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전환기 영화의 메타모포시스

근대전환기 영화의 메타모포시스

(전후의 구로사와 아키라 1946~1950)

이시준 (지은이)
보고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050원 -5% 0원
1,950원
3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전환기 영화의 메타모포시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전환기 영화의 메타모포시스 (전후의 구로사와 아키라 1946~195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91165878528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5-04-25

책 소개

구로사와 아키라는 오즈 야스지로, 미조구치 겐지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영화감독이다. 이 책은 구로사와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1946~1950) 만든 영화 여섯 편을 중심으로, 그가 어떻게 감독으로서, 또 작가로서 성장하고 변화했는지를 다루고 있다.
구로사와 아키라는 오즈 야스지로, 미조구치 겐지와 함께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영화감독이다. 1910년에 태어나 1998년에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영화는 일본뿐 아니라 세계 영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글은 구로사와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1946~1950) 만든 영화 여섯 편을 중심으로, 그가 어떻게 감독으로서, 또 작가로서 성장하고 변화했는지를 다루고 있다. 전쟁 전 구로사와는 국책영화를 만들며 시대에 영합했지만, 전쟁이 끝난 뒤 그는 자신을 깊이 반성했고, 영화라는 매체가 어떤 가치를 전할 수 있을지 치열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시대의 전환점
1945년, 일본의 항복과 함께 전쟁이 끝났고 당시 35세였던 구로사와는 영화 《호랑이 꼬리를 밟는 남자들》을 촬영 중이었는데, 전쟁의 종식은 단순히 작업을 멈춰야 했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아니라, 감독으로서 양심적인 충격을 안겨준 사건이었다. 그는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영화를 통해 계속 던지게 된다.
전후 일본은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영향 아래 민주주의, 여성의 권리, 개인의 자유 등 새로운 가치관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영화계 역시 이런 방향으로 변화했고, 구로사와도 그 흐름 속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의 색을 찾아갔다.

전후 영화 6편, 시대와 개인의 성장기
《내 청춘에 후회 없다》(1946)실존 사건을 모티프로, 여성의 자아 각성과 민주주의를 그린 영화이다. 과거 국책영화를 만들었던 자신의 행적을 되돌아보며, 반성의 의미도 담았다.
《멋진 일요일》(1947)전쟁에서 돌아온 청춘 남녀가 단돈 35엔으로 데이트를 하는 이야기를 통해,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찾으려는 모습을 그렸다. 관객에게 ‘박수를 쳐 달라’고 말하는 엔딩은 당시로서는 매우 실험적인 시도였다.
《주정뱅이 천사》(1948)암시장의 빈민가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은, 폐결핵에 걸린 야쿠자와 가난한 의사 사이의 갈등을 통해 전후 일본의 어두운 현실과 도덕적 책임을 묘사한다. 이 작품에서 구로사와는 배우 미후네 도시로와 처음 협업했고, 이는 그의 감독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된다.
《조용한 결투》(1949)매독에 감염된 젊은 의사의 내면 고통을 통해, 전쟁의 상처를 육체적 질병이라는 방식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인간성과 윤리적 이상을 진지하게 다루었다.
《들개》(1949)도난당한 권총을 추적하는 형사의 이야기를 통해, 형사와 범죄자의 경계를 고민하게 만드는 형사 영화이다. 전후 일본 사회의 혼란과 도덕적 갈등을 강렬하게 표현했다.
《추문》(1950)선정적인 언론 보도를 주제로 한 영화로, 사생활 침해와 거짓 여론, 인간 양심의 갈등을 정면에서 다룬 사회 비판 영화이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영화
이 6편의 영화는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작품이 아니라, 전쟁의 상처와 혼란 속에서 일본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한 진지한 질문이 담긴 영화들이다. 여성의 인권, 도덕성, 공동체 의식 등 당시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뤘고, 그 안에서 구로사와는 ‘감독’이자 ‘작가’로서 본인의 정체성과 철학을 확립해갔다.
전후 일본 사회는 경제적 어려움, 윤리적 혼란, 전통 가치의 붕괴 등 큰 시련을 겪었다. 구로사와는 이러한 문제들을 날카롭게 바라보며, 영화라는 수단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꾸준히 던졌다.
이 시기의 구로사와 아키라는 단지 영화를 만든 사람이 아니라, 시대의 아픔을 감당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한 진정한 작가였다. 그의 전후 영화들은 일본 현대사의 중요한 기록이자, 지금 우리에게도 유효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_영화에 대한 감상

제1장_《내 청춘에 후회 없다》: 전후 민주주의 신여성의 ‘자아’를 찾는 여정
1. 들어가며
2. 전통적인 여성상, 야기하라 부인과의 차이
3. 자기본위의 새로운 여성상
4. 유키에의 자아실현, 그리고 자유
5. 나오며

제2장_《멋진 일요일》: 전후의 역경 속에서도 꿈을 포기하지 않는 청춘
1. 들어가며
2. 현실과 꿈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배열한 구성
3. ‘하숙집 장면’의 구성에 대한 논쟁
4. 하숙집 장면의 연출
5. 나오며

제3장_《멋진 일요일》: 네오리얼리즘 성격과 카메라 워킹, 그리고 음악 연출
1. 들어가며
2. 네오리얼리즘적인 영화
3. 촬영기법
4. 음악
5. 나오며

제4장_《주정뱅이 천사》와 《조용한 결투》: 이성적이고 헌신적인 의사와 비이성적인 악한의 상반된 생애
1. 들어가며
2. 영화제작을 둘러싸고
3. 구성과 제재의 유사성
4. 《주정뱅이 천사》에서 《조용한 결투》로
5. 주제의 연속성으로서의 ‘이성’의 중요성
6. 나가며

제5장_《조용한 결투》: 원작 『낙태의』와의 비교를 통해 본 시나리오의 방법
1. 들어가며
2. 전반부의 구성의 비교
3. 후반부의 구성의 비교
4. 『낙태의』에서 《조용한 결투》로:메시지의 변화
5. 나오며

제6장_《들개》: 소설, 시나리오, 영화의 역동적 관계
1. 들어가며
2. 발단부
3. 전개부
4. 위기부
5. 절정․결말부
6. 나오며

제7장_《추문》: ‘옐로 저널리즘의 비판’에서 ‘인간의 선악의 문제’로
1. 들어가며
2. 제작 동기
3. 전반부의 주제와 연출
4. 후반부의 주제와 연출
5. 나오며

제8장_전후 민주주의 영화 속의 ‘전후’의 표상: 공간과 대립되는 인물조형, 그리고 감독의 메시지
1. 들어가며
2. 《내 청춘에 후회 없다》와 《멋진 일요일》의 공간
3. 《주정뱅이 천사》와 《조용한 결투》의 공간
4. 《들개》와 《추문》의 공간
5. 전후의 표상으로서의 인물조형․사회적 메시지
6. 나오며

제2부_각본에 대한 이해

《내 청춘에 후회 없다》(1946)
《멋진 일요일》(1947)
《주정뱅이 천사》(1948)
《조용한 결투》(1949)
《들개》(1949)
《들개(소설)》
《추문(스캔들)》(1950)

제3부_감독․제작에 대한 관심(1946~1950)

1. 연합군 최고사령부와 도호 쟁의
2. 《내 청춘에 후회없다》
3. 《멋진 일요일》
4. 《주정뱅이 천사》
5. 《조용한 결투》
6. 《들개》
7. 《추문》

참고문헌
초출일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및 동 대학원 석사졸업. 도쿄대학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박사(일본설화문학), 현 숭실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숭실대학교 동아시아언어문화연구소 소장.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초빙교수(2019.8∼2020.7), 한국일어일문학회 회장(2024∼2025). 저서 『今昔物語集 本朝部の硏究』(일본),『식민지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 기초적 연구 1, 2』『구로사와 아키라의 국책영화와 일본문학: 프로파간다와 작가 정신 1943~1945』 공편저 『古代中世の資料と文學』(義江彰夫編), 『漢文文化圈の說話世界』(小峯和明編), 『東アジアの今昔物語集』(小峯和明編), 『說話から世界をどう解き明かすのか』(說話文學會編), 『文學史の時空』(小峯和明監修, 宮腰直人編), 『文學硏究の窓をあける』(石井正己編), 『일본문학속의 여성』, 『일본인의 삶과 종교』, 『슬픈 일본과 공생의 상상력』, 『한일 양국의 이문화 수용과 번역』, 『요괴』, 『일본 고전문학의 상상력』 등 번역 『일본불교사』, 『일본 설화문학의 세계』, 『금석이야기집 일본편 1~9』, 『암흑의 조선』, 『조선이야기집과 속담』, 『전설의 조선』, 『나카무라 료헤이의 조선동화집』 등 자료집 『암흑의 조선』 등 식민지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자료총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