는 임진왜란 공신 책봉이 있었는데, 허준은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정되는 한편, 그는 본관인 양천(陽川)의 읍호(邑號)를 받아 양평군(陽平君)이 되었다. 이와 함께 품계도 승진하여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 1606년(선조 39) 선조의 중환을 호전시킨 공으로, 선조는 그에게 조선 최고의 품계인 정1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를 주고자 했으나, 사간원·사헌부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쳐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셋째, 1608년(선조 41)부터 그가 죽던 해인 1615년(광해 7)까지이다. 이 7년은 시련기로 선조 승하의 책임을 지고 벼슬에서 쫓겨나고 먼 곳으로 귀향을 가는 등 불운이 있었고, 귀양에서 돌아온 이후에도 권세가 없는 평범한 내의로 지내다 고요하게 삶을 마쳤다. 1608년(선조 41) 선조가 병으로 죽자, 그것이 수의(首醫)인 그의 잘못이라는 탄핵을 받아 허준은 삭탈관직 되는 한편, 의주 유배형이 처해졌다. 그의 유배는 1년 8개월이 지난 1609년(광해 1)에 풀렸으며, 6년 후인 1615년(광해 7) 세상을 떴다. 사후 조정에서는 그의 공을 인정하여 정1품 보국숭록대부를 추증했다. 의관 허준의 출세는 조선의 역사에서 거의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파격의 연속이었다. 이는 그의 의술 솜씨와 우직한 충성이 빚어낸 성취였다. 이와 함께 이를 질시한 양반계급의 불만도 작지 않았다. ‘양반에게 굽실거리지 않으며, 임금의 은총을 믿고 교만스럽다.’는 세평(世評)도 존재했다.
펼치기
탁양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卓良炫은 원광대학교 재학시절 詩作과 國樂에 심취했고 이후 시와 소설을 습작하면서 東西와 古今의 철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전남대학교 철학과에서 철학공부를 시작했다. 석사과정에는 「莊子의 예술정신」을 주제로 논문연구를 했으며 박사과정에는 ‘魏晉玄學’과 ‘철학적 상담·치유’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시집으로 "나보다 못난 나를 위해"와 "사랑"이 있고 논문으로 「老子에서 ‘玄’字 의미 연구」, 「莊子의 感性的 사유방식」, 「莊子의 悲劇美學的 사유방식」 등이 있다.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에 있으며 광주광역시에서 조촐한 ‘인문학글방’을 꾸리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