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오타 나나코, 황익구, 허이린, 이이타카 신고, 김경옥, 야스오카 겐이치, 야라 겐이치로, 곽형덕, 쓰치야 시노부, 장웬칭, 우페이전, 조수일 (지은이),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엮은이)
소명출판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600원 -10% 0원
1,700원
2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스트제국의 심상공간과 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59058325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3-10-30

책 소개

12명의 한·중·일·대만의 학자들이 역사적 사실로서의 실태와 그에 관한 서술·기억 사이에 개재하는 차이(差異) 즉 이동(異同)이 만들어내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한다.

목차

서문

제1부/ ‘포스트제국’의 시작과 국민국가 재편
제1장/ 라디오 방송이 개척한 ‘제국’-점령기 개혁 ‘마이크 개방’에서 탈‘제국’을 전망한다
제2장/ 전후 일본의 귀환자문제와 ‘민주주의’교육-소거되는 제국의 기억
제3장/ 전후 대만인의 해외이주와 독립운동의 영향

제2부/ 대동아공영권에서 ‘포스트제국의 동아시아’로
제4장/ 제국의 틈새에 살았던 ‘혼혈’-구 남양군도 사례
제5장/ 전후 일본의 ‘민주보육연맹’의 성립과 활동
제6장/ 1965년 재고(再考)-망각과 상기의 결절점(結節点)으로서

제3부/ 구조화와 길항의 자장으로서의 문학
제7장/ 근현대 오키나와에서 전개된 단카(短歌)
제8장/ 전후 마이너리티의 일본어문학과 군사기지-『진달래』와 『류다이분가쿠』를 중심으로
제9장/ 이케자와 나쓰키(池澤夏樹)의 『꽃을 옮기는 여동생(花を運ぶ妹)』론-발리섬의 문학적 표상을 통해 보는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제4부/ 권력 속 문학, 문학 속 권력
제10장/ 전후 초기 대만에서의 포스트제국과 재식민 문화정책의 영향-금서정책과 중국어통속출판
제11장/ 누구의 ‘향토’인가-1930년대와 1970년대 대만 ‘향토문학’ 논쟁
제12장/ 포스트제국시대의 탈식민 주체 되기-재일(在日) 지식인 김석범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찾아보기
필자소개

저자소개

곽형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일본어문학 연구 및 번역자로 명지대 일어일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김사량과 일제 말 식민지문학』(2017)이 있고, 편역서로는 『오무라 마스오와 한국문학』(2024), 『오키나와문학 선집』(2020), 『대동아문학자대회 회의록』(2019)이 있다. 번역서로는 『일본풍토기』(김시종, 2022), 『무지개 새』(메도루마 ㅤㅅㅠㄴ, 2019), 『돼지의 보복』(마타요시 에이키, 2019), 『지평선』(김시종, 2018),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오무라 마스오, 2017), 『아쿠타가와의 중국 기행』(2016), 『니이가타』(김시종, 2014), 『김사량, 작품과 연구』 1~5(2008~2016) 등이 있다.
펼치기
황익구 (엮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국제대학 일본학과 조교수. 연구분야는 근현대일본문학·문화. 주요 저서로는 『交錯する戦争の記憶-占領空間の文学』(春風社, 2014), 『異文化理解とパフォーマンス』(공저, 春風社, 2016), 『재일코리안에 대한 인식과 담론』(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8), 『재일코리안의 역사적 인식과 역할』(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8),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제국주의의 프로파간다와 식민지 표상』(공저, 민속원, 2019), 『재일코리안의 이주와 정주 코리안타운의 기억과 지평』(도서출판 선인, 2021), 『재일코리안의 문화예술과 위상 기억을 위한 소묘』(도서출판 선인, 2021)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허이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 대만문화연구소 교수. 전공은 국제사회과학, 연구분야는 대만근현대사. 주요 저서로는 『二·二八事件-「台湾人」形成のエスノポリティクス』(東京大学出版会, 2003), 『台湾現代史-二·二八事件をめぐる歴史の再記憶』(平凡社, 2014), 논문으로는 「戦後在日台湾人の法的地位の変遷-永住権取得の問題を中心として」(『現代台湾研究』 45号, 2014.12), 「GHQ占領期における在日台湾人の出版メディアと言説空間」(『日本台湾学会報』 17号, 2015.8)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이타카 신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치현립대학 문화학부 교수. 전공은 문화인류학, 오세아니아 연구. 주요 저서에 『ようこそオセアニア世界へ』(공저, 昭和堂, 2023), 『大日本帝国期の建築物が語る近代史-過去·現在·未来』(공저, 勉誠出版, 2022), Memories of the Japanese Empire : Comparison of the Colonial and Decolonisation Experiences in Taiwan and Nan’yō Guntō(공저, Routledge,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연구교수. 전공은 일본근현대사, 젠더. 주요 논저로는 『한일 화해를 위해 애쓴 일본인들』(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알면 다르게 보이는 일본문화』(공저, 지식의날개, 2021), 『제국의 유제-상상의 ‘동아시아’와 경계와 길항의 ‘동아시아’』(공저, 소명출판, 2022), “Factory Labor and Childcare in Wartime Japan”(Women’s History Review, 30(2), 2020)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조수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생.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교수.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언어정보과학전공에서 공부했다. 김석범문학을 비롯한 재일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金石範の文学-死者と生者の声を紡ぐ』(岩波書店, 2022), 역서로는 김석범 소설집 『만덕유령기담』(보고사, 2022,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오타 나나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이센여자대학 문학부 영어영문학과 전임강사. 전공은 미디어사, 비판적담화연구. 주요 논저로는 『占領期ラジオ放送と「マイクの開放」-支配を生む声,人間を生む肉声』(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22), “The voiceful voiceless : Rethinking the inclusion of the public voice in radio interview programs in Occupied Japan”(Historical Journal of Film, Radio and Television 39(3), 2019)등이 있다.
펼치기
야스오카 겐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사카대학대학원 인문학연구과 준교수. 전공은 일본근현대사, 오럴 히스토리. 『「他者」たちの農業史』(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4), 「聞き書き·オーラルヒストリー·「個体史」-森崎和江の仕事によせて」(『現代思想』 50巻13号, 2022)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펼치기
야라 겐이치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메이오대학 국제학부 상급준교수. 연구분야는 류큐사琉球史, 특히 류큐와 일본의 관계사. 주요 논저로는 『訳注琉球文学』(공저, 勉誠出版, 2022), 「漂着から見た近世の琉球と日本」(『説話文学研究』 55号, 2020)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쓰치야 시노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무사시노대학 문학부 문학연구과 교수. 전공은 일본근현대문학. 주요 저서로는 『南洋文学の生成-訪れることと想うこと』(新典社, 2013), 『武蔵野文化を学ぶ人のために』(편저, 世界思想社, 2014), 『<外地>日本語文学への射程』(편저, 双文社出版, 2014), 『<外地>日本語文学論』(공저, 日本語版, 世界思想社, 2007·韓国語版, 『<식민지> 일본어 문학론』, 문, 2010), 『戦間期東アジアの日本語文学』(공저, 勉誠出版, 2013)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장웬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이치현립대학 외국어학부 준교수. 전공은 중국어권 통속소설, 대만문학, 중국근대문학. 주요 논저로는 『通俗小説からみる文学史-一九五〇年代台湾の反共と恋愛』(法政大学出版局, 2022), 「1950年代の台湾における読者とその文学受容-言語および文化の分断からみる通俗小説の流行(『野草』 第92号, 2013), 「1950年代台湾の通俗出版をめぐる文芸政策と専業化」(日本台湾学会報』 第18号, 2016), 「1950年代台湾の通俗小説研究-『聯合報』副刊の連載小説を中心として」(『野草』 第100号,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우페이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정치대학 대만문학연구소 교수 겸 소장. 연구분야는 일본근대문학, 식민지기 일대日臺비교문학·비교문화. 주요 저서로는 『真杉靜枝與殖民地台灣』(聯經出版, 2013), 『福爾摩沙與扶桑的邂逅-日治時期台日文學與戲劇流變』(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 2022), 『中心到邊陲的重軌與分軌-日本帝國與台灣文學.文化硏究>(上·中·下)(편저, 國立臺灣大學出版中心, 2012~2013), 『<異郷>としての大連·上海·台北』(공저, 勉誠出版, 2015), 『明治維新を問い直す-日本とアジアの近現代』(공저, 九州大學出版, 2020) 등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논문·번역이 있다.
펼치기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학연구소는 2017년부터 2024년까지 ‘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과 동아시아’(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 기초학문 분야)를 수행했다. 아젠다 틀은 제국 해체 후, 그 공간에 새로이 건설된 각 국민국가에서 ‘제국의 문화권력’이 어떻게 수용되고 배제되었는지, 어떻게 변용하고 잠재하고 재생산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탈(Post)-식민지화를 통한 동아시아의 화해와 공존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이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사업수행의 일환으로써 재일한국・조선인들이 간행한 잡지인 <계간 삼천리>(총 50호)를 해제하여 <계간 삼천리 해제집>(일본학자료총서Ⅱ)으로 총 8권을 간행했다. 본 <「계간 삼천리」와 인물들>은 말할 것도 없이 그 실증적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