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66183485
· 쪽수 : 218쪽
· 출판일 : 2022-05-03
책 소개
목차
● PROLOGUE _4
● 배움의 성과 확인용 다이어리 _10
DAY 1 애초에 경제학이란 무엇일까? 사람 또는 조직이 시장에서 실행하는 ‘경제 활동’을 이론적으로 단순하게 설명 하는 학문 _12
● COLUMN 1 경제학의 흐름에 관해 알아보자 _20
DAY 2 미시 경제학의 기본 미시 경제학은 ‘가격은 어떤 메커니즘으로 결정되는가?’를 해명하는 학문이다 _22
DAY 3 소비 행동이란? 최적의 소비는 한계 메리트와 한계 디메리트가 일치하는 점이 된다 _31
DAY 4 기업과 생산 활동 ① 기업은 생산한 재화ㆍ서비스를 시장 가격으로 판매하며 최대 이윤을 추구한다 _37
DAY 5 기업과 생산 활동 ② 기업의 목표는 이윤의 최대화를 위해 저비용으로 효율적인 생산을 하는 것이다 _42
DAY 6 시장과 가격의 관계 현실의 시장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 ‘완전 경쟁 시장’이라는 시장 개념을 가정 한다 _46
DAY 7 가격과 자원 배분 기능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자원이 적절하게 배분되도록 가격이 조정된다 _55
DAY 8 독점이란? 독점 기업은 이윤이 최대가 되도록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할 수 있다 _64
DAY 9 과점이란? ① 재화ㆍ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소수로 한정된 상태가 ‘과점’이다 _71
DAY 10 과점이란? ② 과점 기업은 담합으로 이윤을 얻지만, 배신의 유혹에 노출된다 _78
DAY 11 외부성이란? ① 시장이 항상 원활하게 작동한다는 보장은 없으며, ‘시장의 실패’가 일어날 때도 있다 _82
DAY 12 외부성이란? ② 시장의 실패를 민간의 지출로 극복하는 것이 ‘코스의 정리’다 _86
DAY 13 불완전한 정보란? 정보의 비대칭성이 커지면 여러 가지 시장의 실패가 발생한다 _90
● COLUMN 2 소비의 양극화는 왜 일어났을까? _98
DAY 14 거시 경제학의 기본 ① 거시 경제학은 국민 경제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 학문이다 _100
DAY 15 거시 경제학의 기본 ② GDP(모든 부가 가치)는 생산과 소득과 지출이 모두 같아진다 _106
DAY 16 케인스 경제학이란? 케인스 경제학은 불황의 시대에 적합하다 _110
DAY 17 경제 주체와 정부 정부는 거시적인 경제 활동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_117
DAY 18 재정 정책을 이해한다 ① 정부 지출의 증가가 소비ㆍ소득ㆍ수요를 눈덩이처럼 늘린다 _124
DAY 19 재정 정책을 이해한다 ② 기초 재정 수지는 장기적으로 흑자가 바람직하다 _131
DAY 20 금융 정책이란? ① 화폐는 물건의 거래를 원활히 하며, 물건의 가치를 나타낸다 _138
DAY 21 금융 정책이란? ② 중앙은행은 화폐 공급량을 조절하며 다양한 금융 정책을 실시한다 _144
DAY 22 경기와 고용의 관계 노동 시장은 기업과 노동자의 균형을 통해 성립한다 _151
DAY 2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① 인플레이션의 공급 곡선과 수요 곡선에서 인플레이션율과 GDP의 균형점이 결정된다 _158
DAY 2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② 호경기일 때의 완만한 인플레이션이 경제 성장의 이상형 _163
DAY 25 경제 성장의 흐름 1955년부터 급성장했던 일본 경제는 버블 붕괴 이후 저성장으로 전환되었다 _168
DAY 26 국제 경제를 이해한다 ① 무역은 일본처럼 자원이 빈약한 나라에 커다란 이익을 가져다준다 _175
DAY 27 국제 경제를 이해한다 ① 환율은 무역 수지에 영향을 끼쳐, 이익ㆍ불이익을 가져다준다 _180
DAY 28 경제 정책이란?경제 현상은 정치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있다 _187
● COLUMN 3 소비세 증세는 경제학적으로 옳다 _194
DAY 29 경제와 환경 문제 현재, 지구 환경의 보전 문제는 거시 경제의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_198
DAY 30 경제학의 여러 문제들 경제인과 기업에는 사회적인 공헌과 책임이 요구된다 _205
● 색인 _212
● 참고문헌 _217
리뷰
책속에서
본문 ‘DAY 1. 애초에 경제학이란 무엇일까?’
[사람 또는 조직이 시장에서 실행하는 ‘경제 활동’을 이론적으로 단순하게 설명하는 학문]
경제학은 간단히 말하면 “다양한 사람 또는 경제 주체(가계, 기업, 국가)가 시장에서 물건(재화ㆍ서비스=상품)이나 돈을 교환 하는 행위(경제ㆍ활동)를 어떤 가설에 입각해서 모델화하고 이 론적으로 단순하게 설명하려 하는 학문”이다. 요컨대 다양한 경 제 활동에서 어떤 경향이 법칙으로서 성립하고 있는지 해명하고 그것을 경제 정책 등에 활용하기 위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 ‘DAY 8. 독점이란?’
[독점 기업은 이윤이 최대가 되도록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독점이란 어떤 재화를 공급하고 있는 기업이 하나밖에 없는 상태로, 독점 기업은 이윤이 최대가 되도록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할 수 있다. 완전 경쟁 기업이 가격 수용자(프라이스 테이커) 인 데 비해 독점 기업은 ‘가격 설정자(프라이스 메이커)’이며 가 격 지배권을 갖고 있다. 그래서 생산량을 억제해 가격을 상승시킬 수도 있고, 대량으로 판매하기 위해 생산량을 증가시켜서 가격을 끌어내릴 수도 있다. 다만 그렇다고는 해도 가격을 너무 올리면 팔리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는 수요 곡선 위의 어딘가에서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한다.