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마주보기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마주보기

이정희, 송승석, 정은주, 심주형, 송우창, 보민부 (지은이)
학고방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450원 -5% 0원
1,550원
27,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1,000원 -10% 1550원 26,350원 >

책 이미지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마주보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마주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91165864460
· 쪽수 : 450쪽
· 출판일 : 2022-04-10

책 소개

베트남과 한반도에 중국인의 이주가 이뤄져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가 형성되었으며 그들의 활발한 사회‧경제활동이 각각 전개되었다. 양 지역 화교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일까?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전문가들이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책을 세상에 내놓는다.

목차

��중국관행연구총서�� 간행에 즈음하여 5

들어가면서_이정희 13

제1장 1927년 하이퐁Hải Phong 화교배척사건의 발단, 전개, 대응의 제 양상: 자료 《民國十六年 八一七越南海防慘殺華僑案紀》를 중심으로 _ 이정희 27
Ⅰ. 서론 28
Ⅱ. 하이퐁 화교배척사건 발발의 경위와 전개 33
Ⅲ.하이퐁 화교사회와 중국의 중앙 및 지방정부의 대응 49
Ⅳ. 베트남인 정치단체의 사건 인식과 대응 57
Ⅴ. 결론 62

제2장 1931년 조선화교 배척사건의 근인近因과 원인遠因 _ 이정희 79
Ⅰ. 머리말 80
Ⅱ. 조선총독부의 1931년 화교배척사건에 대한 공식 견해 84
Ⅲ. 조선총독부 초기대응의 문제점 90
Ⅳ. 평양 사건의 근인近因 104

Ⅴ. 일본정부 및 조선총독부의 사건 처리 118
Ⅵ. 1931년 화교배척사건의 원인遠因 137
Ⅶ. 맺음말 153

제3장 제2차 세계대전기 일본의 베트남 화교정책: 현지 정권을 통한 통제와 협력의 확보 시도 _ 보민부 116
Ⅰ. 서론 162
Ⅱ. 일본의 전반적인 동남아시아 화교정책 165
Ⅲ.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화교정책 176
Ⅳ. 결론 192


제4장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 시기 베트남 ‘난교難僑’ 문제: 중월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_ 이정희 195
Ⅰ. 서론 196
Ⅱ. 제1차 인도차이나전쟁과 베트남화교의 피해 198
Ⅲ. 베트남 ‘난교’ 문제의 실태 212
Ⅳ. 결론 229

제5장 해방 초기 북한의 화교학교 재건과 중국공산당 및 북한정부의 역할_송우창 243
Ⅰ. 서론 244
Ⅱ. 해방 직후 북한 화교학교의 혼란 246
Ⅲ.중공중앙동북국 주조판사처의 성립과 북한 화교의 관리 253
Ⅳ. 북한 화교학교 건설의 본격화 259
Ⅴ. 중공 간부의 귀국과 화교학교 관리의 변화 268
Ⅵ. 결론 277

제6장 경합과 통합의 정치: 베트남 분단체제의 형성과 화교․화인 경관 _ 심주형 287Ⅰ. 들어가며:베트남 ‘분단체제’와 ‘화교․화인’에 관한 문제설정 288
Ⅱ. 베트남 분단체제 형성의 역사경관:탈식민과 냉전질서의 중첩 297
Ⅲ. 베트남의 “분단 화교․화인” 경관 313
Ⅳ. 결론:경합과 통합의 정치 그리고 베트남 화교․화인의 역사적 유산 335

제7장 한국과 타이완 사이에서 한국화교의 ‘줄타기’: 진유광秦裕光의 ‘한국화교’ 서사書寫를 중심으로 _ 송승석 343
Ⅰ. 들어가며 344
Ⅱ. 회고록을 넘어 역사서사로 349
Ⅲ. 번역과 변이變異 354
Ⅳ. 나오며 388

제8장 차이나타운 아닌 중국인 집거지: 서울 화교 집거지의 변화와 동인에 대한 연구 _ 정은주 393
Ⅰ. 머리말 394
Ⅱ. 중국인, 차이나타운, 화교 398
Ⅲ. 서울 화교 집거지의 형성 401
Ⅳ. 대한민국 근대화와 화교 집거지의 변화 413
Ⅴ. 맺음말 437


원문 출처 및 저작권 관련 사항 445

저자소개

이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교토 대학에서 조선화교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5년간 한반도 및 베트남화교를 비롯한 화교 문제에 천착하여 연구하고 있다. 현재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부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한 저서는 『朝鮮華僑と近代東アジア』, 『한반도 화교사』, 『화교가 없는 나라』, 『베트남화교와 한반도화교 마주보기』(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송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광동외어외무대학(廣東外語外貿大學) 교수. 일본 효고현립대 경제학박사. 주요 연구성과에 「朝鮮戰爭後における朝鮮華僑の現地化について」, 「改革開放初期朝鮮華僑歸國硏究」 등이 있다. 중국 광동화교역사학회의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보민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트남 하노이국가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956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