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낭송 동의보감 잡병편 1

[큰글자책] 낭송 동의보감 잡병편 1

허준 (지은이), 박장금, 이영희, 이현진 (옮긴이), 고미숙 (기획)
북드라망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낭송 동의보감 잡병편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낭송 동의보감 잡병편 1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035166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2-20

책 소개

“낭송Q 큰글자책 시리즈” 동의보감편의 세번째 책. 『동의보감』의 「잡병편」 중 우리의 몸에 무수한 영향을 끼치는 천지자연의 기운, 천지운기(天地運氣)와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에 대해 다뤘다.

목차

『동의보감 잡병편 (1)』은 어떤 책인가 : 병은 천지운기와 함께 온다

1. 하늘과 땅 사이에 운행하는 기, 천지운기
1-1. 의사는 마땅히 하늘과 땅 사이에 운행하는 기를 알아야 한다
1-2. 하늘의 시간은 규칙적으로 순환한다
1-3. 맑은 기운은 하늘이 되고, 무겁고 흐린 기운은 땅이 되었다
1-4. 태양이 도는 길은 황도,하늘의 허리는 적도
1-5. 북극은 지평선 위에 있고, 남극은 지평선 아래 있다
1-6. 하늘은 형체에 의지하고, 땅은 기에 의지한다
1-7. 하늘의 기운은 땅속으로 돌아다니다가 나온다
1-8. 음양의 기가 오르내려 가득 차고 텅 비는 계절이 있다
1-9. 하늘과 땅의 기가 부족한 방위가 있다
1-10. 지역에 따라 치료법과 수명이 다르다
1-11. 오행의 상생상극은 자연의 성질에서 나온다
1-12. 육기의 작용은 계절을 주관한다
1-13. 기후의 차이가 있다
1-14. 천지의 수, 십간과 십이지
1-15. 사계절의 기후에는 기운의 차이가 있다
1-16. 하늘과 땅의 육기를 말한다
1-17. 주기와 객기가 만나 기후의 변화가 일어난다
1-18. 하늘의 육기는 표가 되고 땅의 오행은 본이 된다
1-19. 천지의 음양이 뒤섞인다
1-20. 궁상각치우, 오음은 크고 작은 것이 있다
1-21. 오운의 태과와 불급
1-22. 대운이 주가 되어 그 해의 주운을 맡아 관리한다
1-23. 남정과 북정을 말한다
1-24. 육기가 제약하여 생성하고 변화한다
1-25. 오운이 태과하고 불급하는 해
1-26. 60년 운기의 주기와 객기 그리고 사람들의 질병
1-27. 객운과 객기가 기후 변화를 일으킨다
1-28. 운기의 변화에 따라 역병이 생긴다

2. 바람의 기, 풍風
2-1. 풍은 열에서 생긴다
2-2. 살찐 사람은 중풍에 잘 걸린다
2-3. 중풍은 크게 네 가지가 있다
2-4. 중풍은 기혈이 허한 틈을 타고 침범한다
2-5. 풍은 백 가지 병의 으뜸이다
2-6. 여러 가지 풍병과 그 증상
2-7. 풍의 사기가 침범하면 입과 눈이 비뚤어진다
2-8. 중풍에는 음식을 적게 먹어야 한다
2-9. 풍병을 치료하는 방법
2-10. 치료할 수 없는 풍병
2-11. 풍·한·습의 사기가 섞여서 비병이 된다
2-12. 역절풍은 온갖 뼈마디가 아프다

3. 차가운 기, 한寒
3-1. 겨울에는 한사에 상한다
3-2. 상한은 큰 병이다
3-3. 상한은 열병으로 변한다
3-4. 상한의 경맥에 따라 병이 변화된다
3-5. 상한으로 생긴 오한과 발열을 다스리는 방법
3-6. 심장과 신장에 열이 있는 번조
3-7. 몸과 마음이 떨리는 전율
3-8. 가슴이 두근두근 뛰는 동계, 배가 툭툭 뛰는 동기
3-9. 상한 때는 얼굴?눈?혀의 빛깔을 보아 치료한다
3-10. 상한병의 치료법
3-11. 땀을 내는 법
3-12. 설사시켜야 할 때, 시키지 말아야 할 때
3-13. 상한에 삼가고 꺼려야 할 것

4. 더운 기, 서暑
4-1. 서병은 상화가 작용하는 여름에 생긴다
4-2. 구별해야 할 두 종류의 서병, 중서와 중열
4-3. 여름마다 더위에 굴복하고 마는 복서증
4-4. 무더운 여름에는 기를 보해야 한다
4-5. 여름에 더위 먹었을 때의 치료법
4-6. 여름철의 양생법

5. 축축한 기, 습濕
5-1. 습은 축축한 물의 기운이다
5-2. 화와 열로 습이 생긴다
5-3. 습에는 내습과 외습이 있다
5-4. 안개와 이슬의 습한 기가 병이 된다
5-5. 습기는 몸에 침습해도 잘 깨닫지 못한다
5-6. 습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5-7. 습병은 아프고 서병은 아프지 않다
5-8. 습병의 치료법과 두루 쓰는 약
5-9. 습병에 땀을 몹시 내면 치병이 된다
5-10. 습병의 금기사항

6. 메마른 기, 조燥
6-1. 조병은 혈이 적어서 생긴다
6-2. 조병은 폐의 병이다

7. 불의 기, 화火
7-1. 화에는 군화와 상화가 있다
7-2. 화는 원기를 빼앗아 간다
7-3. 상승하는 기운은 화에 속한다
7-4. 다섯 가지 열증
7-5. 음이 허하여 화가 동한다
7-6. 화와 열에는 허하고 실한 증상이 있다
7-7. 열이 있는 부위를 보고 장부의 열을 판단한다
7-8. 후끈 달아오르는 증병의 여러 가지
7-9. 가슴과 손발바닥이 뜨거운 오심번열
7-10. 가슴이 답답한 허번, 때 맞추어 열이 나는 조열
7-11. 오열은 허증이고 오한은 열증이다
7-12. 음이 허하면 속이 뜨겁고 음이 성하면 속이 차다
7-13. 양허증과 음허증의 구별과 치료
7-14. 화를 억제하고 열을 물리치는 방법

저자소개

허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청원(淸源), 호는 구암(龜巖), 본관은 양천(陽川)이다. 30여 년 동안 왕실병원인 내의원의 어의로 활약하는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을 비롯한 8종의 의학서적을 집필. 허준은 뼈대 있는 무관의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허론(許?)과 양반 가문 출신인 어머니 영광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어머니의 신분이 정실(正室)이 아니었기에, 그의 신분은 중인으로 규정되었고, 이러한 신분은 문·무관보다 천하다고 여겨진 의관의 길을 택하는 데 작용하였다. 그럼에도 훌륭한 가문의 배경 덕에 허준은 어려서부터 경전·역사·의학에 관한 소양을 충실히 쌓을 수 있었다. 허준이 언제, 어떻게 의학을 공부했으며, 또 의관으로 나아갔는지를 일러주는 자료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관직으로 볼 때, 허준의 장년 이후의 삶은 세 시기로 나뉜다. 첫째, 내의원 관직을 얻은 1571년부터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까지이다. 이 21년 동안 허준은 내의(內醫)로서 크게 이름을 얻기는 했지만, 최고의 지위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1590년(선조 23) 허준은 왕세자의 천연두를 치료한 공으로 당상관 정3품의 품계를 받았다. 이 품계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이 규정한 서자 출신인 허준이 받을 수 있는 최고 관직인 정3품의 한계를 깰 정도의 큰 상이었다. 둘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승하하던 1608년(선조 41) 때까지이다. 허준이 선조의 의주 피난길에 동행하여 생사를 같이함으로써 그는 선조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었다. 1596년(선조 29) 왕세자의 난치병을 고친 공으로 중인 신분에서 벗어나 양반 중 하나인 동반(東班)에 적을 올렸다. 1604년(선조 37)에는 임진왜란 공신 책봉이 있었는데, 허준은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정되는 한편, 그는 본관인 양천(陽川)의 읍호(邑號)를 받아 양평군(陽平君)이 되었다. 이와 함께 품계도 승진하여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올랐다. 1606년(선조 39) 선조의 중환을 호전시킨 공으로, 선조는 그에게 조선 최고의 품계인 정1품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를 주고자 했으나, 사간원·사헌부의 맹렬한 반대에 부딪쳐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셋째, 1608년(선조 41)부터 그가 죽던 해인 1615년(광해 7)까지이다. 이 7년은 시련기로 선조 승하의 책임을 지고 벼슬에서 쫓겨나고 먼 곳으로 귀향을 가는 등 불운이 있었고, 귀양에서 돌아온 이후에도 권세가 없는 평범한 내의로 지내다 고요하게 삶을 마쳤다. 1608년(선조 41) 선조가 병으로 죽자, 그것이 수의(首醫)인 그의 잘못이라는 탄핵을 받아 허준은 삭탈관직 되는 한편, 의주 유배형이 처해졌다. 그의 유배는 1년 8개월이 지난 1609년(광해 1)에 풀렸으며, 6년 후인 1615년(광해 7) 세상을 떴다. 사후 조정에서는 그의 공을 인정하여 정1품 보국숭록대부를 추증했다. 의관 허준의 출세는 조선의 역사에서 거의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파격의 연속이었다. 이는 그의 의술 솜씨와 우직한 충성이 빚어낸 성취였다. 이와 함께 이를 질시한 양반계급의 불만도 작지 않았다. ‘양반에게 굽실거리지 않으며, 임금의 은총을 믿고 교만스럽다.’는 세평(世評)도 존재했다.
펼치기
이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이당’의 포스트-대중지성 멤버이자 청년백수. 2010년 우연히 고미숙 선생님의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읽고 ‘감이당’에 놀러 왔다가 ‘감이당 대중지성’ 과정에서 수년간 공부했다.
펼치기
이영희 (엮은이)    정보 더보기
‘감이당’의 포스트-대중지성 멤버. 인신충(寅申沖)이 강하게 들어온 경인년에 ‘감이당’과 접속한 후, 자발적 백수로 살고 있다. ‘감이당’에서 배운 것은 우정과 유머, 글쓰기로 수련하기다.
펼치기
박장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의류학을 대학원에서 의상디자인을 전공하고, 대기업 디자이너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특수방진복을 제작하는 등 남다른 이력을 쌓았다. 별생각 없이 학교에 가고 직장을 다니다 어느 날 엉망진창이 된 몸과 싸움닭이 된 ‘나’를 발견했다. 직장생활 8년 차 되던 해, 이렇게 살다가 죽는 건가 싶어 인문학 공부를 시작했다. 공부하면서, 잘 살겠다고 달린 길이 몸과 마음을 망가뜨린 길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다른 삶을 살기로 했다. 사회생활 10년 차에 삶의 전환을 이루기 위해 새로운 길, 공부공동체로 들어섰다. 그곳에서 수천 년 동안 인생 선배들이 인간과 세계를 탐구한 텍스트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동의보감과 명리를 시작으로 중국 자연 철학을 바탕으로 한 『주역』과 『한서』 등을 파고들었다. 인문의역학연구소 감이당에서 15년간 연구원으로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지혜를 나누었다. 2024년 <인간삶연구소 하심당>을 열어 동서양 고전을 크로스오버하며 함께 좋은 삶을 살기 위한 공부를 하고 있다. 저서로 『간지서당』 『낭송 동의수세보원』, 공저로 『발견, 「한서」라는 역사책』 『내 인생의 주역』』 등이 있다.
펼치기
고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전평론가. 강원도 함백 출신. 고려대학교에서 고전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감이당 & 남산강학원에서 ‘밥과 친구와 생사의 비전’ 등 거의 모든 것을 해결하고 또 탐구하고 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비롯한 열하일기 3종 세트, 『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를 비롯한 달인 4종 세트,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를 비롯한 동의보감 4종 세트, 근대성 3종 세트, 그 외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 『조선에서 백수로 살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몸에서 자연으로, 마음에서 우주로 with 동의보감 & 숫타니파타』 외 다수가 있다. 가장 최근에 낸 책으로는 『청년 붓다, 바람과 사자와 연꽃의 노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운육기는 하늘과 땅의 음양이 운행하고 승강하는 일정한 법도다. 오운이 운행하는 데는 태과와 불급의 차이가 있고, 육기가 승강하는 데는 역(逆)과 종(從), 승(勝)과 복(復)의 차이가 있다. 자연의 정상적인 법칙에 어긋나는 기후는 다 해를 일으키니 사람을 병들게 하는데, 이것을 ‘시기’(時氣)라고 한다._『삼인』
(「1-28. 운기의 변화에 따라 역병이 생긴다」 중에서)


중풍에 걸리면 몸 한쪽을 쓰지 못하는데 시간을 질질 끌면서 죽지 않는다. 그것은 나무뿌리가 완전히 마르지 않은 채 한쪽 가지나 줄기만 먼저 말라 시들어가는 것과 같다. 『내경』에 이르기를 “속에 뿌리 박은 것을 신기神機라고 한다. 신神이 없어지면 기機 : 만물의 생화 기능도 멎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신기가 멎지 않으면 기화 작용 역시 끊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몸 한쪽은 비록 쓰지 못하나 신기가 완전히 멎지 않았기 때문에 죽지 않는 것이다._『의학정전』(醫學正傳, 이하 ‘정전’)
(「2-7. 풍의 사기가 침범하면 입과 눈이 비뚤어진다」 중에서)


유학자들이 가르침을 세울 때 ‘마음을 바르게 하라’, ‘마음을 가다듬어라’, ‘마음을 기르라’ 한 것은 다 심화心火가 망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의사들이 가르침을 세울 때 ‘욕심을 끊고 마음을 비우라, 정신을 고요히 가다듬어라’ 한 것도 심화가 함부로 망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_단계
(「7-14. 화를 물리치고 열을 물리치는 방법」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