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65864750
· 쪽수 : 465쪽
· 출판일 : 2022-08-31
목차
제9절 동뢰(同牢)의 절차 9
제10절 윤(酳)의 절차 33
제11절 철찬(徹饌)의 절차 43
제12절 침식(寢息)의 절차 46
제13절 준(餕)의 절차 75
제14절 부현구고(婦見舅姑)의 절차 77
제15절 예부(醴婦)의 절차 102
제16절 부궤구고(婦饋舅姑)의 절차 111
제17절 부준(婦餕)의 절차 117
제18절 잉어준(媵御餕)의 절차 121
제19절 구고향부(舅姑饗婦)의 절차 128
제20절 향송자(饗送者)의 절차 147
제21절 변례(變禮)‒구고기몰(舅姑旣沒)의 경우 165
제22절 기문(記文)‒혼례의 시간·예물·물품 224
제23절 기문(記文)‒허가(許嫁) 후 계(笄)와 교(敎) 241
제24절 기문(記文)‒문명(問名)의 절차 258
제25절 기문(記文)‒제례(祭醴)와 반명(反命) 260
제26절 기문(記文)‒납징(納徵)의 절차 263
제27절 기문(記文)‒송녀(送女)의 절차 283
제28절 기문(記文)‒동뢰(同牢)를 준비하는 절차 291
제29절 기문(記文)‒부현구고(婦見舅姑)의 절차 302
제30절 기문(記文)‒예부(醴婦)의 절차 303
제31절 기문(記文)‒구고향부(舅姑饗婦)의 절차 305
제32절 기문(記文)‒향송자(饗送者)의 절차 310
제33절 기문(記文)‒며느리가 제사를 돕는 시기 312
제34절 기문(記文)‒서부(庶婦)에 대한 규정 315
제35절 기문(記文)‒납채(納采)의 언사(言辭) 317
제36절 기문(記文)‒문명(問名)의 언사(言辭) 324
제37절 기문(記文)‒예빈(醴賓)의 언사(言辭) 329
제38절 기문(記文)‒납길(納吉)의 언사(言辭) 333
제39절 기문(記文)‒납징(納徵)의 언사(言辭) 335
제40절 기문(記文)‒청기(請期)의 언사(言辭) 337
제41절 기문(記文)‒반명(反命)의 언사(言辭) 346
제42절 기문(記文)‒초자(醮子)의 언사(言辭) 348
제43절 기문(記文)‒친영(親迎)의 언사(言辭) 355
제44절 기문(記文)‒계명(戒命)의 언사(言辭) 358
제45절 기문(記文)‒수수(授綏)의 언사(言辭) 372
제46절 기문(記文)‒명(命)의 주체 373
제47절 기문(記文)‒불친영(不親迎) 때의 절차 385
士昏禮 人名 및 用語 辭典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