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7070975
· 쪽수 : 422쪽
· 출판일 : 2023-02-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국제정세 변동과 한반도 안보환경의 도전
I. 머리말
II. 탈냉전기 국제질서의 축 미국 패권과 그에 대한 도전
III.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안보
IV. 한반도의 안보환경
V. 책의 구성
VI. 맺음말: 안보환경의 변화와 한국 항공우주산업의 역할
제1부 국제정세 변동과 안보·국방환경 평가
제2장 미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바이든 정부의 안보, 국방 환경 평가 및 전략: 잠정 국가안보전략지침을 통해 본 미국의 인식과 전략
III. 미국의 국방전략 방향
IV. 미국의 인도태평양 군사전략: 대중 견제 전략
V. 핵심 분쟁 지역에 대한 미국의 대응: 남중국해와 대만
VI. 맺음말: 한국의 미래 대응
제3장 중국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
III.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중국의 대응
IV. 맺음말: 중국의 대응 평가와 한반도에 대한 함의
제4장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
I. 머리말
II. 푸틴 정부 권력체계와 외교 및 군사·안보 정책
III. 러시아의 국제안보·국방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IV. 푸틴 정부의 국가발전전략과 군사안보적 대응
VI. 맺음말
제5장 일본 국방정책의 변화와 우주정책의 안보화: 국제협조에 입각한 ‘보통국가’
I. 머리말
II. 냉전기 일본의 ‘비군사’ 국방정책·우주정책
III. 탈냉전기 일본의 ‘비침략’ 국방정책·우주정책
IV. 2010년대 일본 국방정책의 ‘보통국가’로의 방향성
V. 안보화하는 일본 우주정책의 국제협조 중심성
VI. 맺음말
제6장 북한의 대외 인식과 전략: 김정은의 ‘정면돌파’
I. 머리말
II. 냉전·탈냉전 시기 북한의 대외 환경 인식과 목표
III. 김정은 집권 초 북한의 대외 환경 인식과 전략
IV.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2018~2019년
V. 북한의 ‘정면돌파’: 2019년 12월~현재
VI. 맺음말
제2부 안보환경 변동에 대한 한국의 대응
제7장 동북아지역 관련 주변 4강의 전략의 충돌과 한반도 군사안보
I. 미중 군사경쟁 시대 전략의 충돌
II. 신냉전적 전략상황과 한반도 안보
III. 한국 군사안보의 지향점
제8장 공격방어균형으로 본 미러 전략무기 경쟁과 한국
I. 머리말
II. 세계 전략무기 배치 현황
III. 안보모순과 핵무기의 전략방어균형
IV.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와 전략균형의 변화
V. 맺음말
제9장 전통안보 차원에서 본 한국의 군사안보적 대응과 전망: ‘전쟁거래이론’을 중심으로
I. 머리말
II. ‘전쟁거래이론’과 국제관계
III. 세 가지 ‘거래문제들’을 통해서 본 한반도 안보환경
IV. ‘전쟁거래이론’과 한반도 평화구축 방안
V. 맺음말
제10장 복합안보위기 시대 포스트 베스트팔렌 체제 가능성의 모색
I. 머리말
II. 미래 안보위협의 특징: 복합안보위기
III. 복합안보위기 시대 군의 역할과 국방혁신의 필요성
IV. ‘뉴 스페이스’ 시대 포스트 베스트팔렌 체제의 가능성
V. 맺음말: 탈지구정치 시대 항공우주력의 역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