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66178788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25-04-22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위기를 맞고 있는 세계질서 13
세계질서를 분석하는 국제정치이론의 한계 16
권역이론과 세계질서의 분석 21
권역이론과 현대 세계질서의 미래 28
각 장의 구성 32
제2장 권역이론
권역이론의 방법론 39
권역이론의 인식론과 미술사학 이론 43
권역의 5층 구조 49
주요 권역들 58
권역의 분류: 권위형 권역과 강제력형 권역 65
권역 내 중심과 주변 75
권역의 전파 78
권역질서의 형성과 유지 82
제3장 근대 유럽의 베스트팔렌-세력균형 권역
베스트팔렌 권역 연구의 필요성 89
근대 이전 세계의 권역들 92
근대의 시작과 유럽 베스트팔렌 권역의 출현 96
근대국가의 본질: 군사국가, 경제국가, 식민지국가 99
세력균형 운영원리 107
권역과 정치 의미권 111
유럽 권역의 핵심인 단일민족주의 국가 121
근대 권역의 자기모순 125
제4장 현대 세계정치의 출현과 냉전기 권역의 자기분열
현대 세계정치의 출현 133
현대 세계정치와 집단안보 138
현대 세계정치와 국제주의 경제 142
현대 세계정치와 탈식민의 정치질서 145
개인의 정치의식 148
현대국가의 출현 150
현대 강대국의 등장: 미국과 소련 153
냉전기 미국 주도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 157
자유주의 운영원리 161
패권적 자유주의의 운영원리 166
자유주의 국제정치이론과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 169
냉전기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의 자기모순 171
소련 주도의 국제주의-공산주의 권역 175
제5장 현대 세계정치의 지향점과 미래 지구 신권역
현대 세계정치가 지향하는 이상적 권역 183
세계화, 지구화의 심화 188
첫 번째 과제: 국제질서의 민주화 191
두 번째 과제: 국가를 넘어서는 다차원적, 지구적 자유주의 198
세 번째 과제: 지구적 자유민주주의 201
유럽 국가연합 권역의 출현과 통합, 분산화의 양방향 변화 204
국가연합의 지구적 전파 가능성 208
탈냉전기와 권역이론 213
유럽연합 모델 이후의 권역이론 216
제6장 탈냉전/지구화 이행기 미국 주도의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과 도전들 225
탈냉전/지구화 이행기 자유주의 권역을 둘러싼 구조적 변화 228
미국 주도 자유주의 권역의 새로운 과제 233
패권적 능력의 한계 240
패권적 운영원리의 한계 244
새로운 권역질서의 모색: 국제적, 지구적 공공재 제공 능력 249
공공재의 역사와 종류 253
공공재의 성격과 국제정치 256
신현실주의 관점에서 본 월츠의 국제정치이론과 공공재 260
패권과 국제공공재 264
지구화 이행과 지구적 공공재 269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의 구조적 모순 273
제7장 미래 권역의 사상적 기초
자유주의 운영원리의 한계 279
자유의 개념과 국제정치적 자유의 실현 282
자유주의와 민주주의 간 협력, 갈등의 이중 관계 288
국제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 운영원리의 수립 가능성 296
자유민주주의와 개인주의적 존재론 301
국제정치의 무정부상태와 개체주의적 국가의 존재론적 가정 304
월츠의 개체주의 존재론 308
다원주의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 공동체주의와 공화주의 311
자유주의 정치사상 비판과 탈베스트팔렌 이행의 가능성 322
자유주의에 대한 현실주의의 비판 324
제8장 미래 세계질서: 다권역 질서의 가능성
미중 전략경쟁의 새로운 특징 330
베스트팔렌-자유주의 권역의 불완전한 전파 336
중국의 탈권역을 위한 조건들 340
새로운 권역 창출을 향한 중국의 과제 346
미래의 세계질서 방향 352
미래 세계질서의 시나리오 359
제9장 결론: 다권역 세계질서와 한국의 과제
권역이론의 이론적 공헌 389
탈냉전/지구화 이행과 권역이론 398
권역이론과 한국의 과제 408
참고문헌 417
미주 421
찾아보기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