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차와 접합의 지

교차와 접합의 지(知)

(냉전과 탈식민의 한일 지식인 교류사)

박삼헌, 오타 오사무, 김인수, 조수일, 홍종욱, 도베 히데아키, 심정명 (지은이)
소명출판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900원 -10% 0원
1,550원
26,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차와 접합의 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차와 접합의 지(知) (냉전과 탈식민의 한일 지식인 교류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59058578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3-12-31

책 소개

일곱 명의 한일 연구자들이 1965년 한일국교정상화 이후 2000년대까지 한일 지식인의 뜨거웠던 교류사를 얘기한 최초의 본격 연구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 월경하는 재한 피폭자와 일본의 연대운동
-손귀달의 ‘밀항’과 엄분련·임복순의 도일 치료 시도를 둘러싸고 | 오타 오사무

1. 들어가며
2. 1968년-재한 피폭자를 둘러싼 상황
3. 손귀달의 ‘밀항’과 엄분련·임복순의 도일 치료 시도
4. 1969~1971년의 재한 피폭자와 일본의 연대운동
5. 나가며

제2장 | 1970년대 ‘조선반도 연구자’의 한국론
-다나카 아키라(田中明)를 중심으로 | 박삼헌

1. 들어가며-다나카 아키라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들
2. ‘조선반도 연구’의 출발점, 두 번의 한국 방문과 ‘조선문학의 회’
3. ‘조선반도 연구’의 심화, 한국 유학의 실감(實感)
4. ‘조선반도 연구’의 과제, 민족주의를 어떻게 볼 것인가
5. 나가며-‘나쁜 일본인’으로의 전향?

제3장 | 아시아 냉전학술의 자장과 1970~1980년대 한일 지식인 교류 | 김인수

1. 지식교류의 정치적·물질적 토대에 대한 질문
2. 냉전 시기 아시아 지식네트워크의 형성과 작용
3. 담론분석
4. 나가며
부록_ 제1~4차 회의 단행본의 세부 목차와 논고

제4장 |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 삼천리』 | 조수일

1. 들어가며
2. 1970년대 일본과 『계간 삼천리』의 목적의식
3. 특집-‘한일교류(사)’를 위한 폴리포니
4. 대담/정담/좌담회-격동이 낳은 시대의 증언
5. 연재-‘또 하나의 연재’에 담긴 유·무명의 증언 : K·I, 마에다 야스히로
6. 번역-자성을 촉구하는 한국 지식인의 사유와 시대 정신
7. 나가며

제5장 |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1980년대 후반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 연구 | 홍종욱

1. 한국의 경제 성장과 탈식민적 한일 관계 모색
2. ‘NICs 충격’과 일본 지식인의 한국자본주의 인식
3. 한일 교류와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의 동요
4. 탈냉전 민주화와 식민지근대화론 대두
5. 새로운 식민지 역사상의 모색

제6장 | 아라이 신이치의 ‘식민지 책임’에 이르는 길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지적 교류 속에서 | 도베 히데아키

1. 들어가며
2. 연구의 원천과 한국에 대한 관심-1980년대까지
3. 시민운동으로서 전쟁책임 추구-1990년대
4. 동아시아 역사 대화에 대한 공헌-2000년대
5. 식민지 지배 책임으로서 문화재 문제-2010년대의 도달점
6. 나가며-아라이가 완수한 역할과 지적 교류의 의의

제7장 |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 심정명

1. 들어가며
2. 일본 내셔널리즘 비판에서부터
3. 『당대비평』과 한일 지식인의 대화
4. ‘동아시아 역사포럼’의 주변
5. 나가며

참고문헌
필자 소개

저자소개

심정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교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비교문학 협동과정에서 석사학위를, 오사카 대학교 문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나토 가나에의 《여자들의 등산일기》 《조각들》, 교고쿠 나쓰히코의 《후 항설백물어》, 이케이도 준의 《일곱 개의 회의》, 그 밖에 《백미진수》 《괴담》 《피안 지날 때까지》 《이치고 동맹》 등 문학뿐만 아니라, 《유착의 사상》 《스트리트의 사상》 《납치사 고요》 등 다양한 분야의 일본 작품을 우리말로 옮기고 있다.
펼치기
박삼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일어교육과 교수 겸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소장.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고베대학 대학원에서 일본사회문화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일본의 국가체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메이지 시대 이후, ‘메이지’를 둘러싼 역사 인식과 정치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근대 일본 형성기의 국가체제: 지방관회의·태정관·천황』, 『천황 그리고 국민과 신민 사이』 등이, 공저로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 『동아시아 도시 이야기』, 『일본사 시민강좌』, 『벌거벗은 세계사: 사건편 2』 등이, 번역서로 『천황의 초상』, 『천황 아키히토와 헤이세이 일본사』 등이 있다.
펼치기
오타 오사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3년생. 도시샤대학 대학원 글로벌스타디즈연구과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1951년부터 1965년까지 진행된 한일회담, 1945년 이후 한국사회와 문화 등에 관한 논문과 책을 써왔다. 저서로 『[新装新版]日韓交渉-請求権問題の研究』(クレイン, 2015), 『朝鮮近現代史を歩く-京都からソウルへ』(思文閣出版, 2009), 편저로 『동아시아 냉전의 문화』(소명출판, 2017), 『植民地主義, 冷戦から考える日韓関係』(同志社コリア研究センター,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도베 히데아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에 태어났다. 도쿄경제대학 전학공통교육센터 교수로 재직 중이다. 「沖縄戰の記憶が今日によびかけるもの(오키나와전투의 기억이 지금 호소하는 것)」(成田龍一·吉田裕 編, 『記憶と認識の中のアジア·太平洋戰爭(기억과 인식 속의 아시아태평양전쟁)』, 岩波書店, 2015), 「マルクス主義と戰後日本史學(마르크스주의와 전후 일본사학」(『岩波講座 日本歷史22 歷史學の現在(이와나미강좌 일본역사22 역사학의 현재)』, 岩波書店, 2016) 등의 논문을 썼다. 공저로 『觸發する歷史學:鹿野思想史に向き合う(촉발하는 역사학: 가노 마사나오 사상사와 마주하다)』(日本經濟評論社,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홍종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일 한국대사관 전문조사원, 도시샤대학 전임강사·준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戦時期朝鮮の転向者たち―帝国/植民地の統合と亀裂』(有志舎, 2011), 『가지무라 히데키의 내재적 발전론을 다시 읽는다』(공저, 아연출판부, 2014), 『일제의 사상통제와 전향 정책』(동북아역사재단, 2024) 등의 저서가 있고, 역서로는 『세계사의 해체』(공역, 사카이 나오키 외 저, 역사비평사, 2009),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공역, 이타가키 류타 저, 혜안,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생.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조교수.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한국의 근현대 사회과학 지식체계의 역사를 사회공학과 지식국가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작업을 해왔다. 저서로는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50년사』(한울아카데미, 2015), 논문으로는 “Tacit Knowledge and the Sociological Turn in Population Studies in Korea in the 1960s and 1970s”(Korea Journal 63-2, 2023), “Enumerated Society : Political Implications of Tenancy Statistics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Korea Journal 61-2, 2021), 「냉전과 지식정치-박진환의 Farm Management Analysis(1966)의 성립사정을 중심으로」(『동북아역사논총』 61, 2018), 「植民地の知識國家論-1930年代の朝鮮における社會性格論爭再考」(『思想』 1067,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조수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2년생.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HK교수.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 언어정보과학전공에서 공부했다. 김석범문학을 비롯한 재일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金石範の文学-死者と生者の声を紡ぐ』(岩波書店, 2022), 역서로는 김석범 소설집 『만덕유령기담』(보고사, 2022, 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