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비평론
· ISBN : 9791165876852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4-02-20
목차
머리말 : '1950년대생 비평가 연구포럼'의 기회과 추진 방향
회의하는 나, 변명하는 문학_ [양순모]
권오룡론
1. 회의하는 '나'
2. 회의의 대상 (1) : 문학 하는 '나'
3. 회의의 대상 (2) : 문학
4. 회의의 대상 (3): '현실', '사회'
5. 회의의 대상 (4) : '회의'
6. 닫으며 : 변명하는 문학
1980년대를 지나는 신세대 비평의 한 사례_ [유승환]
'비판적 민중문학론자' 홍정선의 경우
'한심한 영혼'이 걸어간 비평의 길_ [박미라]
이남호의 문학평론
1. 그는 왜 더 이상 평론집을 내지 않는가
2. 자부심 넘치는 한심한 영혼
- 1986년 『한심한 영혼아』, 1990년 『문학의 위족』
3. 깊은 허무 뒤의 심기일전
- 1994년 『보르헤스 만나러 가는 길』, 1998년 『녹색을 위한 문학』
4. 전자문화 시대에 남겨진 쓸쓸한 한심한 영혼
- 2004년 『문자제국쇠망약사』, 2012년 『문학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문학과 실천, 균형 감각으로 빛났던 비평_ [류영욱]
성민엽이 걸어 온 문학의 숲
1. 비평의 씨앗
2. 문지/탈문지 세대로 성장한 비평가
3. 열려 있는 실천 문학의 자리로
4. 보편성을 향한 길, 문학의 숲을 걷다
비-체제 지향의 외길 걷기_ [홍래성]
이동하의 비평적 발자취를 더듬는 짧은 스케치
1. 들어가는 말
2. 이동하가 서 있던 위치
3. 한결같은 입각점, 자유주의
4. 어우러질 수 없는 두 기축, 비판적 합리주의와 종교적 신앙
5. 독특한 문체의 효과
6. 나가는 말
서정의 사제_ [손남훈]
이숭원의 시비평
1. 1950년대생의 자부심
2. 텍스트주의, 서정주의 비평
3. 마음을 살피는 서정의 포용력
4. 이숭원 비평의 의의
임규찬의 비평세계와 리얼리즘의 예도_ [백혜린]
1. 리얼리즘에서 다시 리얼리즘으로
2. 새로운 리얼리즘의 모색과 변증법적 비평관
3. 구도적 관점으로 교정된 리얼리즘론
4. 나가며: '진정한 도'의 개념
중립의 자리에서 그가 말할 수 있었던 것_ [박수정]
정호웅론
1. 보이지 않는 자리
2. 80년대와 90년대 사이, 어떤 곤혹
3. 가치 판단의 중단과 루카치 다시 읽기
4. 지연되는 역사들
문학의 새로움과 열린 비평의 모색_ [하상일]
한기욱의 비평 세계
1. 비평의 본질과 생산적 대화
2. 문학의 새로움에 대한 탐색
3. 촛불혁명 시대 열린 비평의 가능성
4. 2000년대 이후 '창비' 비평의 안과 밖
'희망'의 언어로 환멸의 시대에 맞서기_ [오창은]
김명인론
1. 같은 출발, 다른 행로
2. '좋은 시인'이 되고자 했던 문학평론가
3. 담론비평, 메타비평, 과학으로서의 비평
4, 희망과 환멸의 맞대결과 부끄러움의 감각
비평의 자기반성, 자기반성의 비평_ [진기환]
정과리의 비평에 대해
1. 세 가지 관문
2. 두 가지 변증법
3. 논리구조의 동일성 파악
4. 자기반성적 시선
5. 반성이 결여된 지점들
6. 맺음말
하정일의 비평세계_ [고명철]
학술운동으로서 연구/비평, 민족문학론. 복수의 근대
1. 진보적 학술운동의 연구/비평의 존재양식
2. 1980년대 진보적 문학과 자유주의문학에 대한 비판적 집보
3. '민주주의 변혁-민족문학-리얼리즘- 예술적 총체성'의 연구/비평 구도
4. '탈식민'과 '복수의 근대'를 기획·실행하는
5. 향후 과제: 전면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할 하정일의 '수행적 읽기'
격변의 시대, 비평의 부재 속 '비평 이성' 실천하기_ [양수민]
1990년대를 지나온 평론가 한기의 비평 궤적
1. 80년대 비평의 흐름과 90년대 비평의 진단
2. '민중적 민족문학'과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글쓰기
3. '비평 이성'의 요청과 분단문학
4. '비평 이성의 한계
시와 접속한 영혼의 비평_[김경연]
김정란의 여성주의 비평을 읽다
1. 김정란, 혹은 페미니스트 여성시인-비평가
2. 근대와 탈근대를 포월하는 '내면성'의 옹호
3. 여성시의 재발견, '다른' 여성성/모성성의 발명
4. 비평을 '퀴어링'하기, 여성주의로 '문학/정치하기'
'살림'의 인드라망, 생명의 카오스모스_ [이은란]
정효구의 비평의 현재성
1. 다시, 우주공동체의 실현을 위하여
2. 무아, '한 몸 되기'의 조건
3. 공양 정신을 통한 '살림'의 실현
4. 카오스에서 카오스모스로
5. '너머'의 휴머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